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밟기

 


  양말 안 신은 맨발 고무신차림으로 걷습니다. 누군가는 고무신 꿰고 멧길 오르내리면 미끄럽지 않느냐 묻는데, 미끄럽자면 무얼 신어도 미끄럽고 맨발이어도 미끄럽습니다. 누군가는 발바닥 안 아프느냐 묻는데, 발바닥 아프자면 맨발이건 고무신이건 두툼하거나 폭신한 신이건 다 아픕니다.


  맨발에 고무신으로 흙을 밟으면 발가락마다 흙 밟는 느낌을 물씬 받아들입니다. 풀을 밟으면 풀을 밟았구나 느끼고, 꽃송이 밟으면 꽃송이 밟는구나 느낍니다. 손가락으로 풀잎이나 나무줄기 쓰다듬을 때에 손가락이 풀잎이나 나무줄기를 느끼듯, 맨발에 고무신은 흙을 살가이 느끼고픈 마음입니다.


  길바닥이 시멘트바닥이나 아스팔트바닥이 아니라면 얼마나 즐거울까 꿈꿉니다. 길바닥이 흙바닥이라면 어른도 아이도 모조리 맨발로 다닐 텐데 싶습니다. 흙바닥인 길바닥이라면 누구라도 섣불리 병조각이나 못조각 떨어뜨리지 않을 테지요. 내가 다니는 길은 네가 다니는 길이요, 네가 다니는 길은 내가 다니는 길이니, 흙바닥을 맨 발바닥으로 다닐 수 있도록 서로 아끼고 보듬고 지키고 살피겠지요.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는 거의 맨발로 흙일을 합니다. 흙을 밟고 흙을 만지며 흙을 돌볼 적에는 으레 맨손이요 맨발입니다. 어버이인 내가 아이를 씻기고 쓰다듬을 적에는 으레 맨손이요 맨발입니다. 내 손길이 아이들 살결에 닿습니다. 흙일꾼 할머니 할아버지 손길이 흙알갱이에 닿습니다.


  자꾸만 도시가 커지면서 자꾸만 시멘트바닥과 아스팔트바닥이 늘어납니다. 자꾸만 구두며 차린옷이며 늘어납니다. 자꾸만 자가용 늘고 승강기나 손전화 기계 늘어납니다. 흙을 밀어내고 지은 도시에는 시멘트만 어울린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흙과 어깨동무하는 도시일 때에 한결 아름답고 싱그럽구나 싶습니다. 숲을 짓이긴 채 세운 도시에는 아스팔트만 걸맞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흙과 사랑 나누는 도시일 때에 비로소 곱고 맑구나 싶습니다. (4345.10.24.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추꽃

 


꽃대 오르면
풀줄기와 꽃대와
몽우리와 봉오리까지
탁탁탁 썰어
나물비빔 먹는다.

 

마늘쫑이란 마늘꽃대,
그러니까
부추꽃대라면 부추쫑 될까.
하얗게 터지려는 꽃몽우리
살살 쓰다듬는다.

 


4345.8.9.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1654) 미국적 1 : 미국적 신조

 

삐라의 내용을 들으면 미국적 신조는 결국 ‘미국인’에게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임하-적을 삐라로 묻어라》(철수와영희,2012) 421쪽

 

  “삐라의 내용(內容)을 들으면”은 어딘가 어설픕니다. 삐라는 종이쪽이기에 삐라한테서 이야기를 ‘들을’ 수 없거든요. “삐라를 보면”이나 “삐라를 들여다보면”처럼 손질해야 알맞습니다. ‘줄거리’를 뜻하는 한자말 ‘내용’을 살리고 싶으면 “삐라에 담긴 줄거리를 읽으면”이나 “삐라에 담긴 줄거리를 살피면”으로 손질할 수 있어요.


  ‘신조(信條)’는 ‘믿음’이나 ‘다짐’이나 ‘생각’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결국(結局)’은 글흐름을 살펴 ‘곧’이나 ‘그러니까’나 ‘바로’나 ‘그예’나 ‘한낱’으로 다듬고, “미국인(-人)에게만 적용(適用)됨을”은 “미국사람에게만 어울리는 말인 줄”이나 “미국사람한테만 하는 말인 줄”이나 “미국사람만 살필 뿐인 줄”이나 “미국사람만 생각할 뿐인 줄”로 다듬습니다.

 

 미국적 신조는
→ 미국이 밝히는 다짐은
→ 미국을 이루는 생각은
→ 미국이 내세우는 믿음은
 …

 

  “한국적 사고방식”이라든지 “미국적 사고방식”처럼 말하는 사람이 차츰 늡니다. 이렇게 말할 만하기에 이렇게 말한달 수 있지만, 스스로 생각을 기울이지 못하기에 “한국 넋”이나 “미국사람 생각”과 같이 말하지 못하는구나 싶습니다. “미국적 가치”라기보다는 “미국다운 값어치”요 “미국에서 손꼽는 값어치”라고 느껴요. 한국말은 ‘-다운’이나 ‘- 같은’입니다. 한국사람은 뜻과 느낌을 또렷하게 드러냅니다. 예전 한겨레도 ‘-的’이라는 한자를 쓴 일이 있다고 밝히기도 한다지만, ‘-的’이라는 한자는 한문을 쓰던 옛사람 가운데 아주 드물게 썼을 뿐입니다. 중국사람이 한문을 쓰니 중국사람과 생각을 주고받으려고 이런 한자 저런 한자를 썼을 뿐이에요. 한국에서 한국사람끼리 생각을 주고받는 자리에서는 이런 한자도 저런 한자도 안 썼어요.


  한자를 써 버릇하는 이들이 ‘雜草’라는 한자말을 지어서 씁니다. 한자와 동떨어진 사람들, 이른바 여느 사람들은 ‘풀’이라는 한국말을 보드랍게 씁니다. 사람들은 그저 “풀을 뽑는다”고 했지 “雜草 除去”라 말하지 않았어요. 먹는 풀이 아닌 못 먹는 풀을 뽑을 때에는 따로 “김매기”라 했고, 시골에 따라 “지심매기”라고도 해요. 그러니까, 한국말은 ‘김’이요 한자말이자 중국말이나 일본말은 ‘雜草’입니다.


  한국사람은 한국사람답게 말합니다. 미국사람은 미국사람다이 생각합니다. 스스로 말을 빚고, 스스로 생각을 가다듬습니다. 알맞게 빛낼 넋을 돌아봅니다.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슬기롭게 쓰려고 마음을 기울이지 않으면, 자꾸자꾸 ‘-的’ 말투에 길들면서 얽매입니다. 스스로 새말을 못 빚고 스스로 새삶을 못 일구면, 앞으로는 온갖 곳에 ‘-的’이 들러붙으면서 그예 떨어뜨리기 몹시 힘들리라 느낍니다. (4345.10.24.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삐라를 보면 미국이 밝히는 이야기는 그저 ‘미국사람’만 헤아릴 뿐인 줄 알 수 있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달 글쓰기

 


  반달을 보며 들길을 걷는다. 가을바람이 차다. 가을비가 온 뒤에는 바람이 제법 불면서 차구나. 가을비는 추위를 재촉하는 비일까, 가을비는 이제 모두 겨울잠 들라면서 토닥토닥 재우는 비일까.


  저 먼 하늘에 걸린 달을 바라본다. 바람은 지구별에만 부는 바람일는지, 달에서도 부는 바람일는지, 또 지구에서 멀리 보이는 뭇별에서도 부는 바람일는지 궁금하다. 지구처럼 봄이며 여름이며 가을이며 겨울이 다른 별에도 있을까. 같은 지구별이라지만, 봄과 가을을 누리지 못하는 데가 있고, 봄과 가을이 무척 짧은 데가 있다. 내내 더운바람 부는 곳이 있고, 늘 추운바람 부는 곳이 있다.


  달빛을 바라보며 걷다가 주머니에서 빈책을 꺼낸다. 볼펜을 눌러 몇 마디 끄적여 본다. 반달이 드리우는 빛을 받으면서도 글을 쓸 만하다. 마을에 전깃불빛이 없었을 지난날에는 이만 한 반달이 뜨더라도 모두들 시골자락 밤일을 할 만하구나 하고 느낀다. 옛날 시골사람들은 가을날 달빛 한 자락 고맙게 여기며 콩을 털고 벼를 털며 수수를 털었겠지. 반달에 비추는 따사로운 하얀 빛살을 누리면서 바느질을 하고 자장노래를 부르고 짚신을 삼고 아이들 이불을 여미어 주었겠지. (4345.10.23.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송순재 님이 서울교육감 후보 가운데 하나로 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요즈음 송순재 님이 어느 책을 내거나 옮겼는지 궁금해서 살펴보니 여러 가지가 두루 있다. 참말 모르는 이는 송순재 님을 '아무개 측근'처럼 어처구니없는 딱지를 붙이는데, 송순재 님은 '야누스 코르착'을 한국에 널리 알리며 소개했을 뿐 아니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학교교육이 나아갈 길을 오래도록 살피고 생각하며 실천한 사람 가운데 하나이다.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 걸기- 공간, 시간, 소리, 색채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송순재 지음 / 아침이슬 / 2011년 5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28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2년 10월 23일에 저장

덴마크 자유교육-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송순재.고병헌.카를 K. 에기디우스 엮음 / 민들레 / 2010년 11월
14,000원 → 12,600원(10%할인) / 마일리지 7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2년 10월 23일에 저장

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 상상을 현실로 만든 혁신학교 이야기
에냐 리겔 지음, 송순재 옮김 / 착한책가게 / 2012년 2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12년 10월 23일에 저장
구판절판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