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940) 속 38 : 우리의 직관적인 앎 속으로

 

그런 연습들 덕분에 우리는 긴장을 풀고 우리 몸속으로, 우리의 직관적인 앎 속으로, 서로에 대한 신뢰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아르네 네스와 네 사람/이한중 옮김-산처럼 생각하라》(소동,2012) 172∼173쪽

 

  “그런 연습(練習)들 덕분(德分)에”는 “그런 연습들 때문에”나 “그렇게 연습했기 때문에”나 “그렇게 해 봤기 때문에”나 “그렇게 해 봐서”로 다듬고, “긴장(緊張)을 풀고”는 “마음을 가볍게 하고”나 “마음을 조이지 않고”나 “홀가분하게”로 다듬습니다. 이제 “우리의 직관적(直觀的)인 앎”을 고쳐써야겠는데, ‘직관적’이 무엇인지 알쏭달쏭합니다. 국어사전을 찬찬히 살펴봅니다. 먼저, ‘직관적’은 “판단이나 추리 따위의 사유 작용을 거치지 아니하고 대상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을 뜻한다 합니다. 그런데 ‘판단(判斷)’이란 “사물을 인식하여 논리나 기준 등에 따라 판정을 내림”이라 하고, ‘인식(認識)’이란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앎”이라 하며, ‘판정(判定)’이란 “판별하여 결정함”이라 하고, ‘분별(分別)’이란 “서로 다른 일이나 사물을 구별하여 가름”이라 하고, ‘판별(判別)’이란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여 구별함”이라 하고, ‘구별(區別)’이란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이라 합니다. 또, ‘추리(推理)’는 “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알지 못하는 것을 미루어서 생각함”이라 하고, ‘사유(思惟)’는 “대상을 두루 생각하는 일”이라 하고, ‘파악(把握)’은 “어떤 대상의 내용이나 본질을 확실하게 이해하여 앎”이라 하고, ‘이해(理解)’는 “(1)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함 (2) 깨달아 앎”이라고 해요.


  국어사전 말풀이를 살피면, 여러모로 돌림풀이로 나타나는데, 가만히 간추리면 ‘생각하다’ 한 마디를 이야기하는 셈입니다. 생각을 나누고, 생각을 가르며, 어림해 보다가는, 깨닫는 길로 간다, 하고 이야기하는구나 싶어요. ‘판단’이니 ‘판별’이니 ‘구별’이니 ‘판별’이니 ‘파악’이니 ‘추리’이니 하고, 다 다르다 싶은 한자말을 쓰지만, 어느 한자말이든 ‘생각’과 ‘바라보기’를 가리켜요. 곧, ‘직관적’이나 ‘직관’이란 “(곧)바로 바라보며 생각하거나 깨닫는” 무엇을 가리킬 때에 쓰는 한자말이요, 굳이 이러한 한자말을 쓰기보다는 가장 쉽고 또렷하게 적을 때에 한결 나아요. 이 흐름을 살피면서 “우리의 직관적인 앎 속으로”는 “우리가 바로보며 알아차리고”로 고쳐쓸 수 있어요. “서로에 대(對)한 신뢰(信賴) 속으로”는 “서로를 믿을”로 고쳐쓰면 될 테고요. 다만, 이렇게 고쳐쓸 수 있되 글흐름을 다시금 살피며 새롭게 적어야지 싶습니다.

 

 우리의 직관적인 앎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 우리들이 아는 것을 바로볼 수 있었다
→ 우리들이 무엇을 아는지 바로볼 수 있었다
→ 우리를 바로보며 깨달을 수 있었다
 서로에 대한 신뢰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 서로를 믿을 수 있었다
→ 서로를 믿고 하나될 수 있었다
→ 서로를 믿으며 어우러질 수 있었다

 


  보기글을 적은 분은 ‘우리들이 어떤 일을 해 봤기’에 ‘마음을 가볍게 추스르’면서 ‘우리 몸을 스스로 올바로 바라보고 살피’면서 ‘우리가 아는 것을 올바로 깨닫고 살필’ 수 있는 한편, ‘서로가 서로를 믿고 즐거이 어우러질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느낍니다.


  마음을 꾸밈없이 나타내기를 빌어요. 참으로 내 마음이 어떠한가를 하나하나 환하게 그리면서 글을 쓰기를 빌어요. (4345.10.27.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렇게 해 봤기에 우리는 홀가분하게 우리 몸속으로 들어가면서, 우리가 무엇을 아는지 바로볼 수 있고, 서로를 믿을 수 있었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디어 <토끼 드롭스> 9권 번역이 나왔다. 일본에서 9권이 나오고서 얼추 한 해쯤 기다린 끝에 나온 셈인가. 즐겁게 꿈꾸는 사람들 아름다운 사랑이 예쁘게 마무리되리라 믿는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토끼 드롭스 9- 완결
우니타 유미 지음, 양수현 옮김 / 애니북스 / 2012년 10월
8,000원 → 7,200원(10%할인) / 마일리지 400원(5% 적립)
2012년 10월 27일에 저장
품절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943) 쉽게 쓸 수 있는데 87 : 진지하게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아이들은 진지하게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말을 획득한다. 그리고 말을 획득함으로서 더 훌륭한 인간으로 성장한다
《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유치원 일기》(양철북,2010) 192쪽

 

  한자말 ‘진지(眞摯)하다’는 “마음 쓰는 태도나 행동 따위가 참되고 착실하다”를 뜻한다 합니다. 그러면 “진지하게 삶을 영위(營爲)  하는 가운데”는 무엇을 뜻할까요. “알뜰히 삶을 누리면서”가 될까요. “삶을 알차게 누리면서”가 될까요. ‘-하는 가운데’처럼 적는 말투는 한국 말투가 아닙니다. 일본 말투 ‘-하는 中’을 잘못 옮긴 말투이기도 하고, 영어 현재진행형을 어설피 적바림한 말투이기도 합니다. “말을 획득(獲得)한다”는 “말을 얻는다”나 “말을 배운다”나 “말을 찾는다”로 손질합니다. “말을 획득함으로서”는 “말을 얻으면서”나 “말을 배우면서”나 “말을 찾으면서”로 손보고, “훌륭한 인간(人間)으로 성장(成長)한다”는 “훌륭한 사람으로 자란다”나 “훌륭하게 큰다”로 손봅니다.

 

 진지하게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 참다이 삶을 누리면서
→ 삶을 알뜰히 누리면서
→ 삶을 알차게 즐기면서
→ 삶을 알뜰살뜰 빛내면서
 …

 

  한국사람은 한국말을 쓰기에, 일본말이나 미국말(또는 영국말)로 된 책이 있으면 한국말로 옮깁니다. 나라에서는 아이들이 유치원에 들 적부터 영어를 가르치도록 내몰지만, 초등학교 어린이나 고등학교 푸름이더러 ‘영어로 된 책’을 읽으라고 하지는 않아요. 한국사람이 읽는 책은 으레 한국말로 된 책입니다.


  그런데, 외국말로 된 책을 한국말로 옮기는 일을 하는 분들이 한국말을 슬기롭게 익히거나 알차게 가다듬지는 못하기 일쑤입니다. 외국말은 알차게 배우거나 알뜰히 익힌다 하더라도, 막상 한국말은 제대로 살피지 못하고 말아, 애써 한국말로 옮겨서 적는 글이 엉뚱하거나 어설프곤 합니다.


  영어를 배우건 일본말을 배우건 늘 마찬가지입니다. 한국말을 못 하면서 영어만 잘 한다면 어디에 쓸모가 있을까요. 한국말은 엉터리라 하거나 바보스럽다 하면서 일본말은 훌륭하다면 어떤 보람이 있을까요.


  영어사전을 엮는 영어학자도 한국말을 훌륭하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어학자가 한국말을 훌륭하게 하지 못하면, 영한사전(영어사전)을 어설피 엮을밖에 없어요. 영어 낱말과 글월을 한국 낱말과 글월로 어떻게 옮겨야 올바르고 알맞으며 아름다운가를 깨닫지 못하면, 영한사전은 죄 엉터리가 되고 맙니다. 한국말을 슬기롭게 익히지 못하면, 대학입시 잘 시킨다는 영어 강사라 하더라도 아이들한테 영어를 제대로 가르치지는 못하고 말아요.


  아이들이 ‘진지’하게 삶을 ‘영위’하는 모습은 어떠할까 생각해 봅니다. 어떤 마음으로 이러한 글을 썼을까 헤아려 봅니다. 아이들은 이러한 말을 알아들을 수 있을까요. 아이들을 바라보는 어른들은 어떤 마음으로 이런 말을 썼을까요. 아이들한테 ‘너희는 이런 모습으로 보인단다’ 하고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할 적에도 이렇게 말하면 될까요. 생각을 빛낼 때에 가장 알맞고 가장 쉬우며 가장 아름다운 말을 빚습니다. (4345.10.27.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아이들은 삶을 알뜰히 누리면서 제 말을 찾는다. 그리고 말을 찾으면서 더 훌륭하게 자란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빗소리 책읽기

 


  숲속에서는 나뭇가지를 때리고 나뭇잎을 스치며 풀잎에 튕기는 빗소리를 듣는다. 들판에서는 곡식 알맹이를 톡톡 건드리면서 쏴아쏴아 바람에 흩날리는 빗소리를 듣고, 흙을 톡톡 건드리는 빗소리를 듣는다.


  도시에서는 자동차 유리창과 쇳덩이에 부딪는 빗소리를 듣는다. 자동차가 촤아촤아 빗물 고인 길을 가르는 소리를 듣는다. 수많은 사람과 우산이 엇갈리거나 부딪히는 소리를 듣는다. 후끈후끈하다. 후덥지근하다. 차갑다. 도시에서는 빗물이 살찌우거나 살릴 만한 푸른 숨결이 거의 안 보인다. 도시로 찾아드는 빗물은 매캐한 먼지 뒤집어쓴 나무들 몸을 씻어 주고, 매캐한 먼지로 뒤덮인 건물 벽을 닦아 준다. 도시에서 빗물은 하수구로 흘러들어 빨리빨리 도시 바깥으로 벗어나야 할 쓰레기처럼 다루어진다.


  시골집 처마를 따라 주루루 떨어지는 빗물 소리를 듣는다. 풀벌레 노랫소리나 멧새 노랫소리는 빗소리에 감겨 거의 안 들리지만, 드문드문 사이사이 아스라한 몇 가닥 소리가 스며든다.


  둘레에서 들리는 모든 소리는 내 안으로 들어온다. 가을비는 소리와 함께 찾아온다. 사뿐사뿐 아장아장 예쁜 몸짓으로 감나무를 적시고 빈 들판을 적시며 바닷물과 얼크러진다. 새근새근 자는 아이들 머리맡으로 빗소리 흐른다. (4345.10.2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씨 책읽기

 


  꽃씨를 보면 어김없이 후 하고 불어서 날리고 싶은 어린이는 어디를 가건 무엇을 하건, 꽃씨를 볼 때면 발걸음을 멈춘다. 꽃씨가 너를 이끌어 이곳으로 온 셈이니, 네가 꽃씨를 불러 이곳에서 만난 셈이니. 네 작은 입바람으로 날아가는 꽃씨가 있지만, 네 작은 입바람에는 꼼짝을 않는 꽃씨도 있단다. 너 참 예쁘구나, 멀리 멀리 네 아이들을 흩뿌리렴, 하고 노래 한 번 부른 다음 호호 바람을 일으켜 보렴. (4345.10.2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