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우려 憂慮


 우려를 낳다 → 걱정스럽다 / 근심스럽다

 우려를 표시했다 → 걱정했다 / 근심했다

 아이들의 정서를 해칠 우려가 있다 → 아이들 마음을 다칠까 걱정스럽다

 전염병의 발병이 우려된다 → 돌림병이 생길까 걱정된다

 부작용이 우려돼 → 부작용이 걱정스러워 / 부작용을 걱정해서

 산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 산사태가 걱정스럽다 / 산이 무너질까 걱정된다

 교통의 방해가 우려되는 지역 → 길이 막힐까 걱정스러운 곳

 항상 자식들의 건강을 우려하신다 → 늘 아이들이 튼튼하도록 마음 쓰신다

 사태의 악화를 가져오는 게 아닐까 우려하고 있다 → 일이 나빠질까 걱정한다

 우려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지만 → 걱정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우려(憂慮)’는 “근심하거나 걱정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로 ‘근심’이나 ‘걱정’을 쓰면 된다는 뜻풀이입니다. 이밖에 ‘끌탕’이라는 한국말이 있고, ‘애태우다·애타다·애끓다’ 같은 한국말이 있어요. 흐름을 살펴서 “마음을 쓰다”나 “마음을 기울이다”나 “속을 태우다”를 써 볼 수 있습니다. 2016.2.29.달.ㅅㄴㄹ



지배될 우려가 있다

→ 지배될 수가 있다

→ 휘둘릴까 걱정이다

→ 억눌릴까 근심스럽다

《김윤식-우리 문학의 넓이와 깊이》(서래헌,1979) 9쪽


서로의 발목을 끌게 될 우려가 있다

→ 서로 발목을 끌을까 걱정된다

→ 서로 발목을 끌을까 근심스럽다

→ 서로 발목을 끌을는지 모른다

→ 서로 발목을 끌을 수 있다

《이시키 마코토/박선영 옮김-피아노의 숲 14》(삼양출판사,2007) 189쪽


이런 우려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짚어 볼 필요가 있다

→ 이런 걱정은 두 가지로 짚어 볼 만하다

→ 이런 근심을 놓고는 두 가지로 짚어 보아야 한다

《하승수-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한티재,2015) 98쪽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기 때문에

→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걱정했기 때문에

→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애태웠기 때문에

→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여겼기 때문에

《토머스 R.마틴/이종인 옮김-고대 그리스사》(책과함께,2015) 232쪽


많은 분들이 우려했듯이

→ 많은 분들이 걱정했듯이

→ 많은 분들이 근심했듯이

→ 많은 분들이 애태우듯이

《이수정-10대와 통하는 일하는 청소년의 권리 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38쪽


자연의 몰락을 우려하는 사람도 있다

→ 자연이 몰락할까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

→ 자연이 무너질까 근심하는 사람도 있다

→ 자연이 없어질까 애태우는 사람도 있다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55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표현 表現


 예술적 표현 → 예술답게 나타냄 / 예술다이 나타내기 / 예술처럼 그리기

 표현 방법이 서투르다 → 나타내는 법이 서투르다 / 서투르게 나타내다

 그런 식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 그렇게 나타내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별의 한을 표현한 작품 → 헤어지는 아픔을 그린 작품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표현하다 → 내 뜻을 똑똑히 밝히다

 표현하기 어려운 고통 → 말로 그리기 어려운 괴로움 / 이루 말할 수 없는 아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 → 말로 다 그릴 수 없다 / 이루 말할 수 없다

 감사의 표현으로 → 고마워하는 뜻으로 / 고맙다면서 / 고맙다는 마음으로


  ‘표현(表現)’은 “1.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언어나 몸짓 따위의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냄 2. 눈앞에 나타나 보이는 사물의 이러저러한 모양과 상태”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드러내다’나 ‘나타내다’를 한자말 ‘표현’으로 가리키는 셈입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더 살피면, ‘드러나다(드러내다)’를 “1.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2.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3. 겉에 나타나 있거나 눈에 띄다 4. 다른 것보다 두드러져 보이다”로 풀이하고, ‘나타나다(나타내다)’를 “1. 보이지 아니하던 어떤 대상의 모습이 드러나다 2. 어떤 일의 결과나 징후가 겉으로 드러나다 3. 생각이나 느낌 따위가 글, 그림, 음악 따위로 드러나다 4. 내면적인 심리 현상이 얼굴, 몸, 행동 따위로 드러나다 5. 어떤 새로운 현상이나 사물이 발생하거나 생겨나다”로 풀이합니다. ‘나타나다’를 다섯 가지 뜻으로 풀이하면서 모두 ‘드러나다’라는 낱말을 넣습니다. 이 뜻풀이를 헤아린다면, ‘표현 = 드러내어 드러냄’이라는 꼴이지요.


  더욱이, ‘표현’은 “말(언어)로 나타내는” 일이라고 합니다. “말로 나타내다”가 ‘표현’이라면 “말로 표현할”처럼 적으면 “말로 말로 나타낼” 꼴이 되고 맙니다. 잘못 쓰는 겹말입니다.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표현할”이라고만 적어야 옳아요. 굳이 한자말로 안 적어도 되겠다고 여긴다면 “말로 나타낼”처럼 적어야지요.


  이야기를 나누는 흐름을 살펴서 ‘나타내다·드러내다·보여주다(보이다·선보이다·내보이다)·알려주다(알리다)·말하다·이야기하다·들려주다·꺼내다·밝히다·그리다’를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2016.2.29.달.ㅅㄴㄹ

 


적절치 못한 표현이다

→ 알맞지 못한 말이다

→ 알맞지 못하다

→ 잘못된 말이다

→ 어울리지 않는 말이다

→ 올바르지 않는 말이다

《함광복-DMZ는 국경이 아니다》(문학동네,1995) 31쪽


《삼국사기》에는 ‘내의(內衣)’, ‘내상(內裳)’이라는 표현이 있다

→ 《삼국사기》에는 ‘내의(內衣)’, ‘내상(內裳)’이라는 말이 있다

→ 《삼국사기》에는 ‘내의(內衣)’, ‘내상(內裳)’이라는 대목이 있다

→ 《삼국사기》에는 ‘내의(內衣)’, ‘내상(內裳)’이라고 적은 곳이 있다

《박경화-고릴라는 핸드폰을 미워해》(북센스,2006) 112쪽


넌 자신을 ‘저 같은 남자’라고 표현했어

→ 넌 스스로 ‘저 같은 남자’라고 말했어

→ 넌 스스로 ‘저 같은 남자’라고 얘기했어

→ 넌 스스로 ‘저 같은 남자’라고 했어

《오자와 마리/서수진 옮김-PONG PONG 3》(대원씨아이,2009) 37쪽


오이 덩굴 옆의 개구리 같은 것들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 냈지

→ 오이 덩굴 옆 개구리 같은 것들을 생생하게 그려 냈지

→ 오이 덩굴 옆 개구리 같은 것들을 싱그럽게 나타냈지

→ 오이 덩굴 옆 개구리 같은 것들을 살아 움직이듯이 담아 냈지

《윤희진-고추장 담그는 아버지》(책과함께어린이,2009) 41쪽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 말로 나타낼 수 없을 만큼

→ 말로 다 할 수 없도록

→ 이루 말할 수 없도록

→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 도무지 말로 그릴 수 없을 만큼

→ 도무지 말로는 드러내기 어렵도록

《팔리 모왓/장석봉 옮김-잊혀진 미래》(달팽이,2009) 9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무료 無聊


 무료를 달래 줄 재미있는 일을 → 지겨움을 달래 줄 재미있는 일을

 무료를 이기지 못하고 → 따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 지루함을 이기지 못하고

 무료한 시간 → 심심한 시간 / 따분한 때 / 재미없는 때

 무료한 삶 → 재미없는 삶 / 심심한 삶 / 따분한 삶


  ‘무료(無聊)’는 “1. 흥미 있는 일이 없어 심심하고 지루함 2. 부끄럽고 열없음”을 뜻한다고 하지만, 둘째 뜻으로 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흥미(興味)’는 “흥을 느끼는 재미”를 뜻하고, ‘흥(興)’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 ‘심심하다’는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를 뜻한다고 하며, ‘지루하다’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같은 상태가 오래 계속되어 따분하고 싫증이 나다”를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까 ‘무료 = 흠이 없음 + 심심 + 지루’이고, 이는 다시 ‘무료 = 재미 없음 + 지루 + 재미 없음’이나 ‘무료 = 재미 없음 + 심심 + 따분’이 되는데, 한국말 ‘따분하다’를 한국말사전은 “재미가 없어 지루하고 답답하다”로 풀이해요. 아주 돌림풀이입니다.


  아무튼, 재미있는 일이 없으면 ‘재미없다’입니다. 재미없을 적에는 ‘지루하다’나 ‘지겹다’나 ‘따분하다’나 ‘심심하다’를 알맞게 살펴서 쓰면 될 노릇입니다. 그리고 한국말사전은 한국말 ‘지루하다·따분하다·심심하다’가 돌림풀이가 되지 않도록 손질해야지 싶습니다. 2016.2.28.해.ㅅㄴㄹ



무료해서 아주 고통스러워

→ 심심해서 아주 괴로워

→ 지루해서 아주 죽을 동 살 동

→ 따분해서 아주 온몸을 비비 꼬았다

→ 할 일이 없어서 아주 힘들어

《박정희-나의 수채화 인생》(미다스북스,2005) 6쪽


무료함이 흘러나오는 것 같은 남자였어요

→ 따분함이 흘러나오는 듯한 남자였어요

→ 따분해지는 사내였어요

→ 좀이 쑤시는 사내였어요

→ 답답해지는 사내였어요

→ 갑갑한 사내였어요

→ 지겨운 사내였어요

《마르잔 사트라피/정재곤·정유진 옮김-바느질 수다》(휴머니스트,2011) 56쪽


무료해 자꾸 오리 머리를 무는 개

→ 심심해 자꾸 오리 머리를 무는 개

→ 따분해 자꾸 오리 머리를 무는 개

→ 지루해 자꾸 오리 머리를 무는 개

→ 할 일이 없어 자꾸 오리 머리를 무는 개

《송경동-나는 한국인이 아니다》(창비,2016) 113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본연의


 인간 본연의 모습 → 사람이 처음 타고난 모습 / 사람다운 처음 모습

 인간이 지닌 본연의 품성 → 사람이 처음 타고난 마음바탕

 인간 본연의 자세로 되돌아가야 → 사람다운 첫 모습으로 되돌아가야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다 → 첫 임무로 돌아가다 / 처음 맡은 일로 돌아가다

 본연의 세계 → 처음 그대로인 세계

 생명 본연의 자세 → 생명이 처음 타고난 몸짓 / 생명다운 첫 몸짓

 딸기 본연의 단맛 → 딸기다운 단맛

 소재 본연의 아름다움을 → 소재를 그대로 살린 아름다움을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 제 기능에 충실한 / 제 기능대로 움직이는


  ‘본연(本然)’은 “1. 인공을 가하지 아니한 본디 그대로의 자연 2. 본디 생긴 그대로의 타고난 상태”를 뜻한다고 합니다. ‘본(本)디’는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까 ‘본연’은 “처음 그대로인 자연”이나 “처음 생기며 그대로 타고난 모습”을 가리킨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본연의’는 “처음 모습”이나 “첫 모습(첫모습)” 말고도 “제 모습”이나 “참모습”을 가리키는 자리에서도 쓰이는구나 싶습니다. 흐름을 살펴서 알맞게 손질해야지 싶어요. 그리고 ‘참모습’이라는 낱말처럼 ‘첫모습’이라는 낱말도 새롭게 지어서 쓸 만하다고 느낍니다. 2016.2.27.흙.ㅅㄴㄹ



본연의 실체를 포착하다

→ 첫모습을 붙잡다

→ 참모습을 붙잡다

→ 제 모습을 보다

→ 타고난 모습을 보다

→ 숨겨진 모습을 찾다

→ 가려진 모습을 알아내다

《엘리아스 카네티/반성완 옮김-말의 양심》(한길사,1984) 341쪽


진짜 본연의 모습

→ 참으로 처음 모습

→ 참다운 첫모습

《산바치 카와/정선희 옮김-4번 타자 왕종훈 31》(서울문화사,1997) 67쪽


이것이 자치 본연의 모습입니다

→ 이것이 자치다운 처음 모습입니다

→ 이것이 자치다운 제 모습입니다

→ 이것이 자치다운 참모습입니다

→ 이것이 참다운 자치라 할 모습입니다

《고다 미노루/장윤 외 옮김-숲을 지켜낸 사람들》(이크,1999) 76쪽


시인들은 본연의 일을 했을 따름이었다

→ 시인들은 제 할 일을 했을 뿐이었다

→ 시인들은 저마다 할 일을 했을 뿐이었다

→ 시인들은 맡은 일을 했을 뿐이었다

《바버라 에런라이크/전미영 옮김-신을 찾아서》(부키,2015) 77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별도의


 방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 방이 따로 마련되었습니다

→ 방을 따로 마련했습니다

 이 문제는 별도의 기구에서 다룰 예정

→ 이 일은 다른 곳에서 다루려 함

→ 이 일은 다른 자리에서 다룰 생각

 입학금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적금을 들어 두었다

→ 입학금을 마련하려고 따로 적금을 들어 두었다

 별도의 잣대

→ 새로운 잣대 / 다른 잣대 / 또 다른 잣대

 별도로 생각해 볼 문제

→ 새롭게 생각해 볼 일 / 따로 생각해 볼 일 / 더 생각해 볼 일


  한자말 ‘별도(別途)’는 “1. 원래의 것에 덧붙여서 추가한 것 2. 딴 방면”을 뜻한다고 하는데, ‘추가(追加)’는 “나중에 더 보탬”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사전 말풀이는 겹말입니다. “더 붙이거나 넣을” 적에 ‘별도’를 쓰는 셈입니다. 이러한 뜻을 헤아리면 ‘별도’는 ‘더’나 ‘딴’이나 ‘다른’을 가리키는 셈입니다. ‘더 보태는’이나 ‘덧붙이는’을 가리킨다고도 할 만합니다.


  곰곰이 따지면, ‘별도’는 ‘다를 別 + 길 途’입니다. “다른 길”을 한자로 옮겼을 뿐입니다. 한국말로는 처음부터 ‘다른(다르다)’인 셈이고, 이 같은 얼거리를 찬찬히 읽는다면 ‘별도 + 의’처럼 쓸 일이 없으리라 느낍니다.



별도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 다른 말이 있을 때까지

→ 더 말이 있을 때까지

→ 따로 얘기가 있을 때까지

《류춘도-벙어리새》(당대,2005) 66쪽


40%의 별도의 자아를 가지고 있다

→ 40%는 다른 넋이다

→ 40%만큼 다른 숨결이 있다

→ 40%는 따로 움직이는 넋이다

→ 40%는 딴 마음이 있다

→ 40%는 또 다른 넋이 있다

《권윤주-to Cats》(바다출판사,2005) 41쪽


 별도의 책을 만들지

→ 책을 따로 만들지

→ 책을 새롭게 만들지

→ 책을 더 만들지

《레몽 드파르동/정진국 옮김-방랑》(포토넷,2015) 116쪽


서로 겹쳐 있는 것임에도 종종 별도의 것으로 느껴집니다

→ 서로 겹쳐서 있지만 가끔 다른 것으로 느낍니다

→ 서로 겹치지만 더러 다르다고 느낍니다

→ 서로 겹치는데도 때때로 다르다고 느낍니다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자연농, 느림과 기다림의 철학》(눌민,2015) 166쪽


별도의 서문이 왜 필요한지 궁금한 분도

→ 따로 머리말이 왜 있어야 하는지 궁금한 분도

→ 새 머리말을 왜 써야 하는지 궁금한 분도

《질베르 리스트/최세진-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봄날의책,2015) 5쪽


이 대목에 대해서는 심화된 별도의 독서가 필요하다

→ 이 대목을 놓고는 더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 이 대목은 더욱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 이 대목을 말하려면 한결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270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