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심철민 옮김, 도서출판 b, 2017(4).

 

심철민 선생님께

 

1

번역문의 마지막 문장을 읽고 이상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이 파시즘에 맞서, 공산주의는 예술의 정치화로써 대답한다.(101)

 

이 파시즘에 공산주의는 예술의 정치화로써 대답한다.

 

Der Kommunismus antwortet ihm [=dem Faschismus] mit der Politisierung der Kunst.

 

 

3

독일어 원문을 아무리 들여다보아도 맞서를 굳이 집어넣어서 번역해야 할 근거는 없어 보입니다.

 

 

4

공산주의는 예술의 정치화로써 파시즘에 맞서고 있다.(반성완)

 

이러한 파시즘의 태도에 공산주의는 예술의 정치화라는 대답으로 맞서고 있다.(차봉희)

 

공산주의는 예술의 정치화로써 파시즘에 맞서고 있다.(최성만)

 

 

5

기존 번역본들을 살펴보고, 선생님께서 맞서를 넣어 번역하신 이유를 조금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6

번역에도 선점 효과라는 게 있습니다.

 

후발 번역은, 선행 번역이 수행한 텍스트 읽기 방식과 어휘 선택에 매여 자유로울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헤르만 헤세의데미안번역본 같은 경우에도, 이 선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가능하다면, 자세히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7

1983, 반성완의 번역이 맞서를 삽입한 것은 나름 이해할만 합니다. 이념의 시대였기에.

 

하지만, 2017년 선생님의 번역에까지 이 선점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8

세대마다 문학의 고전은 새로 번역되어야 한다.” 너무나도 익숙한, 어쩌면 진부하기까지 한, 어느 출판사의 광고 문안이지만, 여기에 담긴 정신만은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입니다.

 

 

박진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주의력과 의지의 집중, 데미안의 설명.

 

예를 들면 나비 종류 중에는 어떤 나방들이 있는데, 암놈이 수놈보다 훨씬 수가 적어. 나비란 다른 동물과 똑같이 번식해. 수컷이 암컷을 수태시키고, 그러면 암컷이 알을 낳지. 그런데 연구자들이 자주 시험해 본 바로는. 이 나방들 중에 암컷이 하나 있으면 밤에 이 암컷에게로 수나방들이 날아오는데, 그것도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오는 거야,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생각해 봐!”(74-75)

 

예를 들면 나비 종류 중에는 어떤 나방들이 있는데, 암놈이 수놈보다 훨씬 수가 적어. 나방은 다른 동물과 똑같이 번식해. 수컷이 암컷을 수정시키고, 그러면 암컷이 알을 낳지. 그런데 연구자들이 자주 시험해 본 바로는. 이 나방들 중에 암컷이 하나 있으면 밤에 이 암컷에게로 수나방들이 날아오는데, 그것도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오는 거야,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생각해 봐!”

 

독일어 원문: Es gibt zum Beispiel bei den Schmetterlingen gewisse Nachtfalter, bei denen sind die Weibchen viel seltener als die Männchen. Die Falter pflanzen sich gerade so fort wie alle Tiere, der Mann befruchtet das Weibchen, das dann Eier legt. Wenn du nun von diesen Nachtfaltern ein Weibchen hast es ist von Naturforschern oft probiert worden so kommen in der Nacht zu diesem Weibchen die männlichen Falter geflogen, und zwar stundenweit! Stundenweit, denke dir!

 

befruchten = ‘열매를 맺게 하다’. ‘수정시키다’, ‘수태시키다’.

 

곤충의 경우, ‘수정시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데미안과 싱클레어.

 

<도대체 어떻게 형은 다른 사람이 형의 뜻대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 수 있는 거야?> 하고 내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침착하게 사실대로, 특유의 어른다운 태도로 선선히 알려 주었다.

<아니야.> 그가 말했다. <그렇게 할 수는 없어. [...]>.(74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러니까 정말로 형은 다른 사람이 형의 뜻대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 수 있는 거야?> 하고 내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침착하게 사실대로, 특유의 어른다운 태도로 선선히 알려 주었다.

<아니야.> 그가 말했다. <그렇게 할 수는 없어. [...]>.

 

독일어 원문: »Kannst du denn eigentlich machen, daß ein anderer das denken muß, was du willst?« fragte ich ihn.

Er gab bereitwillig Auskunft, ruhig und sachlich, in seiner erwachsenen Art.

»Nein,« sagte er, »das kann man nicht. [...]«

 

싱클레어가 던진 질문의 핵심은 능력을 갖고 있느냐 아니냐에 관한 것Kannst du machen?이지, 능력을 어떻게 발휘하느냐가 아니다.

 

능력 여부에 관한 질문이므로, 데미안은 아니라고 대답한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크로머와 싱클레어.

 

나는 광장에서 기다리며, 흠뻑 젖은 검은 나무들에서 떨어지는 축축한 마로니에 이파리를 두 발로 헤집고 있었다. 돈은 못 가지고 왔고, 크로머에게 뭐라도 줘야 하겠기에 케이크 두 조각을 가져와 들고 있는 참이었다. 나는 벌써 오래전부터, 그렇게 어딘가 한구석에 서서 오래도록 그애를 기다리는 데 익숙해 있었다.”(48-49)

 

나는 광장에서 기다리며, 흠뻑 젖은 검은 나무들에서 떨어지는 축축한 마로니에 이파리를 두 발로 헤집고 있었다. 돈은 못 가지고 왔고, 크로머에게 뭐라도 줘야 하겠기에 케이크 두 조각을 따로 챙겨 놨었고 그걸 들고 있는 참이었다. 나는 벌써 오래전부터, 그렇게 어딘가 한구석에 서서 오래도록 그애를 기다리는 데 익숙해 있었다.”

 

독일어 원문: [...] da[=dem Burgplatz] stand ich nun und wartete und wühlte mit den Füßen im nassen Kastanienlaub, das noch immerzu von den schwarzen triefenden Bäumen fiel. Geld hatte ich nicht, aber ich hatte zwei Stücke Kuchen beiseite gebracht und trug sie bei mir, um dem Kromer wenigstens etwas geben zu können. Ich war es längst gewohnt, so irgendwo in einem Winkel zu stehen und auf ihn zu warten, oft sehr lange Zeit, [...]

 

beiseite bringen = 옆으로 치우다.

 

과거완료로 쓰였다. 이는 미리 케이크를 챙겨 놨었다는 뜻.

 

 

 

다음 작품의 내용을 참고할 것:

 

헤르만 헤세,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세계문학전집 66), 임홍배 옮김, 민음사, 2017(45).

 

소년=[골드문트]은 소맷자락에서 아침 식사 때 남겨둔 빵 조각을 꺼내더니 잘게 뜯어서 말에게 먹였다.(24)

 

Er zog aus dem Ärmelumschlag ein Stück Frühstücksbrot, das er beiseitegebracht hatte, und gab es in kleinen Brocken dem Tier zu fressen.

 

 

보완: 2018. 1. 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57).

 

싱클레어, 열한 살의 감정 세계

 

아직 열한 살도 안 된 아이가 그렇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할 사람들도 더러 있을 줄 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내 일을 이야기하지 않겠다. 인간을 보다 잘 아는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겠다. 자신의 감정들의 한 부분을 생각 속에서 수정하기를 익힌 어른은, 어린아이에게서 나타나는 생각을 잘못 측정하고, 이런 체험들도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 인생에서 그 당시처럼 깊게 체험했으며 괴로워했던 때도 드물다.”(48)

 

아직 열한 살도 안 된 아이가 그렇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할 사람들도 더러 있을 줄 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내 일을 이야기하지 않겠다. 인간을 보다 잘 아는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겠다. 자신의 감정들의 한 부분을 생각으로 변환하는데 익숙한 어른은, 이런 생각이 어린아이에게 없는 것을 아쉬워하며, 이런 체험들도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 인생에서 그 당시처럼 깊게 체험했으며 괴로워했던 때도 드물다.”

 

독일어 원문: Ich weiß, daß manche nicht glauben werden, daß ein Kind vo n noch nicht elf Jahren so zu fühlen vermöge. Diesen erzähle ich meine Angelegenheit nicht. Ich erzähle sie denen, welche den Menschen besser kennen. Der Erwachsene, der gelernt hat, einen Teil seiner Gefühle in Gedanken zu verwandeln, vermißt diese Gedanken beim Kinde, und meint nun, auch die Erlebnisse seien nicht da. Ich aber habe nur selten in meinem Leben so tief erlebt und gelitten wie damals.

 

A in B verwandeln = AB로 바꾸다.

 

감정이 생각 가운데 수정되는 게 아니라, 감정이 생각으로 바뀌는 것이다.

 

vermissen = 없는 것을 아쉬워하다.

 

번역자는 이 동사를 vermessen재다’, ‘측량하다의 재귀동사 sich vermessen잘못 재다으로 오해했다.

 

아울러, 간접화법의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도록 문장을 수정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