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보기
― 흔들리는 사진에

 


  애써 찍은 사진이 흔들리면 어딘가 서운하다고 여깁니다. 흔들린 사진이라 해서 값어치가 떨어질 까닭은 없지만, 나는 흔들린 사진을 바라지 않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곧잘 찍으면서도, 또 집에서 저녁나절 아이들 뒹구는 모습을 으레 찍으면서도, 셔터값 1/15초나 1/8초나 1/4초로도 안 흔들리는 사진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가만히 따지면, 1/4초마저도 안 되는 1/0.3초나 1/0.08초로 찍으면서 안 흔들리기란 몹시 어렵다 할 만합니다. 이렇게 사진을 찍자면 세발이를 받칠 만합니다. 그렇지만, 이리 놀고 저리 움직이는 아이들을 찍자며 집안에서 세발이를 받치고 움직일 수 없어요. 내가 사진을 즐겨찍는 곳인 헌책방에서 세발이 대고 사진을 찍기도 매우 까다롭습니다.


  나는 내 몸을 세발이로 삼습니다. 숨을 훅 들이마시고는 한동안 숨을 멈춥니다. 마시지도 내뱉지도 않는 채 퍽 오래 기다립니다. 손끝 떨림 하나 없도록 몸을 다스리고는 차아알칵 하고 한 장 찍습니다. 벽에 기대어 찍기도 하지만 벽 없는 데에서 찍기도 하고, 바닥에 쪼그려앉거나 거의 엎드리다시피 찍기도 합니다.


  안 흔들리는 사진을 바라면 참말 안 흔들리는 채 사진을 얻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한편, 아주 가끔 그런데, 흔들린 사진 가운데 ‘어, 이 사진 훨씬 마음에 드네.’ 싶기도 합니다. 왜 ‘흔들린 사진 하나가 더 마음에 드는’지는 잘 모릅니다. 다만, ‘사진으로 찍히기로는 흔들린 사진’이지만, 이 사진을 찍던 때 내 마음이 아주 너그럽거나 따사롭거나 즐겁거나 예쁘기에, ‘흔들리건 안 흔들리건’ 내 마음이 촉촉하게 젖으며 반갑구나 하고 여기지 싶어요. 흔들리는 사진에 내 마음이 사로잡힌달까요. (4345.1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래밭에 쓰다

 


  가을바다에 들어간다. 아이들이 웃고 노래하고 떠들고 춤추고 뒹굴고 논다. 나도 아이들과 함께 바다에서 놀고 모래밭에서 논다. 나뭇가지 하나 주워 모래밭에 그림을 그린다. 아이들 이름을 하나하나 적고, 아이들 모습을 하나하나 그린다. 예쁘게 노는 아이들은 예쁜 모습으로 모래밭에 나타난다. 즐겁게 뒹구는 아이들은 즐거운 모습으로 모래밭에서 빛난다. 물결이 밀려들면 이 글과 그림은 바닷물 따라 살며시 녹아들겠지. 나도 너도 따사로운 햇살 머금는 바닷물과 얼크러지겠지. (4345.1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2-11-04 05:58   좋아요 0 | URL
그림도 잘 그리시는군요!

숲노래 2012-11-04 09:37   좋아요 0 | URL
저는 제가 그리고픈 대로만 그리는걸요 ^^;;
 

꽃씨

 


달개비꽃 심는 공무원
아직 만나지 못한다.

 

나팔꽃 심는 정원사
아직 구경하지 못한다.

 

누가 있기에
시골 고샅이랑 마을 어귀에
잣나무 복숭아나무 호두나무
심을까.

 

누가 있어서
도시 골목과 찻길 한복판에
능금나무 떡갈나무 살구나무
심을까.

 

수세미꽃은 수세미 맺고
오이꽃은 오이 맺고
박꽃은 박 맺네.

 

골골샅샅 구멍 뚫려
자동차 시끄러운데

거센 비바람 찾아드니
푸른 물결 들판에 일렁일 뿐
차소리 사라진다.

 


4345.8.30.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들보라 큰돌 밟고 좋아

 


  누나랑 형은 스스로 기어서 큰돌을 오르지만, 어린 산들보라는 혼잣힘으로는 큰돌을 기어오르지 못한다. 아버지 도움을 받아 천천히 큰돌을 오른다. 오르고 나서 춤을 추며 즐겁게 웃는다. (4345.11.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돌 오른 어린이

 


  이웃마을 밭뙈기 큰돌에 오른다. 어떤 돌인지 알 길이 없는 큰돌이 마을마다 곳곳에 있다. 나는 이 큰돌이 멧골에서 굴러떨어진 돌이 아닌 고인돌이라고 느낀다. 고인돌이 기나긴 해를 지나 흙 속에 살며시 파묻힌 듯 보이지 않나 싶다. 그러나 이러면 어떠하고 저러면 어떠한가. 아이들은 고인돌이고 바위이고 가리지 않는다. 영차영차 기어올라 신나게 뛰어내리면 좋은 놀이터가 된다. 마음을 펴고 하늘을 느끼는 큰돌이다. (4345.11.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