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진 10
마키무라 사토루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숲노래 만화책 2023.3.16.

만화책시렁 524


《이매진 10》

 마키무라 사토루

 서미경 옮김

 서울문화사

 2002.6.10.



  사랑이란 무엇인가 하고 돌아보노라면, 몸을 쓰다듬거나 어루만지는 길하고는 동떨어지게 마련입니다. 사랑은 ‘몸’이 아닌 ‘마음’을 바라보는 길이거든요. 그러나 둘레 거의 모든 글(문학)이나 그림(영상)은, 사랑을 마음이 아닌 몸하고 얽힌 결로만 나타내곤 합니다. 《이매진》도 처음부터 끝까지 ‘몸’을 어루만지거나 쓰다듬는 줄거리가 꽤 나와서 ‘제발 이런 모습은 안 그리면 안 되나?’ 하고 자꾸자꾸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그림꽃님이 ‘몸짓’을 그려내지 않으면 못 알아볼 사람이 수두룩하리라 봅니다. 어루만짐이나 쓰다듬이 아닌, 마음보기로 사랑을 그릴 적에 얼마나 알아보는가요? 안거나 품는 몸짓이 아닌, 안거나 품는 마음빛을 얼마나 느끼는가요? 사랑을 알려면 ‘그려’야 합니다. 사랑을 알고 싶으면 ‘그만 만져’야 합니다. 사랑을 하려면 ‘그릴’ 노릇입니다. 사랑을 하고 싶으면 ‘그만 쳐다볼’ 노릇입니다.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사랑하고 동떨어진 살섞기가 마치 사랑인 줄 잘못 압니다. 한자말로 하자면 ‘착각’이지요. 사랑은 살섞기일 수 없습니다. 살섞기는 그저 ‘살섞기’입니다. 사랑을 알고 싶거나 하고 싶으면, 먼저 크게 앓아누울 일이요, 앓아누워 꼼짝을 못 하다 보면, 천천히 눈뜰 만합니다.


ㅅㄴㄹ


“내가 너무 불완전하고 허점투성이라서 타나카 님한테 채워 달라고 모든 체중을 맡겨버리면 그건 연애가 아니라 어린애와 보호자 관계가 되는 거야.” (42쪽)


“어떤 걸 좋아하느냐는 영혼의 문제라구! 중요하잖아? 그렇게 생각 안 해요? 그런 것도 모르면서 ‘그이랑 잘 안 된다’고 친구한테 푸념을 늘어놓으면 번지수가 틀린 거야.” (123쪽)


“회사 일 말고 자기 세계를 갖는 게 좋아. 회사는 우리가 어떻게 된다고 도와주지 않아. 좋아하는 영화를 보는 게 개인적으론 훨씬 영양가 있는 투자야.” (149쪽)


#まきむらさとる #イマジン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세우스의 배 2
히가시모토 도시야 지음, 장선정 옮김 / 비채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12.

만화책시렁 523


《테세우스의 배 2》

 히가시모토 도시야

 장선정 옮김

 비채

 2023.1.13.



  누나가 뭘 했건 누나 일입니다. 할아버지가 뭘 했건 할아버지 일이에요. 나라(정부)·배움터(학교)·마을(사회)이라는 틀을 세우면, 누나도 할아버지도 ‘한묶음’으로 바라봅니다. 뭔가 한 사람이 훌륭하다면 마치 나라·마을·배움터가 나란히 훌륭한 듯 우쭐대요. 뭔가 한 사람이 엉터리라면 마치 어느 집안·마을·배움터·나라가 통째로 엉터리인 듯 나무라거나 따돌립니다. 《테세우스의 배》는 ‘싸잡음’이란 무엇인가를 짚으면서 ‘애먼 손가락질’을 받으며 힘겨운 집안에서 나고자란 아이들이 저마다 살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참 우습지만 ‘틀(정부·집단·사회·학교)’을 세우는 모든 곳이 이 따위로 흐릅니다. 넝마주이라는 일을 한대서 사람이 넝마이지 않습니다. 임금이란 자리에 있기에 사람이 높지 않습니다. 오직 마음을 바라볼 일입니다. 그렇지만 틀을 세운 터전에서는 사람을 갈라치기를 하면서 울타리에 깃들라고 닦달해요. 울타리 바깥으로 안 쫓겨나기를 바라면서 겨루고, 쫓겨난 놈을 새삼스레 내치면서 짓밟습니다. 바른길이란 밝음길이요, 해님처럼 누구나 고루 포근히 안는 길입니다. 해님이 아니고 밝지 않다면 ‘바른길 시늉’입니다. 시늉을 하는 껍데기를 털어내거나 씻을 때라야 마음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ㅅㄴㄹ


‘과거를 바꾼다. 과거를 바꾸면 미래는 어떻게 되지? 앞으로 일어날 오토우스 초등학교 무차별 살인사건을 막으면 현재의 세계는 어떻게 될까.’ (12쪽)


‘이상적인 아버지에 대해 늘 생각했다. 얼마를 버는지 유능한지 상식이 어떤지 그런 거랑은 상관없다. 좋은 아버지의 조건은 늘 단 하나였다. 언제라도 가족과 마주할 수 있는 사람. 세상에서 가장 가족과 잘 마주할 수 있는 사람.’ (88쪽)


“그렇군요. 따님은 지금 어떻게 지낼까요. 분명 의미가 있을 겁니다. 다무라 씨가 여기에 온 건 이유가 있을 거예요.” (101쪽)


“그냥 하는 말인 거 알아. 그래도 그런 말 함부로 하는 거 아냐. 죽어도 되는 사람은 없어!” (184쪽)


#テセウスの船 #東元俊哉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생수 애장판 1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6.

만화책시렁 515


《기생수 1》

 이와아키 히토시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5.25.



  사람은 이 별에 왜 태어났을까요? 우리는 이 대목을 어느 만큼 스스로 살피거나 묻는 하루를 보낼까요? 어버이는 왜 아이를 낳을까요? 어버이란 자리는 무슨 살림을 어떤 숨결로 짓는 길일까요? 아이들은 왜 어린이집을 다녀야 하고, 왜 배움터에 들어가서 기나긴 푸른날을 보내야 할까요? 어른들은 왜 아이들을 가르치려 하고, 무엇을 가르칠 셈일까요? 아주 투박하되 마땅히 늘 되새길 이야기입니다만, 막상 이 나라는 이런 이야기를 스스로 돌아보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한테 들려주지도 않는 얼거리입니다. 《기생수 1》를 되읽었습니다. 스무 해 만입니다. 그림꽃님은 ‘기생수’라는 이름을 붙였되, 이 이름은 ‘오직 사람이란 자리에서 쳐다보며 붙였다’는 밑뜻을 넌지시 보여줍니다. ‘사람들’로서는 ‘사람을 잡아먹는 몹쓸것(괴물)’이 자꾸 들러붙는다(기생)고 여기거든요. 그런데 이 푸른별에 잿더미(도시)를 세워서 서로 어깨동무가 아닌 다툼질에 훔침질에 괴롭힘질에 막짓을 일삼는 ‘사람들’이야말로 ‘별에 들러붙은’ 놈팡이라 해야 어울리지 않을까요?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아름길이 아닌, 자꾸 총칼(전쟁무기)을 만들고 끝없이 다투는 바보짓을 일삼는 사람들이야말로 ‘거머리’라고 여겨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내 ‘동족’들은 그저 먹고 있을 뿐이야. 생물이니 당연하지. 신이치는 동족이 먹히는 게 그렇게도 싫은가?” “당연하지! 인명은 존엄한 거야!” “모를 소리군. 존엄한 것은 자기 목숨뿐이야. 나는 남의 목숨이 소중하다고 생각한 적은 없어.” “당연하지! 너는 짐승이니까!” “그건 나를 비하하는 표현인가?” (88쪽)


“신이치, ‘악마’라는 것을 책에서 찾아봤는데, 그것에 가장 가까운 생물은 역시 인간으로 판단된다. 인간은 거의 모든 종류의 생물을 잡아먹지만, 내 ‘동족’들이 먹는 것은 고작 한두 종류야. 훨씬 간소하지.” (90쪽)


“생물은 장난감이 아니야! 모두 살아 있다구! 너희들처럼!” (112쪽)


#寄生獣  #岩明均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시오기쿠보 런스루 1
유키 링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4.

책으로 삶읽기 806


《니시오기쿠보 런스루 1》

 유키 링고

 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20.7.15.



《니시오기쿠보 런스루 1》(유키 링고/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20)을 읽었다. 꿈으로 달려가려는 길을 ‘일자리’에서 찾아나서려는 스무 살 젊은이가 부대끼는 하루를 가만히 보여준다. 그림을 좋아하고, 그림꽃(만화)을 그리고 싶으며, 이 일로 일찌감치 돈벌이를 할 수 있으면 굳이 열린배움터(대학교)를 안 다녀도 되리라 여기는 마음을 가만히 보여준다. 굳이 네 해를 더 배움터에서 보내야 할 까닭은 없지. 배움터를 다녀서 나쁠 일은 없되, 앞길을 망설이지 않고서 달려가는 일도 나쁠 까닭이 없다. 왜 종잇조각(졸업장·자격증)이 있어야 할까? 종잇조각은 틀림없이 거머쥐었다지만, 술을 퍼마시고서 부릉부릉 모는 놈이 수두룩하다. 종잇조각은 있다지만, 어리석거나 괘씸하거나 사납거나 끔찍한 짓을 일삼는 놈도 숱하다. 종잇조각으로는 삶도 일솜씨도 밝히지 못 한다. 오직 오늘 하루 이곳에서 스스로 짓는 모습과 몸짓이 삶을 밝힐 뿐이다. 배움터를 다녀도 배우고, 일터를 다녀도 배운다. 집에서도 배우고, 마을에서도 배운다. 사람한테서도 배우고, 바람한테서도 배운다. 그리면서도 배우고, 놀고 쉬면서도 배운다. 아이 곁에서도 배우고, 이웃 사이에서도 배우니, 늘 배우는 하루인 줄 느끼면서 오늘을 그리고 지으면 언제나 노래하는 마음으로 빛나리라.


ㅅㄴㄹ


‘아무리 집안이 시끄러워도 시험 결과가 안 좋아서 선생님한테 불려가도 괴롭고 울고 싶어도 그림은 그릴 수 있었다.’ (30쪽)


“제작 쪽에서 난리났던데요. 미츠 선배 빡빡하게 리테이크 요구하셨다면서요.” “리테이크 분량은 애정이랑 비례해.” (101쪽)


“너희를 키워가는 게 어른의 의무란다!” (146쪽)


‘만약 그만둔다면 지금까지 해온 건 뭐였을까.’ (167쪽)


#ゆき林檎 #西荻窪ランスル?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생수 애장판 4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3.4.

책으로 삶읽기 809


《기생수 4》

 이와아키 히토시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8.25.



《기생수 4》(이와아키 히토시/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을 가만히 되읽었다. 잃은 어머니하고 잃을는지 모르는 동무 사이에서 맴도는 아이는 ‘오른손이’가 아니고는 마음을 터놓을 수 없다. 누가 사람이고 누가 사람이 아닐까? 누가 사람답고 누가 사람답지 않을까? 이제 고작 열일고여덟 살 즈음인 푸름이로서 무엇을 옳거나 그르다고 가를 만할까? 아니 이쪽은 옳고 저쪽은 그르다고 갈라도 될까? 사람이 하는 일은 다 옳고 ‘사람 아닌 목숨’은 ‘사람이 아니’기에 다 나쁘다고 여겨야 하는가? 사람들이 총칼을 휘두르면서 일으키는 싸움판에서는 함부로 죽여도 되지만, 바보짓을 일삼는 사람을 거꾸러뜨리면 나쁘다고 잘라말할 수 있는가? 《기생수 4》은 아이가 헤매는 마음을 어떻게 종잡아야 할는지 모르는 가장 어지러우면서 힘든 고빗사위를 그려낸다.


ㅅㄴㄹ


“왜 그래?” “아니, 조금 전과는 완전히 딴판이라서.” “이만하면 평범한 모습 아닌가?” “그렇군.” (66쪽)


“상대방도 우릴 알아차린 것 같아. 하지만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우리에게 별 관심이 없는 모양이군. 그 둘끼리만 끊임없이 반응하고 있다. 대화를 하고 있나 봐 … 쫓아가서 어쩌려고?” “살인을 그만두게 만들 거야.” “전혀 구체적이지 않군. 싸울 생각이야, 아니야?” (95쪽)


“네 놈은 인간도 아니라구!” ‘인간이 아니야!’ ‘피도 눈물도 없다는 건 널 두고 하는 말이야!’ (206쪽)


“뛰어! 쫓아가! 그리고 죽여!” (28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