우리 말도 익혀야지
 (383) 가장 1 : 가장 큰 집들 가운데 하나

 

샤샬은 마을에서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행운아》(눈빛,2004) 96쪽

 

  ‘중(中)’은 ‘가운데’로 손질해 줍니다. 한자 ‘中’은 한글로 적는다 해서 한국말이 되지 않아요.


  “가장 큰 집”은 하나입니다. 둘일 수 없습니다. ‘가장’은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더”를 뜻하거든요. 오직 한 가지를 맨 앞이나 위에 내세울 때에 쓰는 ‘가장’인 만큼 이 보기글처럼 쓸 수 없어요. 그러니 “가장 큰 집에 산다”처럼 적거나 “무척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처럼 적어야 올발라요. ‘가장’하고 뜻이 같은 한자말 ‘제일(第一)’ 말풀이를 살피면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이라고 나와요. 한국말 ‘가장’ 아닌 한자말 ‘제일’을 넣는다 하더라도 “제일 큰 집들 중 하나”처럼 적으면 알맞지 않아요. ‘가장’이든 ‘제일’이든 오직 하나만 가리킵니다.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 가장 큰 집에 산다
→ 아주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
→ 더없이 큰 집에 산다
 …

 

  보기글에서는 샤살이라 하는 사람이 사는 집이 무척 크다는 뜻에서 이와 같이 적었을는지 모릅니다. 그러면, “아주 크다”라든지 “무척 크다”라 적으면 돼요. 그나저나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말투를 왜 쓸까요. ‘무척’이나 ‘아주’나 ‘퍽’을 넣어야 알맞을 자리에 왜 ‘가장’이라는 낱말을 넣을까요.


  이 말투는 영어에서 비롯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들한테 영어를 가르치는 교재를 보면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번역 말투를 찾아볼 수 있어요. 영어를 가르치면서 번역을 얄궂게 하는 바람에 어느새 퍼진 말투 가운데 하나로구나 싶어요.


  그러고 보면, 영어를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으레 영어만 헤아리지 한국말은 거의 헤아리지 않아요. 영어를 잘 가르쳐야 한다고는 생각해도, 영어를 한국말로 옮길 적에 알맞고 바르며 슬기롭게 나타내도록 가르칠 생각은 안 하기 일쑤예요. 학교나 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분을 비롯해, 영어 교재 엮거나 쓰는 분들 모두 한국말 깊고 넓게 살피면서 배우기를 빌어요. 4338.1.3.달/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샤샬은 마을에서 아주 큰 집에 산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87) 가장 2 :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

 

습지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강병국-원시의 자연습지, 그 생태보고서 : 우포늪》(지성사,2003) 139쪽

 

  “지구상(-上)에 존재(存在)하는”은 “지구에 있는”으로 풀면 됩니다. “생태계의 하나입니다”는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로 고치면 되고요. ‘습지(濕地)’ 같은 낱말은 학문하는 사람들이 즐겨쓰는데, ‘늪’이라 적을 수 있어요. 한국말 ‘늪’을 알맞게 쓰며 학문밭 넓힐 수 있습니다. 우포‘늪’을 다루면서 정작 ‘늪’이라 말하지 않고 ‘습지’라고만 가리키는 모습을 보면, 어쩐지 서글픕니다.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 가서 배우든 집에서 배우든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든 식구나 이웃이 가르치든 ‘어른이나 어버이가 아는 말’과 ‘어른이나 어버이가 쓰는 말’을 아이들한테 가르칩니다. 그래서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잘 쓰면 아이들은 알맞고 바른 말을 배웁니다. 그렇지만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못 쓰거나 엉뚱하게 잘못 쓰면, 아이들은 알맞지 못하거나 엉뚱한 말을 배우겠지요.


  요즈음 아이들은 영어도 배우고 한자도 배우며 온갖 것을 참 많이 배웁니다. 이 가운데 영어와 한자를 살펴보면, 아이들이 배우는 영어 말법이나 한자 뜻풀이는 예나 이제나 거의 마찬가지입니다. 스무 해 앞선 때 말법하고 요새 말법이 다르지 않겠지요. 1950년대 영어 말법과 2000년대 영어 말법은 똑같을 테고, 1900년대 영어 쓰임새와 2000년대 영어 쓰임새가 똑같겠지요.


  그러나, 한국사람이 쓰는 한국말은 1950년대와 1900년대와 2000년대가 너무 다릅니다. 아니, 한국사람은 스스로 한국말이 달라져야 한다고 잘못 생각합니다. 한국사람다운 말투를 버리거나 잊습니다. 한겨레다운 말법과 말틀을 쉬 내팽개칩니다. 아니, 처음부터 살피지 않고, 아이들한테 슬기롭게 물려주지 못해요. 얄궂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자꾸 만듭니다. 올바르지 않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무턱대고 씁니다.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망가뜨려요. 한국땅 어른과 어버이는 한국말을 제대로 갈고닦지 않아요.


  외려, ‘얄궂게 쓰는 말’조차 새로운 흐름에 맞는 낱말이거나 말투이거나 말법인 듯 받아들입니다. 아이들한테 ‘얄궂게 쓰는 말’을 물려주고 말아요.


  말이란 흐르기 마련이라 나날이 조금씩 바뀝니다. 그런데 왜 우리가 쓰는 이 나라 말만 ‘얄궂은’ 쪽으로 뒤틀리거나 비틀리거나 엉망이 되어야 할까요. 왜 한국말이 한국말다움을 지키지 못하고 영어를 닮거나 한문 틀에 매여야 하거나 일본 말투에 찌들어야 할까요.


  아이들이 깨끗하고 싱그러운 마음을 품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슬기롭고 맑은 넋을 건사하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가기를 바란다면, 우리 어른들은 말부터 깨끗하고 싱그러우며 슬기롭고 맑은 한편 착하고 아름답게 추슬러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른들부터 똑바로 말하고 생각해야지 싶어요. 어른들부터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야지 싶어요. 맑은 넋에서 맑은 말 태어나고, 맑은 말에서 맑은 삶 이루어집니다. 4340.1.24.물/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늪은 지구에서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938) 가장 3 : 가장 위대한 사람들

 

그는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였어요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168쪽

 

  ‘위대(偉大)한’은 ‘훌륭한’이나 ‘빼어난’이나 ‘뛰어난’으로 다듬고, ‘중(中)’은 ‘가운데’로 다듬어 줍니다.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
→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무척 뛰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몹시 빼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보기글처럼 ‘가장’을 쓰면, 훌륭한 여러 사람들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한 사람이 아주 빼어나다는 뜻이 됩니다. 그리고, 여럿 가운데 한 사람이 가장 훌륭하다 한다면 “가장 훌륭한 사람이었어요”처럼 적어야 해요. 이러한 뜻이 아니라 한다면,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처럼 다듬어야 알맞습니다. 또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라든지 “무척 뛰어난 사람이었어요”처럼 단출하게 다듬습니다. 굳이 “아주 (무엇무엇한) (무엇) 가운데 하나” 꼴로 적지 않아도 됩니다. 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208) -화化 10 : 무화 1

 

생명은 항상 앞으로 나아가며, 경우에 따라서는 과거의 성취를 모두 무화하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자크 브로스/양영란 옮김-식물의 역사와 신화》(갈라파고스,2005) 31쪽

 

  ‘생명(生命)’ 같은 낱말은 그대로 쓸 수 있겠지요. 그러나 글흐름을 살피면서 ‘목숨’이나 ‘숨결’로 손질할 수 있어요. ‘항상(恒常)’은 ‘늘’이나 ‘언제나’로 고쳐 줍니다. ‘한결같이’나 ‘꾸준히’나 ‘지며리’로 고쳐도 됩니다. ‘경우(境遇)’는 ‘때’로 다듬고, “과거(過去)의 성취(成就)를”은 “지난날에 이룬”이나 “그동안 이루어낸”으로 다듬습니다.


  국어사전을 뒤적이면, ‘무화(無化)’라는 한자말은 안 나옵니다. 글을 쓰는 분들이 곧잘 이 한자말을 쓰지만, 국어사전에까지는 안 싣는 한자말, 그러니까 중국말이거나 일본말인 바깥말입니다. 설마 싶어, ‘無化’와 짝을 이룰 ‘有化’가 국어사전에 실렸을까 찾아보니 ‘유화’도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참 마땅한 일일 테지요. 이런 바깥말을 한국말사전에 담아야 할 까닭이 없어요. 이런 바깥말을 한국사람이 쓸 까닭이 없어요.


  한자 ‘무(無)’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봅니다. 한국말 아닌 한자 ‘무’인데, 이 낱말은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없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하고,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하고 “지금까지 애쓴 것이 무가 되어 버렸다” 같은 보기글이 실립니다.

 

 모두 무화하는
→ 모두 없이 하는
→ 모두 없애는
→ 모두 없던 셈 치는
→ 모두 떨구어 내는
→ 모두 털어 버리는
 …

 

  생각을 기울입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란, “아무것이 없는데 무언가 새로 만들다”입니다. 또는 “맨땅에서 무언가 만들다”예요. “지금까지 애쓴 것이 무가 되어 버렸다”란, “이제까지 애쓴 것이 도루묵이 되어 버렸다”입니다. 또는 “여태까지 애쓴 것이 사라져 버렸다”예요.


  있던 것을 없던 것으로 돌린다는 뜻입니다. 있었는데 모두 없앤다는 소리입니다. 털어 버린다고, 떨구어 낸다고, 씻어 낸다고, 비워 버린다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4338.8.1.달./4346.3.25.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목숨은 늘 앞으로 나아가며, 때에 따라서는 지난날 이룬 모두를 없애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

 

 '-화(化)' 씻어내며 우리 말 살리기
 (179) -화化 179 : 무화 2

 

나아가서 부주의 때문에 그의 삶은 무화無化된다고까지 저는 말하죠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48쪽

 

  “부주의(不注意) 때문에”는 “작은 잘못 때문에”나 “잔잘못 때문에”나 “마음을 잘못 쓰는 바람에”로 손봅니다. “그의 삶은”은 “그 사람 삶은”으로 손질합니다.

 

 그의 삶은 무화無化된다고까지
→ 그 사람 삶은 사라진다고까지
→ 그 사람 삶은 없어진다고까지
→ 그 사람 삶은 빈털털이가 된다고까지
→ 그 사람 삶은 텅 비어 버린다고까지
 …

 

  ‘무화’라는 한자말 뒤에 ‘無化’를 덧달면, 이 글을 읽는 분들이 더 잘 알아볼까 궁금합니다. 처음부터 ‘무화’라는 한자말을 안 쓸 노릇이지 싶어요.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 만하도록 글을 쓸 일이요, 가장 쉬우면서 바른 말마디로, 가장 환하면서 또렷한 말투로 가다듬어야지 싶어요.


  뜻과 느낌을 살려서 “송두리째 사라진다고까지”나 “통째로 날아간다고까지”나 “모두 허물어진다고까지”처럼 적을 수 있어요. “깡그리 없어진다고까지”나 “잿더미가 된다고까지”처럼 적어도 됩니다. 4346.3.25.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아가서 작은 잘못 때문에 그 사람 삶은 모두 허물어진다고까지 저는 말하죠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585) 제일착

 

하지만 따끈따끈한 새책을 제일착으로 볼 수 있는 사서의 특권은 육체적 고통을 버틸 수 있는 힘이 된다
《사서가 말하는 사서》(부키,2012) 77쪽

 

  ‘하지만’은 ‘그렇지만’이나 ‘그러나’로 다듬고, “사서의 특권(特權)은”은 “사서가 누리는 권리는”이나 “사서만 누리는 권리는”이나 “사서한테만 있는 권리는”으로 다듬습니다. “육체적(肉體的) 고통(苦痛)을 버틸”은 “몸이 힘들어도 버틸”이나 “고된 일을 버틸”이나 “힘겨운 몸을 버틸”로 손봅니다.


  한자말 ‘제일착(第一着)’은 “가장 먼저 도착하거나 착수함”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까, “가장 먼저 닿다”나 “가장 먼저 하다”로 적으면 됩니다.

 

 새책을 제일착으로 볼 수 있는
→ 새책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 새책을 맨 먼저 볼 수 있는
→ 새책을 누구보다 먼저 볼 수 있는
 …

 

  ‘제일착’ 같은 한자말을 쓰려 한다면, ‘제이착’이나 ‘제삼착’ 같은 한자말을 쓰겠지요. 쉽게 생각하면서 쉽게 쓰는 길을 찾아보셔요. 첫째로 닿다, 둘째로 닿다, 셋째로 닿다, 이렇게 쓰면 돼요. 바르게 헤아리면서 바르게 쓰는 결을 살펴보셔요. 첫째로 하다, 둘째로 하다, 셋째로 하다, 이처럼 쓰면 됩니다. 한국사람 한국말을 슬기롭게 씁니다. 4346.3.25.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렇지만 따끈따끈한 새책을 누구보다 먼저 볼 수 있는 남다른 즐거움은 고된 일을 버틸 수 있는 힘이 된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66) -의 열광 1 : 청중의 열광

 

청중의 열광은 점점 더해만 가서, 처음에는 다들 연주가 너무 좋다며 수런대다가 나중엔 경악을 금치 못했어요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152쪽

 

  ‘청중(聽衆)’은 “듣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그래서 말뜻 그대로 “듣는 사람들”로 적으면 되고, ‘사람들’이라고만 적어도 됩니다. ‘점점(漸漸)’은 ‘조금씩’이나 ‘차츰’이나 ‘자꾸’로 다듬습니다. “너무 좋다며”에서 ‘너무’는 잘못 넣었습니다. 좋다거나 기쁘다거나 할 적에는 ‘너무’를 쓸 수 없어요. “참 좋다며”나 “매우 좋다며”나 “몹시 좋다며”로 손질합니다. ‘경악(驚愕)’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뜻풀이가 “소스라치게 깜짝 놀람. ‘놀라움’으로 순화”로 나옵니다. 그러니까, “경악을 금(禁)치 못했어요”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어요”나 “놀랄밖에 없었어요”나 “깜짝 놀랐어요”로 바로잡습니다.

 

 청중의 열광은 점점 더해만 가서
→ 청중은 더 열광하다가
→ 청중은 차츰 더 열광하더니
→ 사람들은 차츰차츰 달아오르더니
→ 사람들은 조금씩 달아오르다가
 …

 

  ‘(무엇)의 (무엇)’과 같은 말투는 일본 말투요, ‘무엇’에 들어가는 한자말 또한 으레 일본 한자말이기 일쑤인데, “청중의 열광”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말투와 낱말은 한국사람이라면 안 써야 마땅하지만, 자꾸 퍼지고 차츰 뿌리내립니다.


  국어사전을 뒤적여 ‘열광(熱狂)’ 말뜻을 찾아봅니다. “너무 기쁘거나 흥분하여 미친 듯이 날뜀”을 뜻한다 합니다. ‘흥분(興奮)’도 찾아봅니다. “어떤 자극을 받아 감정이 북받쳐 일어남”을 뜻한다 합니다. 그러니까, ‘열광’이란 “너무 기쁘거나 마음이 북받쳐 일어남”을 가리키는 한자말이요, 한국말로는 ‘달아오르다’라는 소리입니다.


  한국말 ‘달아오르다’를 ‘(무엇)의 (무엇)’이라는 말투에 넣어 봅니다. “청중의 달아오름은 점점 더해만 가서”와 같은 말꼴이 될 텐데, 이러한 말마디는 말이 될는지 알쏭달쏭합니다. 이처럼 말할 사람이 있을까 궁금한데, 이렇게 적어서는 참으로 한국말이 되지 못합니다. “청중은 차츰 더 달아오르다가”처럼 손질해야 비로소 한국말답다 할 만해요. 한자말 ‘열광’을 그대로 쓰고 싶다면 “청중은 더 열광하다가”라든지 “청중은 차츰 더 열광하더니”쯤으로 손질해야 알맞아요.


  마음을 조금 더 기울일 수 있다면 ‘청중’이나 ‘열광’ 같은 낱말까지 쉽고 바르게 다듬어 줍니다. 4346.3.24.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사람들은 차츰 달아오르더니, 처음에는 다들 연주가 아주 좋다며 수런대다가, 나중엔 모두 깜짝 놀랐어요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267) 자세 1 : 자세히 보면

 

나뭇가지가 벌거벗었다고? 자세히 보면, 가지마다 작은 겨울눈이 촘촘해
《이와타 켄자부로/이언숙 옮김-백 가지 친구 이야기》(호미,2002) 28쪽

 

  잘 모르는 일이 있을 때나, 두루뭉술하게 말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때에, 사람들은 으레 “자세히 얘기해 주셔요.” 하고 말합니다. 곰곰이 되짚어 봅니다. 나는 어릴 적부터 이 말 ‘자세’를 듣고 썼어요. 앉거나 설 때에도 “자세를 똑바로 해!” 같은 말을 들었습니다.


  국어사전을 뒤적입니다. 모두 세 가지 ‘자세’가 나옵니다. 첫째, ‘자세(仔細/子細)’로 “(1) 사소한 부분까지 아주 구체적이고 분명하다 (2) 성질 따위가 꼼꼼하고 찬찬하다”를 뜻한다 합니다. 보기글로는 “설명이 자세하다”와 “자세하게 약도를 그리다”가 있습니다. 둘째, ‘자세(姿勢)’로 “(1)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 (2) 사물을 대할 때 가지는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뜻한다 하는군요. 보기글로는 “자세를 가다듬다”와 “자세를 고쳐 앉다”와 “정신 자세”와 “학자로서의 자세”가 있어요. 셋째, ‘자세(藉勢)’로 “어떤 권력이나 세력 또는 특수한 조건을 믿고 세도를 부림”을 뜻한다 하네요. “그게 다 자기처럼 복 있는 아내를 얻은 덕이라고 그 자세가 대단했다” 같은 보기글이 있습니다.


  국어사전에 실린 한자말 ‘자세’ 가운데 셋째 것은 쓸 일이 없으니 덜어내야 알맞습니다. 쓸 일이 없기도 하지만 써서 알맞지 않은 이러한 한자말을 자꾸 국어사전에 싣는다면 한국말은 뒷걸음을 치거나 주눅이 들어요.

 

 자세히 보면
→ 가만히 보면
→ 찬찬히 보면
→ 가까이 다가가 들여다보면
 …

 

  그러면 두 가지 ‘자세(仔細/子細,姿勢)’는 얼마나 쓸 만할까요.  ‘꼼꼼히’나 ‘찬찬히’라 이야기할 자리에서 자꾸 ‘자세히’를 이야기하면서 한국말 쓰임새가 차츰 줄어들지 않을까요. ‘매무새’나 ‘몸가짐’이나 ‘마음가짐’ 같은 한국말을 잃거나 잊으면서, 쉽고 알맞으며 바르게 가다듬을 말넋 또한 잃거나 잊지 않을까요.

 

 설명이 자세하다
→ 설명이 꼼꼼하다 / 얘기가 꼼꼼하다
 자세하게 약도를 그리다
→ 꼼꼼하게 약도를 그리다 / 꼼꼼하게 그림을 그리다

 

  어느 자리에서는 “빈틈없이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어울립니다. 어느 곳에서는 “낱낱이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알맞습니다. 어느 때에는 “조곤조곤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잘 들어맞겠지요.


  그러니까, “자세를 가다듬다” 아닌 “매무새를 가다듬다”나 “몸가짐을 가다듬다”입니다. “자세를 고쳐 앉다” 아닌 “앉음새를 고치다”입니다. “정신 자세” 아닌 “마음가짐”이나 “마음결”이고, “학자로서의 자세” 아닌 “학자다운 마음가짐”이나 “학자다운 몸가짐”이며, “학생 본연의 자세” 아닌 “학생다운 몸가짐”이에요.


  우리한테는 ‘매무새’와 ‘몸가짐’과 ‘마음가짐’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앉은 자세라면 ‘앉음새’입니다. 선 자세를 가리킬 ‘섬새’라는 말은 없지만, 이런 말도 새로 빚어내어 쓸 수 있을 테지요. ‘섬새’라는 낱말이 국어사전에 없다면, ‘매무새’와 ‘몸가짐’으로도 넉넉하기 때문에 굳이 이런 말을 안 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세를 고쳐 앉다” 같은 말은 “똑바로 앉다”나 “바로 앉다”로 다듬을 수 있어요.


  스스로 즐겁게 쓸 말을 생각합니다. 곧, 즐겁고 아름다운 ‘말매무새’를 헤아리고, ‘말가짐’을 헤아립니다. 몸가짐과 마음가짐처럼 ‘말가짐’ 또는 ‘생각가짐’이나 ‘사랑가짐’을 헤아릴 만해요. ‘말매무새’라는 새말 빚을 수 있듯, ‘노래매무새’와 ‘춤매무새’ 같은 새말 빚을 수 있고, ‘이야기매무새’라든지 ‘육아매무새’나 ‘일매무새’ 같은 낱말 빚어도 돼요.


  서로 기쁘게 주고받을 말을 짚어 봅니다. 차근차근 짚으며 차근차근 말빛을 밝힙니다. 찬찬히 되새기며 하나둘 말살림 북돋웁니다. 꼼꼼히 살피면 슬기롭게 주고받을 말밭 일굴 수 있어요. 낱낱이 들여다보면 곱게 영글 말나무 한 그루 보살필 수 있습니다. 4340.4.25.물./4346.3.16.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뭇가지가 벌거벗었다고? 가만히 보면, 가지마다 작은 겨울눈이 촘촘해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576) 자세 2 : 자세히 보니

 

자세히 보니, 조그만 꽃봉오리가 막 벌어지던 참이었다
구도 나오코/고향옥 옮김, 《친구는 초록 냄새》(청어람미디어,2008) 95쪽

 

  꽃봉오리를 들여다보는 눈길은 여러 가지입니다. 살짝 들여다볼 수 있고, 스치듯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얼추 들여다보거나 얼핏 들여다볼 수 있어요. 가만가만 들여다본다든지, 물끄러미 들여다볼 수 있지요. 오래도록 들여다보거나 한참 들여다볼 수 있어요.

 

 자세히 보니
→ 가만히 보니
→ 곰곰이 보니
→ 살며시 보니
→ 물끄러미 보니
→ 빙그레 보니
 …

 

  보기글에서는 “문득 보니”나 “빙그레 보니”처럼 적어도 어울립니다. 그동안 들여다보았을 때에는 꽃봉오리가 벌어지려는지 말려는지 모르다가, 어느 한때 문득 알아챘다 할 만하거든요. 또는, 꽃봉오리 막 벌어지려는 모습이란, 조용히 웃음 피어나도록 이끈다 할 만하기에, ‘빙그레’나 ‘방그레’ 같은 낱말을 넣어도 돼요. 때에 따라서는 “오늘 보니”라든지 “이제 보니”를 넣을 수 있어요. 낱말마다 다 다르게 나타내는 느낌이 있고, 낱말마다 말빛과 말결이 새롭습니다. 4346.3.16.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살며시 보니, 조그만 꽃봉오리가 막 벌어지던 참이었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