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야구단
박수동 지음 / 대교출판 / 1995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2.14.

만화책시렁 509


《번데기 야구단》

 박수동

 까치

 1977.8.5.



  인천은 서울 곁에서 뭐든지 서울에 빼앗기거나 올려보내는 고장입니다. 좋게 보면 이웃나라에서 처음 들여오는 살림을 먼저 펼쳐 보이는 ‘징검다리’요, 궂게 보면 ‘처음 해보고서 잘잘못을 따진’ 다음 서울에서 펴는 터전이었습니다. 공놀이인 ‘야구’도 인천에서 처음 폈어요. 1982년 ‘삼미 슈퍼스타즈’에 이은 ‘청보 핀토스’나 ‘태평양 돌핀스’가 바닥을 기더라도 “밑바닥은 서로 돌봐야지” 하는 마음이 짙었습니다. 이러구러 《번데기 야구단》은 언니하고 둘이 아끼면서 자주 되읽은 그림꽃 가운데 하나입니다. 보고 또 보고 자꾸 보니 어머니는 “좀 그만 보고 공부 해!” 하고 꾸중하다가 우리 몰래 마을 쓰레기 구덩이에 버렸어요.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니 그림꽃책이 다 사라졌고, 부랴부랴 쓰레기 구덩이를 뒤져 건사하면, 넝마주이를 불러 몽땅 넘기셨지요. 그래도 잃고 잃은 《번데기 야구단》을 책집이며 글붓집(문방구)을 떠돌며 어렵사리 석 자락째 되샀지만, 넉 판째 버려지고는 오래도록 되사지 못 했습니다. 수수한 마을아이가 다 다른 마음을 하나로 모두어 차근차근 솜씨를 갈고닦으며 꽃가마를 타는 줄거리입니다. ‘타고난 재주’ 아닌 ‘땀흘리는 사랑’을 어린이 눈망울로 밝혔어요.


ㅅㄴㄹ


“엄마 혼자 고생한다고 이 시장바닥까지 나와서는 …….” “물꽁은 정말 효자구나!” “그런데 감독님, 새벽연습을 4시부터 하는 건 너무 빠르지 않아요?” “예? 4시라뇨? 우린 6시부터 연습을 하는데요.” (55쪽)


“꼬마야! 너 이렇게 어려운 한자를 다 읽을 수 있니?” “그럼, 이건 아주 쉬운 동화책이야.” “너 한자를 다 알겠구나?” “무슨 소리? 우리 한자는 너무 어렵고 또 글자수가 많아서 늙어죽을 때까지 공부해도 다 알지 못한대!” “그래? 정말 우리 어려운 한자 땜에 골치 아파 죽겠어!” (21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마을 이야기 3
오제 아키라 지음, 이기진 옮김 / 길찾기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3.2.8.

만화책시렁 456


《우리 마을 이야기 3》

 오제 아키라

 이기진 옮김

 길찾기

 2012.3.31.



  삽질하는 무리가 떼돈을 벌면서 떵떵거리는 나라는 죽음길로 치닫습니다. 우리나라가 꼭 이 꼴입니다. 옆나라 일본도 먼나라 미국과 유럽도 삽질로 떼돈벌이를 일삼았고, 이동안 들숲바다를 마구 망가뜨렸습니다. 집을 짓자면 삽질을 할 때가 있을 테지요. 그러나 쇳덩이(자동차)를 더 빨리 달리려고 삽질을 한다면, 구경터·놀이터(관광단지·리조트)를 자꾸 늘리려고 삽질을 한다면, 이때에는 사람들 스스로 죽음터를 쌓는 셈입니다. 《우리 마을 이야기》는 모두 일곱 자락에 걸쳐 ‘죽음삽질’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일본 ‘나리타 산리즈카’ 마을 이야기인데, 우리나라는 ‘인천 영종·용유섬’에 이 죽음삽질을 해댔어요. 곰곰이 보면 경기 김포도 죽음삽질로 망그라진 마을입니다. 하늘나루(공항)가 나쁠 까닭은 없으나, ‘하늘나루를 어떻게 짓느냐’를 돌아볼 노릇입니다. 왜 들숲바다를 파헤치면서 하늘나루·부릉길·놀이터를 때려지어야 할까요? 왜 논밭을 까뒤집고서 잿더미를 들이부어야 할까요? 풀꽃나무가 자라고 새가 노래하고 풀벌레·벌나비가 꽃가루받이를 하던 들숲에 무언가 지으려 한다면, 아주 천천히 보금자리부터 다 옮기도록 하고서 조용히 할 일입니다만, 꽃삽질은 없이 막삽질만 판치는 눈먼 나라입니다.


ㅅㄴㄹ


“지난 2년 동안 당신들은 이해를 구하기만 하고, 땅을 빼앗기고 쫓겨날 판국에 있는 농민을 이해하려고 한 적은 한 번도 없어!” (66쪽)


‘마지막까지 결국 이야기해 주지 않았다. 선생님은 우리를 불쌍히 여길 뿐이었다. 문제의 본질에서 애써 눈을 돌린 채 그저 동정을 보낼 뿐이었다 … 우리가 정말로 가르쳐 줬으면 했던 것, 정말로 배우고 싶었던 것, 우리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문제를 다뤄주는 것을, 끈질기게 피하기만 했던 그 학교에 나는 그날, 작별을 고했다.’ (75, 78쪽)


“동생을 대학에 보내지도 못한다면, 꿈이나 생활을 희생해야만 한다면, 이 싸움에 의미는 없다! 차라리 땅을 팔아버리는 게 나아.” (165쪽)


“오오, 해가 떨어진다. 참 좋다. 이 시간이 경치가 젤로 좋당께. 피곤할 때는 해님한테 인사하고, 빨래 마치고 뜨거운 목욕통에 들어가서, 술을 홀짝 두 잔 정도 마시고 곯아떨어지면, 천국이 따로 없당께.” (185쪽)


“우리가 논밭을 망가뜨리면 어쩌자는 거예요. 우리의 적은 조건파가 아니에요. 우리 농사꾼을 조건파와 반대파로 분열시킨 놈들이야말로 우리의 적이라구요” (207쪽)



#ぼくの村の話 #尾瀬あきら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로 올시다! 6
니시모리 히로유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3.2.8.

만화책시렁 507


《도시로올시다! 6》

 니시노모리 히로유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5.12.25.



  주먹질밖에 모르는 이들은 흠씬 두들겨맞고서도 못 깨닫습니다. 맞으면 맞을수록 ‘맞을 적에 이렇게 아프면, 내가 남을 때릴 적에 남들도 아프겠구나’ 하고 여기기보다는, ‘그래, 남들도 이렇게 아프게 맞아야 해’ 하고 여기기 일쑤입니다. ‘주먹질’을 ‘돈·이름값’으로 바꾸어도 매한가지입니다. 돈을 잃으면 다른 이 돈을 빼앗으려 하고, 이름값이 떨어지면 이웃 이름값을 깎아내리려 하더군요. 《도시로올시다! 6》을 읽으면서 “개똥만도 못 한 짓”을 헤아려 봅니다. 개똥이건 사람똥이건 흙으로 돌아가서 새롭게 풀꽃나무를 살찌우고 북돋웁니다. 똥이 왜 똥인 줄 모르니 흙을 모르고, 흙을 모르니 풀꽃나무를 모르고, 풀꽃나무를 모르니 살림을 모르고, 살림을 모르니 사랑도 사람도 모릅니다. 다른 사람을 할퀴고 싶어서 “똥개 같은 녀석”이라든지 “개만도 못 한 놈” 같은 말을 주워섬기는 이들이 있어요. 이들은 ‘개’를 깎아내리려 하면서 이들 스스로 깎아내리고 갉아먹는 줄 모릅니다. 이 땅에서 배울 마음이 없으니 주먹질·돈질·이름질을 휘두릅니다. 이웃을 사귀거나 어깨동무를 할 마음이 없으니 주먹질·돈질·이름질로 확 밟고 올라서며 우쭐거리려 해요. 마음에 사랑을 품지 않기에 헛발질을 되풀이하는 하루입니다.


ㅅㄴㄹ


“잘 먹었습니다, 하지 못할까!” “자, 잘 먹었습니다.” “저어, 너 내 얘길 듣긴 한 거야?” “아니, 잘 먹었다는 말을 하지 않으면 몹쓸 인간이 아닐까 해서.” (110쪽)


“비겁한 것도, 약속을 어기고 4대 3으로 덤빈 것도, 진 것도, 개똥만도 못 한 것도, 너희들이야! 자, 버섯돌이, 이 녀석을 실켯 패 줘라.” “아니, 그건.” “줄 구해 올게. 목에 묶어서 끌고 다녀.” “아니, 그런 건.” (166쪽)


#道士郞でござる #西森博之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가 서쪽으로 향하면 1
우루시바라 유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3.2.8.

만화책시렁 508


《고양이가 서쪽으로 향하면 1》

 우루시바라 유키

 정은서 옮김

 대원씨아이

 2020.8.31.



  이쪽이냐 저쪽이냐 하고 또렷하게 가르는 길을 ‘과학’이라고 합니다. ‘과학’이라 할 적에는 이쪽저쪽을 모두 걸친다든지 이쪽저쪽뿐 아니라 그쪽하고도 얽히는 길은 내칩니다. 똑떨어지도록 가르기에 ‘과학’으로 여기는데, 이런 옛틀(고전과학)로는 새빛(양자과학)을 풀이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볼 수도 느낄 수도 알 수도 없습니다. 《고양이가 서쪽으로 향하면》은 또렷하게 가를 수 없는 모습이 누구나 눈앞에서 환하게 보고 느낄 수 있도록 나타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적잖은 사람들은 맨눈으로 도깨비나 빛줄기를 못 보지만, 적잖은 사람들은 맨눈으로 도깨비도 빛줄기도 봅니다. 누구는 보고 누구는 못 보는 까닭을 어떤 과학으로도 밝힐 수 없습니다. 아니, 과학은 이런 길하고 등돌리면서 갈래짓기에 파묻힐 뿐 아니라, 총칼(전쟁무기)을 만드는 데에 이바지하기 일쑤예요. 고양이가 하늬녘으로 가면 무엇이 바뀔까요? 새가 샛녘으로 날면 무엇이 다를까요? 나비가 높녘으로 팔랑거리거나 개구리도 마녘으로 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못박으려’ 하면 ‘틀에 박힙’니다. 아이들더러 이렇게 해야만 한다고 가르치면 아이들은 넋도 얼도 숨도 시들다가 죽습니다. 느긋하게 살림을 지으며 함께 놀고 노래할 적에 아이들이 웃어요.


ㅅㄴㄹ


“그게 언제인지는 사람마다 다르고, 무리해서 꼭 지금 결정할 것 없잖아?” “그런가요? 꼭 지금 결정하지 않아도 되나요?” (30쪽)


“미안. 90년까지 가는 경우는 거의 없어. 다만, 플로우로 잃어버린 것을 언제 되찾을 수 있을지 전전긍긍해 봤자 재미없잖아. 결국은 원래대로 회복되니까 그때까지는 한숨 돌릴 시간이 생겼다고 마음 편히 생각하면 어때?” (62쪽)


“이런 곳에 들어갔는데, 무사할까요?” “들어갔다고 어떻게 되진 않습니다. 아마도. 잠깐 들어가서 보고 올게요.” (133쪽)


#YukiUrusibara #猫が西向きゃ #漆原友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 우리 할머니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기억합니다
한성원 지음 / 소동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자취(간기)에 “윤미향 편집”이라 적힌 대목을 보고는 ‘정의연 윤미향’인 줄 잘못 알았습니다. 말썽을 일으킨 그분이 아닌 ‘책마을 엮음이로 일하는 윤미향’ 님이 따로 있습니다. 이름이 같을 뿐인 다른 사람을 제대로 살피지 못 하고서 쓴 느낌글은 지웠습니다. 잘못했습니다. 느낌글을 새로 갈무리해서 올려놓습니다.


.

.


숲노래 만화책

만화책시렁 472


《할머니, 우리 할머니》

 한성원

 소동

 2020.12.5.



  꽃할머니 이야기를 ‘기억과 기록’으로 묶었다고 하는 《할머니, 우리 할머니》를 장만하고서 한 해를 묵혔습니다. 이 책을 보면 그린이가 자꾸자꾸 “귀여운 할머니”라든지 “배우 하셔도 될 만큼 고우십니다”처럼 겉모습을 따지는데, 아주 거북합니다. ‘할머니를 기억하고 기록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그린이 모습을 자주 집어넣습니다. 구태여 ‘그린이 얼굴 자랑(?)’을 해야 할까요?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46쪽)” 하고 적습니다만, 이옥선 님이 외친 말을 옮겼듯 사람들은 ‘할머니’라 할 뿐입니다. 1993∼1998년에 할머니들은 손수 그림을 그리면서 멍울을 달래었고, 이때 김순덕 할머니 〈못 다 핀 꽃〉을 비롯해 숱한 꽃그림은 ‘덧없는 총칼(전쟁무기)’로는 아무런 사랑도 꿈도 살릴 수 없다는 숨결을 보여주었습니다. 《꽃할머니》라는 이름을 붙인 그림책도 있습니다. 이분들뿐 아니라 모든 할머니를 수수하게 ‘꽃’으로 가리키기도 하는데, ‘꽃잎’이란 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일본 벼슬아치를 마주한 자리에서는 “너희가 사람을 ‘노리개’로 짓밟지 않았느냐!” 하고 따질 만하겠지요. ‘기림의 날’은 일본말씨입니다. ‘-의 존재’도, ‘제정·사용·용어·미소’도 일본말씨입니다. 책을 얼른 덮었습니다. ‘기억·기록’ 말고 ‘생각’을 하길 빕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