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달리 읽을 책 (사진책도서관 2014.9.2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내가 도서관을 처음 열던 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키는 한 가지가 있다. 책손이 되어 찾아온 분들이 ‘추천해 주기 바라는 책’을 여쭈면, 눈앞에 보이는 책부터 손수 끄집어 내어 읽으라고 말한다. 우리 도서관은 목록을 만들지 않을 뿐 아니라, 추천하는 책도 알려주지 않는다.


  나는 어떤 책도 추천하지 않는다. 다만, 나는 내가 읽은 책을 차근차근 이야기한다. 사진책이건 만화책이건 그림책이건 시집이건 어린이문학이건 인문책이건, 일찌감치 읽었든 오늘 다 읽었든, 우리가 저마다 다른 삶자리에서 다 다르게 누리면서 즐길 이야기란 무엇인가 짚는 ‘책느낌글’을 쓴다.


  모든 사람이 《태백산맥》이나 《토지》를 읽어야 하지 않는다. 《삼국지》나 《성경》을 모든 사람이 읽을 까닭이란 없다. 읽어도 그만, 안 읽어도 그만이다. 왜냐하면, 이런 책이든 저런 책이든, 우리한테 대수로울 한 가지는 ‘스스로 지어서 가꾸는 삶’이지 ‘더 읽어야 할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책은 100권 읽으나 1권 읽으나 10만 권 읽으나 똑같다. 삶은 한 살을 살다가 죽거나 백 살을 살다가 죽으나 오백 살을 살다가 죽으나 똑같다. 다를 까닭이란 조금도 없다.


  책을 읽을 적에는 즐거운 숨결이 되어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읽어 아름다운 넋이 되었는가 아닌가를 살필 줄 알면 된다. 삶을 가꿀 적에는 즐거운 하루를 누려 사랑스러운 노래를 부르고 아름다운 꿈을 키웠는가 아닌가를 헤아릴 줄 알면 된다. 이밖에 달리 무엇이 있겠는가.


  아이들은 고무줄놀이를 해야 즐겁지 않다. 아이들은 제기차기를 못해서 안 즐겁지 않다. 아이들은 연날리기를 반드시 해야 하지는 않다. 구슬치기를 해도 즐겁고, 돌멩이 하나를 만지작거려도 즐겁다. 손가락으로 꼬물거리며 놀아도 재미나며, 물방울을 튀겨도 신난다.


  명작이나 걸작이란 없다. 추천도서나 권장도서란 없다. 오직 책이 있을 뿐이요, 오직 이야기를 얻을 뿐이며, 오직 사랑을 받아서 나눌 뿐이다.


  다 달리 읽을 책이란, 다 달리 사랑하면서 가꿀 삶이라는 뜻이다. 다 달리 삶을 가꾸면서, 다 달리 길을 열 때에 아름답다는 뜻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처럼 입시지옥이 되어 모두 똑같이 바보가 되는 짓을 하면 할수록 ‘뒤에 숨은 독재정치’가 커진다. 오늘날 도시 문명 사회처럼 ‘사람들 스스로 돈 버는 기계’가 되고 말면, ‘뒤에 숨은 독재권력’이 늘어난다. 권정생 할배가 이녁 책이 ‘느낌표 추천도서’로 안 뽑히기를 바랐을 뿐 아니라, 아예 손사래까지 친 까닭을 사람들이 아직 제대로 못 읽는 듯하다.


  산들보라는 풀개구리 한 마리를 보며 좋다고 웃는다. 사름벼리는 길다란 걸상에 엎드려 만화순이가 된다. 집으로 돌아갈 즈음, 산들보라는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여기! 여기 창문! 여기 창문 닫아!” 하고 외치면서 논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놀고 읽고 (사진책도서관 2014.9.2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아이들이 더 신나게 뛰놀 수 있기를 바라면서 도서관에 간다. 집에서도 쉬잖고 뛰노는 아이들이지만, 대문을 열고 고샅으로 나서면 더욱 신나게 뛰논다. 마을길에서 벗어나 도서관으로 가는 길에 두 아이는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달린다. 길가에 꽃이 있으면 꽃을 들여다본다. 길가에 나무가 있으면 나무한테 인사한다. 새가 지저귀는 노래를 듣고, 구름이 흐르는 소리를 듣는다. 하늘을 우러르고 잠자리와 나비를 보며 웃는다.


  아이들이 웃고 노래할 적에 나도 웃고 노래한다. 내가 웃고 노래할 적에 아이들도 웃고 노래한다. 서로서로 웃고 노래한다.


  도서관으로 가는 길이란 한결 즐겁게 놀고 싶은 마음을 키우는 길이라고 느낀다. 책을 옆에 두고 깊이 배우려는 뜻도 있을 테지만, 집을 나서서 도서관까지 가는 길에서 수많은 이웃을 만나기 마련이다. 도시에서라면 골목도 거닐 테고 골목집을 기웃기웃 들여다볼 수 있으리라. 정갈하게 가꾼 이웃집 살림을 바라보면서 참으로 예쁘구나 하고 놀랄 수 있다. 도시에서도 우람하게 자란 나무를 볼 수 있고, 우람한 나무가 있으면 어김없이 찾아드는 새를 만날 수 있다.


  바람이 분다. 머리카락을 날리는 바람이 분다. 바람을 쐰다. 머리카락이 바람 따라 흩날리는 기운을 듬뿍 느낀다.


  두 다리로 씩씩하게 걸어가면서 삶을 읽는다. 두 손에 종이책을 쥐면서 이야기를 읽는다. 두 다리로 척척 이 땅을 밟으면서 사랑을 생각한다. 두 손에 쥔 종이책을 찬찬히 넘기면서 아름다운 이야기를 헤아린다.


  노는 도서관이요 읽는 도서관이다. 노는 삶이요 읽는 삶이다. 노는 책이요 읽는 책이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나 많이 읽어야 할까 (사진책도서관 2014.9.25.)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요즈음은 아이를 학교에 안 넣는 어버이가 거의 없다. 학교를 아예 안 다니도록 하는 어버이는 매우 드물고, 적어도 대안학교라는 데에 넣으려 한다. 아이와 함께 지내면서 삶을 물려주려고 생각하는 어버이는 그야말로 찾아보기 어렵다.


  제도권학교를 보내든 대안학교를 보내든, 요즈음 거의 모든 어버이는 아이한테 ‘회사에 들어가 돈을 벌기’를 바란다. 둘 다, 그러니까 ‘회사’와 ‘돈’ 둘 다 하든, 둘 가운데 하나를 하도록 바라지 싶다.


  아이들한테 둘 가운데 하나를 바라든 둘 모두를 바라는 까닭이라면, 어버이 스스로 두 가지만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느낀다. 두 가지 말고는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한테 아무런 길을 못 보여주리라 느낀다.


  도시에서 살든 시골에서 살든, 집에 텃밭을 둔 어버이라면, 아이들한테 텃밭짓기를 보여주거나 물려주거나 함께 배울 수 있다. 책을 가까이에 두고 즐기는 어버이라면, 아이들한테 책읽기를 보여주거나 물려주거나 함께 배울 수 있다. 여행을 즐기는 어버이라면, 아이들하고 여행을 하거나 아이들한테 여행하는 기쁨을 보여주거나 물려줄 수 있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는 저마다 스스로 살아가는 대로 아이한테 삶을 보여주거나 이끌기 마련이다. 학교를 오랫동안 다니면서 시험공부만 죽어라 하다가 짝을 만나서 아이를 낳은 어버이라면, 아이한테도 이런 흐름대로 보여주거나 이끌 수밖에 없다. 스스로 겪은 적 없는 삶을 어찌 아이한테 보여주거나 물려주겠는가.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슬기로운 어버이로 살지 않는다. 책을 많이 읽었다면, 책을 많이 읽었을 뿐이다. 슬기로운 어버이가 되자면 철이 들어야 한다. ‘슬기’란 무엇인지 또렷하게 알아야 한다. 슬기란 ‘철’이다. 그러면 철은 무엇인가? 봄철이라 할 때에 그 철이요, 제철이라 할 적에 그 철이다.


  철을 잊은 사람은 ‘철없는’ 사람이다. 철을 모르는 사람도 ‘철없는’ 사람이다. 봄에 봄인 줄 모르기에 철없다. 제철이 아닌 열매나 곡식을 아무 때나 사다가 먹기에 철없다. 철없는 삶을 누리니 슬기롭지 못하다. 철있는 삶을 가꿀 때에 비로소 슬기롭다.


  아이를 낳아 돌보려는 어버이라면 언제나 어버이 스스로 먼저 배워야지 싶다. 아이와 함께 즐겁게 누릴 삶을 배워야지 싶다. 교육이론이나 육아이론은 생각할 것이 없다. 삶을 생각하고 사랑을 생각할 노릇이다. 삶을 이루는 바탕인 밥과 옷과 집을 생각할 노릇이다. 밥과 옷과 집을 어떻게 지어서 삶을 가꿀 때에 즐겁고 아름다운가 하고 생각할 노릇이다. 내 밥그릇만 채우지 않게끔, 그러니까 착하고 참다운 길을 걷는 밥·옷·집이 되도록 생각을 가꾸고 삶을 지을 노릇이다.


  책을 얼마나 많이 읽어야 할까? 읽을 만큼 읽으면 된다. 100권을 읽었기에 적게 읽지 않았다. 1000권을 읽었기에 많이 읽지 않았다. 책은 숫자(권수)로 읽지 않는다. 책은 마음으로 읽는다. 아이 사랑은 숫자(돈)로 하지 않는다. 아이 사랑은 오직 마음으로 한다.


  책을 읽으려면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 마음으로 새기고, 마음으로 아껴서, 마음으로 하루하루 아름답게 나아가려는 삶일 때에, 비로소 육아도 교육도 문화도 문학도 된다.


  낮잠을 건너뛰려 하면서 한참 졸린 작은아이가 도서관에서 끝까지 잘 견디며 뒹굴다가 집까지 씩씩하게 걸어간다. 도서관에 함께 온 누나는 혼자 만화책에 빠져드니, 작은아이도 슬슬 만화책을 넘기지만, 졸음이 몰려서 이도 저도 싫다. 아버지가 “자, 이제 집에 갈까?” 하고 말하니 큰아이가 자물쇠에 토끼풀꽃을 엮는다. 이러고 나서 풀밭길을 달린다. 작은아이는 누나를 따라 까르르 소리를 지르면서 함께 달린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룻바닥이라는 곳 (사진책도서관 2014.9.2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어릴 적부터 마룻바닥이 여러모로 반갑고 시원하면서 즐겁다. 이름만 마루인 시멘트바닥이 아니라, 이름도 생김새도 나무로 짠 마룻바닥일 때에 어쩐지 마음을 차분히 쉬면서 신나게 뛰놀았다. 나중에 어른이 되면, 내가 살아갈 집도 이렇게 마룻바닥이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도시에서 살며 마룻바닥 있는 집에서 살림을 꾸리지 못했다. 서울에서 몇 해 머물던 때에는 적산가옥이던 나무집에서 세 해 즈음 지냈는데, 이때 빼고는 나무집에서 살지 못했다. 온 사회가 시멘트로 흐르니, 집도 길도 마을도 시골도 온통 시멘트로 뒤덮인다. 학교에서도 골마루가 사라지고 돌바닥이나 시멘트바닥만 있다.


  문을 닫은 오래된 학교에는 골마루가 남곤 한다. 우리 도서관은 문닫은 오래된 학교에 깃들었으니 골마루를 누린다.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우리 도서관 골마루에서 얼마나 기고 뒹굴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아이들이 이 골마루를 실컷 누리도록 하려고 묵고 묵은 더께를 박박 문질러서 벗겨냈다.


  아이들은 마룻바닥에 펑퍼짐하게 앉아서 놀기를 즐긴다. 작은아이도 큰아이도 아무렇지 않게 마룻바닥에 앉는다. 아이들은 마당이든 길바닥이든 서슴지 않고 주저앉기도 한다. 다리가 아프면 앉고, 다리가 안 아파도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앉아서 놀기를 즐긴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보면서 내 어릴 적을 돌이킨다. 그리고, 도서관이나 학교를 짓는다면 어떤 얼거리가 되어야 즐거울까 하고 생각한다. 바닥을 나무로 두고, 둘레를 나무로 짜며, 기둥도 나무일 때에, 도서관이나 학교는 아이들한테 가장 즐거우리라 느낀다. 아이들한테 즐거운 곳은 어른들한테도 즐겁겠지.


  마룻바닥이란 나뭇바닥이다. 나뭇바닥이란 나무내음이 퍼지는 바닥이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살림을 꾸릴 집은 나무로 이룰 때에 가장 아름다우면서 즐겁다. 나무는 숲에서 우거진다. 집을 나무로 짓고 도서관이나 학교도 나무로 짓는다면, 숲을 옮겨 집·도서관·학교를 짓는다는 뜻이 된다. 숲은 숲대로 가꾸고, 사람터는 사람터대로 숲내음이 감도는 곳으로 돌본다고 할까.


  아마 요즈음은 건축 설계나 도서관 설계를 서양에서 배운 이론만으로 따지지 싶다. 숲을 집과 도서관과 학교로 가지고 와서 누리는 한편, 집과 도서관과 학교 둘레가 아름다운 숲이 되도록 가꾸자고 생각하면서 설계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본다. 오늘날 이론이나 학문으로만 바라보면 겉모습으로는 멀쩡하지만, 오래도록 마을에 뿌리내리면서 삶터를 일구는 자리가 되기는 어려우리라 생각한다. 우리가 누릴 책터와 삶터와 이야기터라면, 언제나 푸르게 바람이 불고 푸르게 숨을 쉬는 터가 되어야겠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에서 흘린 땀 (사진책도서관 2014.9.1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을 한다면서 여러 해 책을 만지작거린다. 책꽂이를 들이고, 걸상을 들이며, 틈틈이 쓸고 닦는다. 창문을 열어 바람갈이를 하고 이모저모 꾸민다. 공공도서관이 아닌 개인도서관이니, 이 도서관을 사랑하고 아끼는 이웃님 손길을 받으면서 씩씩하게 자리를 지킨다.


  개구지게 잘 노는 아이들을 지켜보면서 도서관 구석구석 손질하고 빗물 샌 자리를 훔치고 곰팡이를 닦고 하다가 문득 생각에 잠긴다. 나는 왜 이렇게 이곳에서 땀을 흘릴까? 내가 개인도서관을 열지 않고 조용히 책만 건사하며 살았으면 어떤 길을 걸었을까?


  즐겁게 읽은 아름다운 책을 혼자 들여다보기에는 많이 아쉽고 아깝다고 여겨 서재를 도서관으로 바꾸었다. 그러니, 우리 도서관은 더 많은 사람이 손님으로 찾아오는 책터가 되기보다는, 책을 알뜰히 아끼고 사랑해 줄 이웃을 손님으로 맞이하는 책터로 간다고 느낀다.


  한 사람이건 만 사람이건 늘 같다. 마음으로 만날 수 있고, 마음을 열어 책을 사귈 수 있으면 된다. 책에서 얻은 이야기를 마음으로 삭혀서 저마다 즐겁게 삶을 가꾸는 밑거름으로 삼으면 기쁘다.


  가만히 보면, 나는 사진책도서관이라는 이름을 붙여 서재도서관을 지켰기에, 사진 이야기를 참 바지런히 쓰고, 다른 아름다운 책을 널리 알리는 일도 제법 씩씩하게 한다. 내가 보기에 나는 참 씩씩하지 싶다. 도서관에서 흘린 땀은 바로 내 눈물이자 웃음이라고 느낀다. 좋구나. 잘 놀았기에 졸음이 쏟아지는 산들보라를 바라본다. 그래, 이제 집으로 돌아가자. 집에 가서 샛밥을 먹자.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