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휴일 1
신조 케이고 지음, 장혜영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3.5.8.

만화책시렁 536


《매일 휴일 1》

 신조 케이고

 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5.30.



  모든 하루는 다릅니다. 누구라도 똑같은 하루를 맞이하지 않습니다. 어제까지 신나고 재미나고 놀라운 하루였어도, 오늘은 어제 같지 않아요. 어제까지 내도록 슬프고 괴롭고 아픈 나날이었어도, 오늘은 어제 같을 수 없습니다. 늘 다를 뿐 아니라, 아침마다 새로 여는 날입니다. 누구나 고르게 아침해를 보고, 저녁별을 만나요. 별빛을 바라보면서 어떤 마음으로 잠자리에 드나요? 햇빛을 마주하면서 어떤 꿈으로 일어서나요? 《매일 휴일 1》를 읽었습니다. 이내 2∼4을 내리 읽었습니다. 튀거나 남다르지 않은 수수한 줄거리로 조촐하게 여민 이야기가 흐릅니다. “ひら やすみ”는 “그냥 쉰다”나 “그저 쉰다”로 옮길 만합니다. 달종이에 빨강으로 적혔기에 쉬지 않습니다. 달종이에 까망으로 적혔기에 일하지 않습니다. 날달철해를 가리지 않으면서 스스로 품은 뜻을 펴는 하루입니다. 비가 오면 비내음을 맡고, 눈이 오면 눈빛을 품어요. 바람이 불면 바람을 타고, 바람이 자면 풀노래를 듣습니다. 숨을 쉬듯 일을 합니다. 바람이 흐르듯 놀이를 합니다. 별이 돋고 지듯 서로 만나고, 새가 날아오르다가 내려앉듯 살림을 여밉니다. 힘들여야 할 일이란 없습니다. 마음을 쓰고, 사랑을 담으며, 꿈을 펴는 일이 넉넉히 있습니다.


ㅅㄴㄹ


나츠미는 이 밤을 평생 못 잊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히로토도 다음에 히데키를 만났을 때를 위해 기억해 두자고 생각했습니다. (75쪽)


나중에 알았지만, 아카리도 대학에 와서 처음 사귄 친구였던 것 같습니다. (117쪽)


한가롭게 걷다가 근사한 집을 발견했습니다.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다가 집주인 할머니에게 혼났습니다. (187쪽)


#ひらやすみ #真造圭伍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의 꽃 5 - 완결
이현세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3.5.8.

만화책시렁 516


《폴리스 2》

 이현세

 팀매니아

 1994.2.16.



  끝으로 가는 무리는 만납니다. 끝으로 가는 무리짓기는 외곬로 치달으면서 싸움(전쟁)을 즐깁니다. 이 끝이든 저 끝이든, 끝에 서는 이들은 그들만 옳고 맞고 바르다고 여기는 터라, ‘그들끼리 지은 무리’가 모든 힘·이름·돈을 거머쥐어야 한다고 여깁니다. 이들한테는 틀림없이 ‘무리짓는 힘·이름·돈’이 있으며, 이들은 으레 ‘우두머리(지도자·대표)’를 내세우고 섬기는 서울살이를 하면서, ‘사랑·살림·숲·어린이·시골’은 노상 이들 눈밖에 납니다. 2023년 첫머리에 갑자기 이현세 씨 그림꽃이 잔뜩 나옵니다. 무슨 일인가 아리송한데, 꼰대(마초macho) 가운데 으뜸이라 할 이이 그림꽃을 누구한테 왜 읽힐 만한가 하고 돌아본다면, 이제는 이 땅에서 걷어낼 얼룩일 텐데 싶어요. 다만, 하나를 느낍니다. 한쪽에서 ‘페미니즘’을 다루는 책이 목소리를 높이면서, 맞은쪽에서는 이현세 씨 책 같은 ‘마초’를 다루는 책이 목소리를 높입니다. 이쪽도 저쪽도 ‘사랑·어깨동무·숲·어린이’하고 등지는 얼거리입니다. 함께 살림순이에 살림돌이로 거듭나면서 삶짓기를 할 적에 아름다울 텐데, 언제까지 《폴리스》 같은 낡은책을 그리거나 읽혀야 할까요? 눈먼 나라사랑(애국·충성)에서 허우적대는 몰골이 안쓰럽습니다.


ㅅㄴㄹ


“다른 곳도 사람이 필요하겠지만 경찰계는 더더욱 인재가 부족한 현실이네. 범죄가 점점 전문화되고 지능화되는 판국에 인재를 곶감 빼먹듯 빼가니 어이없고 기가 막히지.” “전 경찰을 천직으로 알고 있습니다. 본부장님.” (48쪽)


“저것이 바로 돈의 힘이다. 저들은 속으로 나를 돈벌레라고 비웃고 무시하지만, 돈의 위력 앞에서는 굴복하는 것이다. 하지만 너는 돈과 명예가 어울린 진정한 상류사회의 인생을 살아가갈 애빈 바란다.” (89쪽)


“소위 밝은 세계의 양반들은 자신들의 체면과 명예 권력 따위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필요하고, 우린 상부상조하지.” “자신만만하군, 황대치.” “애송이 검사는 날 잡았다고 영웅심리에 빠져 있겠지만 소용없는 일이야.” (15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플 2 - C-Town People, for my fenerzation girls Vol.2
이진경 지음 / 길찾기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3.5.8.

만화책시렁 531


《피플 C-Town People vol.2》

 이진경

 길찾기

 2003.12.18.



  《피플 C-Town People vol.2》을 읽었습니다. “for my fenerzation girls”라고 붙인 이름에 나오는 ‘페너제이션’은 “femi + energy + generation”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푸른별이 아름답지 않은 길을 걸어온 자취가 뚜렷하기에 ‘순이물결’을 노래할 만하고, 노래할 노릇입니다. 그런데 ‘순이’처럼 쓰는 우리말에는 ‘수수함·수더분함’뿐 아니라 ‘숨·숲’이라는 밑뜻이 깃들어요. 굳이 ‘기운(에너지)’을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아니, 우리말로 이 땅에서 살아가는 수수한(작은) 이웃을 돌아보면 됩니다. 아름나라는 순이만 살지 않고, 또 돌이만 살지 않습니다. ‘아름다운’ 나라는 너랑 나 사이에는 오직 빛 한 줄기가 흐를 뿐, 서로 다르면서 같은 사람인 줄 느끼고 맞아들여서 살림을 짓는 사랑이 흐르는 삶이게 마련입니다. 사람도 새도 왼길로 치닫거나 오른길로 달리다가는 서로 끝장납니다. 순이돌이는 하늘빛으로 함께 사랑하는 새길을 지을 적에 서로 빛나요. 이진경 님이 내놓은 ‘순이그림꽃(페미니즘 만화)’은 나쁘지 않습니다만, 어수선하고 어지러워요. 알을 깨고 새로 태어나자면 어지러움(카오스)을 지나야 하되, 외곬은 스스로 무너지면서 이웃까지 무너뜨리려 할 뿐입니다. 서울을 떠나 숲을 숨쉬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야아, 저게 바로 짧은 역사로 인한 콤플렉스라는 거야.” “횃불은 왜 안 들었누.” “설마 인상된 등록금이 다 저기로?” (50쪽)


“저런 단순 건전한 남자는 마초보다 더 나빠요. 저런 남자와 붙어다니다간 멍청해진 무의식만 남아서 애니의 작가생활은 끝장날 겁니다. 예민해지게 돕는 것이 진짜 친구의 역할 아니겠습니까?” (11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즈카 오사무 이야기 1: 1928 ~ 1946
반 토시오, 테즈카 프로덕션, 아사히 신문사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3.4.29.

만화책시렁 526


《테즈카 오사무 이야기 1 : 1928∼1946》

 반 토시오·테즈카 프로덕션

 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3.6.25.



  우두머리가 서더니, 싸움질을 부추기며, 총칼을 만드는 일에 큰돈을 들이면서 일자리를 늘리고, 총칼 만드는 일터에 들어가면 일삯을 넉넉히 받을 뿐 아니라 ‘나라사랑(애국)’에 이바지한다는 보람(훈장)까지 받는다면, 사람들은 누구나 넋이 나갈까요? 이웃나라 일본은 이 꼴을 보여주었고, 우리나라도 따라갑니다. 숱한 일본사람은 바다싸움(태평양전쟁)에서 진 일을 아직도 아쉬워하고 ‘쌈박질’ 이야기를 글(문학)·그림(만화·영화)으로 끝없이 뽑아냅니다. 이와 달리 우두머리뿐 아니라 사람들 스스로 넋나간 허수아비나 꼭두각시 노릇을 하는 줄 깨닫고는, 아무리 짓밟히거나 손가락질받더라도 ‘쌈박질을 그치고 어깨동무를 하는 참사랑으로 거듭나자’고 끝까지 외치고 숲빛을 노래한 사람들이 있어요. 그림책을 여민 이와사키 치히로 님이나 그림꽃책을 빚은 테즈카 오사무 님은 ‘반전(전쟁 반대)’보다도 ‘사랑(살림을 어질고 즐겁게 새로 짓는 길)’을 노래한 손꼽히는 길잡이입니다. 《테즈카 오사무 이야기 1 : 1928∼1946》는 어린 테즈카 오사무 님이 어떻게 ‘쌈박질’을 온몸으로 겪으면서 ‘사랑’을 붓끝으로 옮기는가 하는 실마리를 느끼고 찾고 배운 푸른빛을 들려줍니다. 우리 푸름이도 어른도 곁책으로 삼기를 바라요.



어머니는 툭하면 우는 오사무 소년을 절대 혼내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해서 괴로울 때도 웃으며 참아내는, 인내심 강한 성격이 길러졌다고 합니다. (27쪽)


“노래하는 바람과 높고 파란 하늘에 흘러가는 흰구름. 숲 저편에서 새빨갛게 일렁이며 저물어가는 저녁해. 그런 자연과 만났을 때, 저는 언제나 포근함에 젖어들었습니다. 어린 시절 내달린 산천과 들판은 우주기지도 탐험대가 찾는 비밀장소도 되는 환상의 왕국이었습니다. 아이들은 자연의 품속에서 마음껏 뛰놀면서 생명이 있는 것들의 놀라움은 물론, 어떤 생물에게도 반드시 찾아오는 죽음에 대해 몸으로 체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105쪽)


“아버지가 출정한 후, 혼자 집안을 떠받치는 어머니를 보고, 어머니란 위대한 존재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후에 의사와 만화가를 두고 진로를 고민할 때, 어머니의 한 마디로 결정해 버린 것이었습니다.” (130쪽)


“등화관제가 해제되었구나. 우와! 백화점의 샹들리에가 눈부실 정도야! 이게 평화로구나. 난 살아남았어! 어쩌면 나는, 만화가가 될 수 있을지 몰라.” (19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외로 나가자 2
JUN HAYASE / 시공사(만화) / 1998년 4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3.4.29.

만화책시렁 533


《야외로 나가자! 2》

 하야세 준

 강경원 옮김

 시공사

 1998.3.12.



  시골에서 살아간다면 굳이 밖(야외)으로 나갈 일이 없습니다. 시골은 안팎이 풀꽃나무판이거든요. 시골에서 살림을 한다면 구태여 들(야외)로 놀러갈 일이 없습니다. 시골에서는 마당에 자리를 깔고 앉아도 들마실입니다. 《야외로 나가자!》가 처음 한글판으로 나오던 무렵에도 서울사람(도시인)은 많았고, 여름겨울로 놀러다니는 발길도 많았습니다만, 이 그림꽃은 썩 눈길이나 손길을 안 받았습니다. 부릉부릉 몰면서 놀러다니는 사람들은 딱히 그림꽃을 안 보았고, 그무렵 그림꽃을 즐기던 분들은 ‘들놀이(야외 취미활동)’는 시큰둥이곤 했어요. 곰곰이 보면 온누리 어느 나라이든 들숲을 파헤치기 일쑤이지만, 우리나라처럼 마구잡이인 나라는 드뭅니다. 푸른길(환경보호)에 마음을 기울이는 이웃이 늘기는 하되, 막상 서울(도시)을 떠나서 조용하고 호젓하고 느긋이 시골살림이나 숲살이를 짓는 분은 너무 적어요. 입으로는 푸른길을 외치지만, 정작 ‘서울에 그대로 남아서 다시쓰기(재활용)를 하는 쳇바퀴’만 도는 얼거리입니다. 푸른길을 밝힌다는 책조차 ‘표백제·형광물질·화학약품’을 듬뿍 친 흰종이를 씁니다. 숲에서 온 종이는 누렇습니다. 숲빛은 풀빛이면서 흙빛이고 하늘빛입니다. 들빛을 잊으면 숨빛을 잃습니다.


ㅅㄴㄹ


“어째서 항상 그런 식이죠? 항상 혼자서 어른인 척하면서 변하려고 하질 않잖아요. 나는 도대체 뭐죠? 에쓰꼬와 함께 헤쳐 나갈 수는 없나요?” “야마다?” “가요.” “앗!” “오늘만큼은 꼭 같이 올라가야겠어요.” (71쪽)


“맛있어요! 반찬이 필요없다는 말이 이해가 가네요.” “그렇지? 갈 때 조금 싸가지고 가도록 해. 채소도 많이 있잖아.” (144쪽)


“괜찮습니다. 사모님은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선생님∼.” “괜찮아요. 평소대로만 하면 문제 없습니다. 이상.” (19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