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크나우어와 싱클레어.

 

<나는 별별 시도를 다 해봤어!> 크나우어가 내 곁에서 탄식을 했다.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어. 냉수욕, 안력 훈련, 체조, 달리기. 그러나 다 아무 소용없었어. 밤마다 생각도 해서는 안 되는 꿈을 꾸다가 화들짝 깨어나곤 해. 끔찍한 것은, 그러다 보니 내가 정신적으로 배워 놓은 모든 것이 내게서 차츰 다시 없어지는 거야. [...]”(157, 띄어쓰기 수정 및 문장부호 수정인용)

 

<나는 별별 시도를 다 해봤어!> 크나우어가 내 곁에서 탄식을 했다.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어. 냉수욕, [] 마찰, 체조, 달리기. 그러나 다 아무 소용없었어. 밤마다 생각도 해서는 안 되는 꿈을 꾸다가 화들짝 깨어나곤 해. 끔찍한 것은, 그러다 보니 내가 정신적으로 배워 놓은 모든 것이 내게서 차츰 다시 없어지는 거야. [...]”

 

독일어 원문: »Ich habe alles probiert!« jammerte Knauer neben mir. »Ich habe getan, was man tun kann, mit kaltem Wasser, mit Schnee, mit Turnen und Laufen, aber es hilft alles nichts. [...]

 

Schnee = []

 

눈을 ’[]이 아닌 ’[]으로, 착각하고 안력(眼力) 훈련으로 번역한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크나우어와 싱클레어.

 

“<너 그러니까 죽으려 했구나, 크나우어?>

그가 추위와 두려움으로 몸을 덜덜 떨었다.

<그래, 그러려고 했어. 그럴 수 있었을지 없었을지는 모르겠어. 아침이 될 때까지 기다릴 생각이었어.>

나는 그를 바깥으로 끌고 나왔다. 수직의 첫 새벽 빛이 잿빛 공중에서 말할 수 없이 차갑고 냉담하게 어렴풋이 빛나고 있었다.”(162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너 그러니까 죽으려 했구나, 크나우어?>

그가 추위와 두려움으로 몸을 덜덜 떨었다.

<그래, 그려려고 했어. 그럴 수 있었을지 없었을지는 모르겠어. 아침이 될 때까지 기다릴 생각이었어.>

나는 그를 바깥으로 끌고 나왔다. 수평의 첫 새벽 빛이 잿빛 공중에서 말할 수 없이 차갑고 냉담하게 어렴풋이 빛나고 있었다.”

 

독일어 원문: [...] Ich zog ihn ins Freie. Die ersten waagrechten Lichtstreifen des Tages glommen unsäglich kalt und lustlos in den grauen Lüften.

 

waagrecht = 수평의

 

수직의 = senkrech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전쟁 발발을 앞둔, 싱클레어와 데미안의 대화.

 

“<[...] 그러나 넌 보게 될 거야, 싱클레어. 이건 다만 시작이야. 어쩌면 큰 전쟁이 될 거야. 몸시 큰 전쟁이. 그러나 이것도 그저 처음에 불과해. 새로운 것이 시작되지. 새로운 것이란 날은 것에 매달린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이겠지. 넌 무얼 할 거니?>

나는 당혹스러웠다. 그 모든 것이 나에게는 아직 낯설고 믿어지지 않게 들렸던 것이다.

<모르겠는데, 형은?>

그가 어깨를 으쓱했다.

<동원령이 내리면 곧바로, 나는 들어가야 해. 대위거든.>

<형이? 그건 전혀 몰랐는데.>”(213-214, 문장부호 수정 및 부분삭제 인용)

 

“<[...] 그러나 넌 보게 될 거야, 싱클레어. 이건 다만 시작이야. 어쩌면 큰 전쟁이 될 거야. 몸시 큰 전쟁이. 그러나 이것도 그저 처음에 불과해. 새로운 것이 시작되지. 새로운 것이란 날은 것에 매달린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이겠지. 넌 무얼 할 거니?>

나는 당혹스러웠다. 그 모든 것이 나에게는 아직 낯설고 믿어지지 않게 들렸던 것이다.

<모르겠는데, 형은?>

그가 어깨를 으쓱했다.

<동원령이 내리면 곧바로, 나는 들어가야 해. 소위거든.>

<형이? 그건 전혀 몰랐는데.>”

 

독일어 원문: [...]

Er zuckte die Achseln.

»Sobald mobilisiert wird, rücke ich ein. Ich bin Leutnant

»Du? Davon wußte ich kein Wort.«

 

Leutnant = 소위

 

대위 = Hauptman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타리나 잉엘만순드베리,감옥에 가기로 한 메르타 할머니, 정장진 옮김, 열린책들, 2016(10).

 

메르타가 천재에게 보낸 시 구절: <생명수가 끝나는 그곳에서 맘몬 신은 영면하리라.>

 

맘몬에 붙인 번역자의 각주(脚註).

 

“Mannon. 맘몬은 돈이나 재물을 뜻하는 셈어누가복음마가복음등의 신약 성서에도 등장하며, 흔히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부정하고 대체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지닌 <재물의 신>을 뜻하기도 한다.”(324)

 

“Mannon. 맘몬은 돈이나 재물을 뜻하는 아람어누가복음마태복음등의 신약 성서에도 등장하며, 흔히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부정하고 대체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지닌 <재물의 신>을 뜻하기도 한다.”

 

맘몬은 아람어로 신약 성서누가복음과 마태복음4차례 등장한다.

 

편집자는, 반드시 번역자의 각주를 일일이 확인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타리나 잉엘만순드베리,감옥에 가기로 한 메르타 할머니, 정장진 옮김, 열린책들, 2016(10).

 

노인 강도단 일행은 호텔 레스토랑에서 고급 요리로 식사를 한다.

 

그때 안나그레타는 식사비 걱정을 늘어놓는다.

 

“<정말, 정말 기가 막히는군요. 그런데 조금 생각해 보니, 만일 사물함을 열지 못하면 이 모든 것을 전부 내 카드로 내야 하잖아. 호텔이 내 카드 번호를 갖고 있으니까. 난 그러고 싶지 않은데, 어떻게 하지. 이 모든 걸, …….>

[...]

<안나그레타, 좀 진정해. 안나그레타 카드만 있어도 충분할 거야. 또 훔칠 물건도 있으니까.>

<꼭 이런 식으로 남의 물건을 훔쳐야 해?> 스티나가 의문을 제기했다. <‘네 이웃의 재산을 탐하지 말라라고 쓰여 있는 것을 내가 어디서 봤는데…….>

다시 메르타가 나섰다. [...]”(88, 문장부호 수정 및 부분삭제 인용)

 

“<정말, 정말 기가 막히는군요. 그런데 조금 생각해 보니, 만일 사물함을 열지 못하면 이 모든 것을 전부 내 카드로 내야 하잖아. 호텔이 내 카드 번호를 갖고 있으니까. 난 그러고 싶지 않은데, 어떻게 하지. 이 모든 걸, …….>

[...]

<안나그레타, 좀 진정해. 안나그레타 카드만 있어도 충분할 거야. 또 훔칠 물건도 있으니까.>

<꼭 이런 식으로 남의 물건을 훔쳐야 해?> 스티나가 의문을 제기했다. <‘도둑질하지 말라라고 쓰여 있잖아, …….>

다시 메르타가 나섰다. [...]”

 

프랑스어 번역본: Tu ne commettras pas de vol, c’est écrit dans la...

 

Tu ne commettras pas de vol = 도둑질하지 말라.

 

십계명의 일부로, 구약성경 <출애굽기> 20장에 나오는 구절.

 

스티나가 말꼬리를 흐리며, 삼켜 버린 말을 복원하면 이렇다:

 

도둑질하지 말라라고 쓰여 있잖아, (성경에).

 

기독교 문화가 상식인 이들 모두에게, 스티나는 구태여 이 십계명이 성경에 쓰여 있다고 언급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 내가 어디서 봤는데…….”는 지나친, 자의적인 번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