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의 한자 공부 시읽는 가족 10
박방희 지음, 안예리 그림 / 푸른책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23.

노래책시렁 302


《참새의 한자 공부》

 박방희

 푸른책들

 2009.10.30.



  우리 집 아이들은 꽤 어릴 적부터 낫을 쥐었습니다. 어버이가 으레 낫을 쥐어 풀을 베니 저희도 낫질을 하고 싶어 달라붙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쓸 작은 낫을 여럿 장만했고, 왼손으로 풀포기를 어떻게 쥐고서 오른손으로 스윽 긁듯이 베는가를 천천히 보여주고서 따라하라고 일렀어요. 몇 판 보여주면 그 뒤로는 소꿉놀이입니다. 이 아이들은 여태 낫질을 하다가 손가락을 벤 일이 없습니다. 《참새의 한자 공부》를 읽고서 조용히 덮었습니다. 어느 분은 “낫 놓고 기역 글씨 모른다”처럼 말치레를 하던데, 낫은 ㄱㄴㄷ를 읽는 연장이 아닙니다. 풀을 베는 연장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들한테 “낫 쥐고 풀 벨 줄 모르는” 살림을 부드럽게 타일러서 “낫 쥐고 풀 벨 줄 아는” 오늘을 즐거이 나눌 일이라고 바라봅니다. 참새가 전깃줄에 앉아 곧게 이은 줄을 바라보며 한자 ‘一’을 익힌다구요? 뭐, 그럴 수도 있지만, 참 쓴웃음이 났습니다. ‘줄·끈·바·새끼·노’가 저마다 어떻게 닮고 다른 우리말인 줄 아는지요? ‘모시·삼·솜’에서 어떻게 실을 얻어 ‘물레·베틀’을 다루는 줄 아는지요? 제발 우리말부터 배우고, 살림살이부터 물려줍시다. 말장난도 꾸밈말도 아닌, 삶말과 살림말과 사랑말로 아이들 곁에 서며 일합시다.


ㅅㄴㄹ


사람이 / 밥만 먹고 / 살 수 없듯이 // 이 꽃 저 꽃 / 페이지를 넘기며 / 책 읽는 중일 거야 (나비의 책 읽기/60쪽)


얘들아! / 저게 일(一) 자야. / 공중에 줄 하나 / 죽― 그어졌지. / 하나라는 뜻의 한자야 (참새의 한자 공부/6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이 꽃 저 꽃 페이지를 넘기며 책 읽는 중일 거야

→ 이 꽃 저 꽃 넘기며 책을 읽어

→ 이 꽃 저 꽃 한 쪽씩 넘기며 책을 읽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복 문학동네 시인선 51
이준규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23.

노래책시렁 298


《반복》

 이준규

 문학동네

 2014.3.10.



  고흥에서 서울로 가는 시외버스가 하루에 셋 있습니다. 한때 다섯이었는데, 여느날(평일)에는 둘로 줄기도 합니다. 이 시외버스를 타려면 고흥읍으로 나와야 하고, 시골집에서 새벽바람으로 나와서 한 시간을 기다리면 첫 시외버스를 탈 수 있는데, 이러구러 서울에서 내리면 13시입니다. 시골에서 서울로 누구를 만나러 가자면 으레 8∼9시간을 길에서 보냅니다. 저는 시골사람이니 맨발에 고무신 차림새인데, 시골 할매할배도 논밭에서만 고무신을 꿸 뿐이라, 여느때(평소)에 시골차림으로 다니는 사람이 재미나 보이는지, 서울 한복판을 휘적휘적 걸으면 기웃기웃 쳐다봅니다. 《반복》을 가만히 읽고서 시골 푸름이를 떠올립니다. 시골 푸름이는 시골버스에서 대단히 말이 거칠어요. 다만, 혼자 시골버스를 타면 더없이 얌전해 보이더군요. 두셋이나 너덧쯤 무리를 이루면 누가 말리건 말건 시골버스에서 큰소리로 깎음말(욕)잔치를 내내 벌이지요. 이 아이들은 어쩌다 스스로 깎음질을 일삼는 바보짓을 늘 벌일까요? 집이나 마을이나 배움터 모두 고달픈 수렁이거나 막장이라서 시골버스에서 우쭐짓을 벌일까요? 글도 노래(시)도 읽지 않으면서 밑바닥으로 치달리는 시골아이한테, 또 서울아이한테 오늘날 ‘문학’이라는 치레말은 뭔 쓸모일까요. 


ㅅㄴㄹ


나는 그것에 관심이 없다. 나는 그런 것에 관심이 없다. 나는 그따위 것들에 도대체 관심이 없다. 나는 관심이 없다. 나는 끓고 있는 물에 관심이 없다. 나는 끓고 있는 물속으로 들어가는 타조에 관심이 없다. 나는 지나가는 새에 관심이 없고 나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관심이 없다. 나는, 나는, 나는 관심이 없다. (나는/12쪽)


당신은 하얀 핸드백을 들고 걸어가고 있다. 나는 카페에 앉아 유리창 밖으로 보이는 당신을 본다. 당신은 하얗고 작은 핸드백을 들고 걸어간다. 당신은 하얀 장갑을 끼고 있고 하얀 원피스를 입었고 검은 선글라스와 검은 구두를 신었다. 구두의 굽은 높지 않다. 당신의 머리는 금발이 아니며 당신의 머리는 검다. (하얀/4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국의 노동자여 - 개정판 한국대표시집 2
백무산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18.

노래책시렁 297


《만국의 노동자여》

 백무산

 청사

 1988.8.15.



  인천에서 나고자라며 인천을 떠날 생각이 없었는데, 둘레에서 자꾸 “넌 대학교도 서울에서 붙었는데 왜 인천으로 돌아오려 하니? 바보야? 서울에 깃들 데가 있으면 끝까지 버텨.” 하는 핀잔을 했습니다. 속으로 참 바보스럽구나 하고 여기면서 어떻게 서울에서 착하게 일하며 살아갈 만할까 하고 살피다가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라는 일거리를 찾았고, 새뜸을 두 다리랑 자전거로 나르면 조용하고 깨끗할 만하겠다고 여겼습니다. 새벽 두 시에 하루를 열며 캄캄한 골목을 짐자전거로 달리며 새뜸을 넣을 적에 곧잘 읊던 노래 가운데 ‘사랑노래(노찾사 지음)’가 있습니다. 《만국의 노동자여》를 되읽으며 지난날 스스로 어떻게 서울살이를 했고, 왜 서울을 떠났고, 왜 인천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두멧시골로 깃들며 아이를 낳아 뿌리를 내리는가 하고 되새깁니다. 저는 “만국의 노동자”가 아닌 “온누리 들꽃”을 바라봅니다. 저부터 ‘노동자’ 아닌 ‘일벗’입니다. 곁님도 아이들도 ‘노동자’라는 이름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수수한 이름으로서 ‘삶·살림·사랑’을 숲에서 푸르게 펴고 나누고 노래하는 나날을 이루려고 합니다. 들풀로서 수수한 말을 하기에, 푸른별을 들빛으로 바꾸는 첫발을 뗍니다. 우리는 누구나 하늘입니다.


ㅅㄴㄹ


밤안개 젖었구나 / 뿌연 가로등 / 사는 일이 고달퍼라 / 빈 손으로 돌아가는 가슴 아픈 시간 / 공장의 불빛도 빛을 바래고 // 새벽에 집을 나올 때 / 등에 와서 박히는 / 식구들의 밥 걱정 집세 걱정 / 공장에서 쫓겨난 후 여기 저기 / 일자리 툇자놓고 툇자맞고 / 아흐레 일한 공사판에 / 밀린 노임 받으려다 책상만 엎어 버리고 / 막걸리 몇 잔에 털리는 가슴 / 뭐라고 하나 식구들에게 // 어허, 세상은 비오는 찿아처럼 / 흔들리네 삶도 도시도 사랑도 / 울며 떠난 이들, 죽어서 떠난 이들 (김씨의 사랑노래/20쪽)


무슨 밥을 먹는가가 문제다 / 우리는 밥에 따라 나뉘었다 / 그 밥에 따라 양심이 나뉘고 / 윤리가 나뉘고 도덕이 나뉘고 / 또 민족이 서로 나뉘고 // 그래서 밥이 의식을 만든다는 것은 / 뇌의 생체학적 현상이 아니라 / 사회적이고 인류적이고 / 그래서 밥은 계급적이고 // 밥의 나뉨은 또 식품문화적 구별도 / 영양학적 구별도 아니고 / 보편의 언어요 이념이요 과학이요 인식이다 (만국의 노동자여/8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의 예수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15
정호승 / 민음사 / 198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3.4.9.

노래책시렁 294


《서울의 예수》

 정호승

 민음사

 1982.10.30.



  서울은 ‘살아남기싸움터’라고 느낍니다. 우리말 ‘서울’은 ‘새벌’이요, “새로 일군 커다란 터”라는 밑뜻입니다. ‘서울’은 ‘서라벌’에서 엿볼 수 있듯, 임금님이라는 우두머리가 높이 올라서면서 우쭐거리는 터전이었습니다. ‘나라를 이룬 옛날’부터 서울은 ‘시골을 우려내어 핏물을 빨아들이고 펑펑 쓰는 자리’였습니다. 지음터는 스스로 지어서 누리기에 따로 돈이 없어도 누구나 넉넉합니다. 씀터(소비지)는 사야 누리기에 반드시 돈이 있어야 살아갈 수 있는데 몇몇만 넉넉합니다. 《서울의 예수》를 오랜만에 되읽었습니다. ‘예수’라는 사람은 ‘살림’을 나타냅니다. 모든 죽음을 사랑으로 녹여내면서 누구나 스스로 저마다 피울 수 있는 살림빛을 밝히는 사람이 예수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서울의 예수’라는 글은 아무래도 살림길이 아닌 죽음길을 드러내고, 이 죽음길에서 핏물로 앙갚음을 하듯이 몰아치거나 받아치는 싸움판을 멀찌감치 등지고 서서 바라보는 눈길을 나타나는구나 싶습니다. 처음 이 노래책을 장만하고 읽던 지난날에는 ‘글’만 보면서 뭔가 알쏭했고, ‘글쓴이 발자취’를 읽은 오늘날에는 죽음노래가 글쓴이 스스로를 드러내면서 옥죄겠구나 하고 느낍니다. 앞으로 더 읽을 일은 없겠습니다.


ㅅㄴㄹ


눈 내려 어두워서 길을 잃었네 / 갈 길은 멀고 길을 잃었네 / 눈사람도 없는 겨울밤 이 거리를 / 찾아오는 사람 없어 노래 부르니 / 눈 맞으며 세상 밖을 돌아가는 사람들뿐 (맹인 부부 가수/84쪽)


너의 고향은 아가야 / 아메리카가 아니다. / 네 아버지가 매섭게 총을 겨누고 / 어머니를 쓰러뜨리던 질겁하던 수수밭이다. / 찢어진 옷고름만 홀로 남아 흐느끼던 논둑길이다 …… 울지 마라 아가야 울지 마라 아가야 / 누가 널더러 / 우리의 동족이 아니라고 그러더냐 / 자유를 위하여 이다지도 이렇게 / 울지도 피 흘리지도 않은 자들이 / 아가야 너의 동족이 아니다. (혼혈아에게/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픔이 기쁨에게 - 개정판 창비시선 19
정호승 지음 / 창비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3.4.9.

노래책시렁 295


《슬픔이 기쁨에게》

 정호승

 창작과비평사

 1979.3.30.



  ‘슬픔이 기쁨에게’란 글은 ‘셈겨룸(시험문제)’에 나오느라 온갖 곳에서 갖가지로 읽고 새겨서 풀이를 합니다. 우리처럼 글을 이리저리 뜯는 나라가 또 있을까 아리송합니다. 그런데 어느 곳(학교·학원)에서 글을 뜯든 ‘글쓴이 발자취’는 그리 안 더듬는 듯싶습니다. 글을 뜯으려면, 글을 쓴 사람이 나고자란 터전과 마음을 다스린 하루와 어디에서 누구를 만나고 무슨 일을 하며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찬찬히 짚고 새길 노릇이지 않을까요? 《슬픔이 기쁨에게》는 1979년에 태어납니다. 글님은 1973년에 〈대한일보〉에, 1982년에 〈조선일보〉에 새봄글(신춘문예)로 뽑힙니다. 글이란, 누가 훌륭하다고 뽑아 줄 수도 따로 뽑힐 수도 없습니다. 모든 글은 저마다 다르게 살아가는 사람이 저마다 새롭게 누리는 하루를 옮기면서 태어날 뿐입니다. 1982년은 박정희가 저물고 전두환이 자리를 차지해서 한창 떵떵거릴 즈음인데, 박비어찬가에 이은 전비어찬가가 드날리던 무렵입니다. 이럴 때에 ‘글을 쓰는 꿈’을 키우는 이들은 왜 조중동 새봄글에 목을 매었을까요? 스스로 살림꾼으로 서면서 삶빛을 글로 벼리자면 입에 풀을 못 발랐을까요? ‘조선일보사 월간조선부 기자’로 일자리를 찾은 정호승 씨가 누린 ‘기쁨’을 이 노래책으로 읽습니다.


ㅅㄴㄹ


안아 주세요 곧 새벽이에요 / 저는 결코 당신을 저버리지 않았어요 / 첫닭이 먼저 목놓아 흐느끼고 / 총총걸음으로 새벽별이 떠나가요 / 안아 주세요 부디 저를 겁탈하여 주세요 / 채우면 채울수록 비어 있는 잔을 / 슬픔으로 가득히 채워 주세요 …… 사람들은 들녘에서 말없이 돌아오는데 / 슬픔의 마지막 옷을 벗겨 주세요 / 저는 결코 당신을 저버리지 않았어요 (가두 낭송을 위한 詩 5/32∼33쪽)


할아비가 머슴이라 머슴이 된 아버지도 / 새벽 붉은 보름달 지게에 지고 / 동해바다 아침해 만나러 가서 / 주인마님 은장도 뺏어 던졌다 …… 어미가 종년이라 계집종 된 복순이가 / 모시밭 사잇길 걸어가다가 / 물동이에 떨어지는 별을 건진다. / 머슴들은 죽은 뒤 새벽달로 떠 / 복순이 눈썹 위에 앉았다 가고 (지게/114∼11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