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팡구 28
가와구치 가이지 글.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30.

만화책시렁 532


《지팡구 28》

 카와구치 카이지

 정은서 옮김

 서울문화사

 2008.6.25.



  중국에서 일본을 가리키는 이름을 마르코 폴로가 소릿결 그대로 적어서 자리잡은 ‘지팡구(Zipangu)’라 하고, 이 소릿결이 ‘Japan’으로 굳었다고 합니다. 《지팡구》는 큰나라(중국)하고 하늬물결(서양) 사이에 낀 일본이 스스로 우뚝서서 이름을 떨치고 힘을 펴겠노라는 뜻을 싸움배(군함)를 바탕으로 보여주는 얼거리라고 할 만합니다. 곰곰이 보면 우리나라도 ‘코리아(고려·Korea)’하고 ‘한국·대한민국’ 같은 이름을 나란히 씁니다. 굳이 어느 이름이 옳거나 맞다고 내세울 수 없습니다만, ‘지팡구’도 ‘코리아’도 ‘들꽃(사람들)’이 아닌 ‘우두머리(권력자)’ 눈으로 나라를 세우거나 지키거나 드날리려고 하는 마음이 깃드는 이름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나라이름’을 앞세울 적에는 언제나 ‘나라’만 남을 뿐, 들꽃(사람들)은 톱니(부속품·소모품)로 다루다가 버립(죽습)니다. 그림꽃을 남긴 이는 ‘극우·군국주의’가 아니라고 밝히는 듯싶으나, 들꽃을 총알받이로 여기면서 나라이름을 허울스럽게 내세우고 미국을 때려부수면서 자랑스레 눈물을 흘리겠다는 줄거리에는 아무런 사랑·꿈·살림·꿈이 없게 마련입니다. 어깨동무(평화·평등)하고도 엇나갈 뿐 아니라, ‘지팡구 스스로 저지른 짓’도 다 눈감고 말 테지요.


ㅅㄴㄹ


“다만 일본이나 만철에서 도망쳤을 때는 혼자였지만, 이번에는 동료가 있어. 이윽고 비참한 패전을 맞이하게 될 바로 이 나라, 이 나라와 함께 도망칠 거다!” (39∼40쪽)


“함이나 항모기를 어느 정도 잃어봤자 미국은 꺾이지 않아. 공업력에 자원도 가진 대국이기 때문이지. 그러나 국민의 생명을 한꺼번에 잃으면 이야기가 달라져! 쿠사카는 그걸 잘 알고 있어.” (123쪽)


‘바다 위에 떠 있는 쇠로 된 우리 안에서, 이 중압감에서 도망칠 길은, 유감스럽게도 하나밖에 없다.’ (142쪽)


#ジパング #川口開治


허접한 만화책을

굳이 느낌글로 남긴다.

뭐가 왜 허접한지

남겨 놓는 목소리도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전쟁애호가(또는 전쟁무기 매니아)’가 많다.

‘전쟁무기 매니아’는 언제나 그들 스스로

‘극단 애국주의·충성심’에

‘독재·파괴·마초·분열’로 치닫는 줄

못 느끼고 못 보는구나 싶다.


전쟁무기 매니아가 많은 탓에

이런 만화를 끝없이 그리고 읽고 팔고

만화영화로도 또 만드는구나 싶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세우스의 배 4
히가시모토 도시야 지음, 장선정 옮김 / 비채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3.3.18.

책으로 삶읽기 810


《테세우스의 배 4》

 히가시모토 도시야

 장선정 옮김

 비채

 2023.1.13.



《테세우스의 배 4》(히가시모토 도시야/장선정 옮김, 비채, 2023)을 읽었다. 애꿎은 죽음을 바라지 않을 뿐 아니라, 애꿎게 내몰려 사슬터에 갇힌 아버지를 처음으로 만나서 눈물을 떨군 젊은이는 ‘어제랑 다르게 흐르는 오늘’을 마주하고는 어리둥절하다가 이내 넋을 차린다. 마을을 통째로 집어삼키듯 죽음수렁으로 내몬 놈은 어제에도 오늘에도 버젓이 탈을 쓴 채 숨어서 히죽거린다지. 젊은이는 ‘죽임이’가 따로 있는 줄 여태 생각조차 하지 않다가, ‘죽임이’가 따로 있을 뿐 아니라, 늘 저를 몰래 지켜보면서 낄낄거리는 줄 느끼고는 더 단단히 마음을 먹는다. 모든 어제는 어제로 끝나지 않고 오늘로 잇는다. 모든 오늘은 ‘어제를 바꿀 수 없다’기보다, 모든 오늘은 ‘어제랑 맞물려 모레로 새롭게 나아가는 길목’이다. 그러니 오늘 스스로 어떻게 마음을 다지면서 한 발짝을 내딛으려 하느냐에 따라서 모든 삶을 바꾸거나, 굴레를 씻거나, 살림꽃을 피우거나, 죽음수렁에 잠길 수 있다. 다른 사람 눈치를 볼 일이 아니다. 스스로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을 일이다. 남을 쳐다보느라 스스로 마음에 사랑씨앗을 안 심을 적에는, 바로 우리 스스로 나부터 죽음수렁으로 내몬다.


ㅅㄴㄹ


“누군가 일부러 현장에 키홀더를 떨어뜨린 겁니다. 이건 메시지입니다.” (40쪽)


“그럴 리가 없잖아? 내가 사람을 죽이다니!” “그럼에도 사노 씨는 체포됐습니다.” (69쪽)


‘만약 한 번 더 1989년으로 돌아가서, 사건을 막으면 과거는 바뀐다. 분명 현대도 또 지금과 다른 세계가 된다. 나는 이미 원래의 세계로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171쪽)


‘그때 그 그림과 같다! 범인은 살아 있어! 이 현대에서도 살아 있다! 이 그림, 누구일까?’ (181쪽)


#テセウスの船 #東元俊哉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매진 10
마키무라 사토루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숲노래 만화책 2023.3.16.

만화책시렁 524


《이매진 10》

 마키무라 사토루

 서미경 옮김

 서울문화사

 2002.6.10.



  사랑이란 무엇인가 하고 돌아보노라면, 몸을 쓰다듬거나 어루만지는 길하고는 동떨어지게 마련입니다. 사랑은 ‘몸’이 아닌 ‘마음’을 바라보는 길이거든요. 그러나 둘레 거의 모든 글(문학)이나 그림(영상)은, 사랑을 마음이 아닌 몸하고 얽힌 결로만 나타내곤 합니다. 《이매진》도 처음부터 끝까지 ‘몸’을 어루만지거나 쓰다듬는 줄거리가 꽤 나와서 ‘제발 이런 모습은 안 그리면 안 되나?’ 하고 자꾸자꾸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그림꽃님이 ‘몸짓’을 그려내지 않으면 못 알아볼 사람이 수두룩하리라 봅니다. 어루만짐이나 쓰다듬이 아닌, 마음보기로 사랑을 그릴 적에 얼마나 알아보는가요? 안거나 품는 몸짓이 아닌, 안거나 품는 마음빛을 얼마나 느끼는가요? 사랑을 알려면 ‘그려’야 합니다. 사랑을 알고 싶으면 ‘그만 만져’야 합니다. 사랑을 하려면 ‘그릴’ 노릇입니다. 사랑을 하고 싶으면 ‘그만 쳐다볼’ 노릇입니다.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사랑하고 동떨어진 살섞기가 마치 사랑인 줄 잘못 압니다. 한자말로 하자면 ‘착각’이지요. 사랑은 살섞기일 수 없습니다. 살섞기는 그저 ‘살섞기’입니다. 사랑을 알고 싶거나 하고 싶으면, 먼저 크게 앓아누울 일이요, 앓아누워 꼼짝을 못 하다 보면, 천천히 눈뜰 만합니다.


ㅅㄴㄹ


“내가 너무 불완전하고 허점투성이라서 타나카 님한테 채워 달라고 모든 체중을 맡겨버리면 그건 연애가 아니라 어린애와 보호자 관계가 되는 거야.” (42쪽)


“어떤 걸 좋아하느냐는 영혼의 문제라구! 중요하잖아? 그렇게 생각 안 해요? 그런 것도 모르면서 ‘그이랑 잘 안 된다’고 친구한테 푸념을 늘어놓으면 번지수가 틀린 거야.” (123쪽)


“회사 일 말고 자기 세계를 갖는 게 좋아. 회사는 우리가 어떻게 된다고 도와주지 않아. 좋아하는 영화를 보는 게 개인적으론 훨씬 영양가 있는 투자야.” (149쪽)


#まきむらさとる #イマジン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세우스의 배 2
히가시모토 도시야 지음, 장선정 옮김 / 비채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12.

만화책시렁 523


《테세우스의 배 2》

 히가시모토 도시야

 장선정 옮김

 비채

 2023.1.13.



  누나가 뭘 했건 누나 일입니다. 할아버지가 뭘 했건 할아버지 일이에요. 나라(정부)·배움터(학교)·마을(사회)이라는 틀을 세우면, 누나도 할아버지도 ‘한묶음’으로 바라봅니다. 뭔가 한 사람이 훌륭하다면 마치 나라·마을·배움터가 나란히 훌륭한 듯 우쭐대요. 뭔가 한 사람이 엉터리라면 마치 어느 집안·마을·배움터·나라가 통째로 엉터리인 듯 나무라거나 따돌립니다. 《테세우스의 배》는 ‘싸잡음’이란 무엇인가를 짚으면서 ‘애먼 손가락질’을 받으며 힘겨운 집안에서 나고자란 아이들이 저마다 살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참 우습지만 ‘틀(정부·집단·사회·학교)’을 세우는 모든 곳이 이 따위로 흐릅니다. 넝마주이라는 일을 한대서 사람이 넝마이지 않습니다. 임금이란 자리에 있기에 사람이 높지 않습니다. 오직 마음을 바라볼 일입니다. 그렇지만 틀을 세운 터전에서는 사람을 갈라치기를 하면서 울타리에 깃들라고 닦달해요. 울타리 바깥으로 안 쫓겨나기를 바라면서 겨루고, 쫓겨난 놈을 새삼스레 내치면서 짓밟습니다. 바른길이란 밝음길이요, 해님처럼 누구나 고루 포근히 안는 길입니다. 해님이 아니고 밝지 않다면 ‘바른길 시늉’입니다. 시늉을 하는 껍데기를 털어내거나 씻을 때라야 마음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ㅅㄴㄹ


‘과거를 바꾼다. 과거를 바꾸면 미래는 어떻게 되지? 앞으로 일어날 오토우스 초등학교 무차별 살인사건을 막으면 현재의 세계는 어떻게 될까.’ (12쪽)


‘이상적인 아버지에 대해 늘 생각했다. 얼마를 버는지 유능한지 상식이 어떤지 그런 거랑은 상관없다. 좋은 아버지의 조건은 늘 단 하나였다. 언제라도 가족과 마주할 수 있는 사람. 세상에서 가장 가족과 잘 마주할 수 있는 사람.’ (88쪽)


“그렇군요. 따님은 지금 어떻게 지낼까요. 분명 의미가 있을 겁니다. 다무라 씨가 여기에 온 건 이유가 있을 거예요.” (101쪽)


“그냥 하는 말인 거 알아. 그래도 그런 말 함부로 하는 거 아냐. 죽어도 되는 사람은 없어!” (184쪽)


#テセウスの船 #東元俊哉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생수 애장판 1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6.

만화책시렁 515


《기생수 1》

 이와아키 히토시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5.25.



  사람은 이 별에 왜 태어났을까요? 우리는 이 대목을 어느 만큼 스스로 살피거나 묻는 하루를 보낼까요? 어버이는 왜 아이를 낳을까요? 어버이란 자리는 무슨 살림을 어떤 숨결로 짓는 길일까요? 아이들은 왜 어린이집을 다녀야 하고, 왜 배움터에 들어가서 기나긴 푸른날을 보내야 할까요? 어른들은 왜 아이들을 가르치려 하고, 무엇을 가르칠 셈일까요? 아주 투박하되 마땅히 늘 되새길 이야기입니다만, 막상 이 나라는 이런 이야기를 스스로 돌아보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한테 들려주지도 않는 얼거리입니다. 《기생수 1》를 되읽었습니다. 스무 해 만입니다. 그림꽃님은 ‘기생수’라는 이름을 붙였되, 이 이름은 ‘오직 사람이란 자리에서 쳐다보며 붙였다’는 밑뜻을 넌지시 보여줍니다. ‘사람들’로서는 ‘사람을 잡아먹는 몹쓸것(괴물)’이 자꾸 들러붙는다(기생)고 여기거든요. 그런데 이 푸른별에 잿더미(도시)를 세워서 서로 어깨동무가 아닌 다툼질에 훔침질에 괴롭힘질에 막짓을 일삼는 ‘사람들’이야말로 ‘별에 들러붙은’ 놈팡이라 해야 어울리지 않을까요?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아름길이 아닌, 자꾸 총칼(전쟁무기)을 만들고 끝없이 다투는 바보짓을 일삼는 사람들이야말로 ‘거머리’라고 여겨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내 ‘동족’들은 그저 먹고 있을 뿐이야. 생물이니 당연하지. 신이치는 동족이 먹히는 게 그렇게도 싫은가?” “당연하지! 인명은 존엄한 거야!” “모를 소리군. 존엄한 것은 자기 목숨뿐이야. 나는 남의 목숨이 소중하다고 생각한 적은 없어.” “당연하지! 너는 짐승이니까!” “그건 나를 비하하는 표현인가?” (88쪽)


“신이치, ‘악마’라는 것을 책에서 찾아봤는데, 그것에 가장 가까운 생물은 역시 인간으로 판단된다. 인간은 거의 모든 종류의 생물을 잡아먹지만, 내 ‘동족’들이 먹는 것은 고작 한두 종류야. 훨씬 간소하지.” (90쪽)


“생물은 장난감이 아니야! 모두 살아 있다구! 너희들처럼!” (112쪽)


#寄生獣  #岩明均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