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 아인슈타인

 


  무기를 손에 쥐면 누구나 전쟁일 뿐입니다. 무기를 손에 쥐어 평화를 이루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무기를 쥐는 사람은 누구나 전쟁을 일으킵니다. 전쟁을 벌여 평화를 얻는다고 하더라도 ‘전쟁을 해야’ 합니다.


  호미를 손에 쥐면 누구나 흙일입니다. 호미를 쥐어 전쟁을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호미를 쥐면 밭으로 가서 흙을 만집니다. 흙을 만지며 먹을거리를 얻습니다. 흙을 만져 먹을거리를 얻는 이는 식구들 몫만 거두지 않습니다. 이웃하고 넉넉히 나눌 만큼 거둡니다. 서로 배부를 수 있고, 서로 배부르고 보면 다투거나 싸우거나 겨루거나 따지거나 괴롭히거나 등돌리거나 할 까닭도 일도 구실도 없습니다.


  연필을 쥐면 누구나 문학이 됩니다. 돈을 쥐면 누구나 재벌이 됩니다. 부엌칼을 쥐면 누구나 살림꾼, 또는 요리사가 됩니다. 아이들 손을 쥐면 누구나 사랑스러운 어버이가 됩니다.


  어느 길을 가려 하나요. 어떤 길을 가려 하나요. 혁명이란 어떤 길이라고 생각하나요. 혁명을 어떻게 이루려 하나요. 사람들이 도시에 우글우글 모인대서 정치혁명도 문화혁명도 경제혁명도 일으키지 못해요. 사람들이 도시를 떠나고 도시를 버리며 도시를 잊어야 비로소 정치혁명도 문화혁명도 경제혁명도 일으킬 수 있어요. 왜냐하면, 혁명이란 ‘깡그리 부수어 없애는’ 일이 아니라 ‘아름답고 새롭게 짓는’ 일이거든요. 혁명이란 ‘너한테서 빼앗아 다 함께 나누는’ 일이 아니라 ‘나 스스로 새롭게 일구어 서로서로 나누는’ 일이거든요. 물리학자 아인슈타인 님도 ‘혁명’이 무엇인지 똑똑히 깨우친 한 사람입니다. 《나는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한겨레,1990)라는 책 31쪽을 읽습니다. “이런 악에 대항해서 소수의 지식인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가 아는 한 가능한 길은 하나밖에 없다. 혁명적인 방법으로써 복종하지 않고 협력하기를 거부하는 길, 즉 간디가 걸어간 길뿐이다.”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2.11.5.
 : 갈대잎 자전거

 


- 졸린 작은아이를 달래며 재우려고 자전거를 태울까 생각한다. 작은아이를 품에 안으면서 도톰한 겉옷을 입히고 두꺼운 바지를 갈아입힌다. 양말을 신긴다. 그런데 작은아이가 까무룩 고개를 떨군다. 아침부터 낮잠 없이 낮 두 시 남짓 하도록 개구지게 놀더니, 그만 앙앙 울다가 아버지 품에 안긴 채 까무룩 잠든다. 가만히 안아서 옆방으로 간다. 자리에 바로 눕히지는 않고 토닥토닥 노래하면서 기다린다. 살며시 무릎에 눕혀 본다. 아이가 꼼짝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보고는 잠자리에 살그마니 누인다. 이불을 덮는다. 가슴을 톡톡 쳐 준다.

 

- 큰아이만 데리고 자전거마실을 나온다. 집에서 서재도서관으로 옮길 책을 꾸린다. 마을 어귀에 내놓을 쓰레기를 챙긴다. 마을 어귀까지는 큰아이가 달음박질로 따라온다. 큰아이도 적잖이 졸린 낌새이지만 더 뛰고 더 달리며 더 놀고픈 마음이로구나 싶다. 쓰레기 담은 봉지를 마을 어귀에 내려놓은 다음 큰아이를 태운다. 서재도서관으로 가서 가방에 꾸역꾸역 담은 책을 풀어놓는다. 곰팡이가 피는 책꽂이에 있는 오래된 책은 비닐봉지에 담는다. 아직 어찌저찌 손쓰기는 어려워 이만큼만 해 두기로 한다.

 

- 이제 들길을 달린다. 요즈음 우리 마을에도 상수도 공사를 한다고 시끌벅적거린다. 시골마을 어느 집이나 땅속을 파서 물을 뽑아 쓰는데 상수도 공사를 왜 하는지 아리송하다. 시골사람한테까지 물장사를 하려는 정부 생각일까. 상수도 공사는 외려 시골사람한테 도움 될 일이 없다. 수도물은 문화도 문명도 아닌 바보짓이라고 느낀다. 맑고 시원한 물이 네 철 내내 콸콸 흐르는데 왜 수도물을 써야 하는가.

 

- 넓은 논 옆으로 난 제법 넓은 도랑에서 흐드러지는 갈대밭 앞에 선다. 자전거에 탄 큰아이가 갈대 줄기 하나 꺾어 달라고 한다. 그러나 도랑이 너무 깊고 가팔라 들어갈 수 없기에, 둑에서 허리를 숙여 꺾을 수 있는 작은 갈대 줄기 하나만 꺾는다. “얘는 왜 나한테 안녕 안녕 인사해? 얘는 왜 이렇게 이뻐?” 네가 갈대한테 인사를 하고, 네가 그야말로 이쁘잖니. 가을바람 듬뿍 쐬고는 집으로 호젓하게 돌아간다.

 

(최종규 . 2012 -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90 : 삶놀이, 책놀이, 사랑놀이

 


  엘린 켈지 님이 쓴 《거인을 바라보다》(양철북,2011)라는 책이 있습니다. 누군가 이 책을 한글로 옮겼고, 또 누군가 이 책을 펴냈기에, 나는 고작 13000원을 들여 틈틈이 책장을 넘기면 ‘고래와 얽혀 그동안 알지 못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새록새록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글쓴이는 고래 연구를 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마주하며 이 책을 썼다고 하는데, 연구자나 학자는 으레 “우리가 고래에 대해 아는 지식이란, 연구자들이 수면에서 얻어낸 극히 일부분의 정보로부터 추론한 것에 불과하며 그조차도 계속 같은 장소만을 관찰해 얻은 정보(57쪽)”라고 말한답니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안다’고 할 때에는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아는 셈일까 헤아려 봅니다. 누군가 나무를 ‘안다’고 한다면, 나무 한 그루와 얽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아는 셈일까 생각해 봅니다. 카렐 차페크 님은 《원예가의 열두 달》(맑은소리,2002)이라는 책을 쓰며 “입수한 식물을 전부 완벽하게 테스트하고 마스터하고 실제로 감상하기까지는 1100년이 걸린다(225쪽).” 하고 말합니다. 1100년을 살지 않은 주제에 무슨 턱없는 소리이냐고 따질 수 있을 텐데, 어느 풀이건 나무이건 꽃이건 하나도 똑같지 않아요. 풀 한 포기를 알려고 하면, 한해살이를 낱낱이 살펴야 하고,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갈래 풀포기를 모두 살펴야 하는데, 이렇게 살피고 저렇게 살피자면 ‘한 가지 풀’만 하더라도 자그마치 1100년을 들여다봐야 모든 모습을 살필 수 있다는 소리예요.


  내가 너를 알려면 너랑 함께 살아 보아야 알까요. 내가 너랑 함께 살아도 내가 못 보는 네 모습은 없을까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이녁 아이를 얼마나 안다 할 만할까요. 오늘날 거의 모든 어버이는 아이들을 보육원이나 어린이집에 맡깁니다. 어느 집에서는 돌쟁이조차 ‘전일제’로 보육원에 맡겨요. 때로는 할머니 손에 오래도록 맡기기까지 해요. 이런 요즈음 흐름을 돌아본다면, 요즈음 어버이는 이녁 아이를 ‘안다’고 하기 어려우리라 느껴요. 참말 무엇을 알까요.


  《거인을 바라보다》를 더 살피면 “아이를 키우는 엄마나 갓 태어난 아기들에게는 평화로움과 고요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래의 경우, 성별이나 나이를 막론하고 모든 개체들에게 평화와 고요가 반드시 필요하다(64쪽).”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책을 덮고 오래도록 생각에 잠깁니다. 고래뿐 아니라 사람도 평화롭고 고요한 곳에서 즐겁게 살아갈 만해요. 아이뿐 아니라 어른도 평화롭고 고요한 데에서 즐겁게 일하며 놀 만해요.


  삶이란 놀이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즐겁게 누리는 놀이처럼 즐겁게 누릴 삶이어야지 싶습니다. 1100년을 들여다봐야 비로소 겉훑기를 할 만한 풀 한 포기처럼, 한 사람 삶이란 두고두고 살펴도 모를 깊이가 있는 어여쁜 사랑이지 싶습니다. 가을하늘 올려다보며 삶을 읽고 놀아요. 밤하늘 초승달 올려다보며 사랑을 느끼고 놀아요. 스스로 아름다운 눈망울로 거듭나면서 아름다운 책을 알아보며 하루를 해사하게 누리면서 놀아요.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들보라 누나 옷 입고

 


  누나가 입힌 옷을 입고 한참 밖에서 뛰논다. 누나가 가는 꽁무니를 좇아 이리 달리고 저리 긴다. 누나 꽁무니를 좇다가 다리가 힘들면 가만히 서서 하늘도 올려다보고 먼 곳도 바라본다. 누나 옷 입은 채 고샅에 서니, 너희는 꼭 언니 동생 같구나.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생한테 제 옷 입힌 어린이

 


  아버지가 빨래한 분홍 웃옷이 입고 싶어, 빨래대에 옷걸이에 꿰어 넌 옷을 슬쩍 걷어 입은 큰아이 사름벼리는, 제가 입던 옷을 동생한테 살그마니 입힌다. 동생은 얼결에 누나 웃옷과 치마를 입는다. 그러나저러나 동생은 좋다며 그대로 입은 채 둘이 잘 논다.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