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읽기

 


  나는 신문을 안 읽습니다. 나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ㅎ신문 배달노동자로 살았습니다. 1999년에는 ㅎ신문 광고모델을 한 적 있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ㅎ신문에 우리 말글 이야기를 쓰기도 했습니다. 그러고서 2004년에 ㅎ신문을 끊었습니다. 도시를 떠나 시골로 삶터를 옮기며 더는 어느 신문도 읽을 까닭이 없다고 느꼈습니다. 왜냐하면, 시골살이를 들려주는 중앙일간지도 시골신문도 없거든요. 지역신문이든 도시신문이든 온통 도시살이만 다루거든요. 게다가 도시살이만 다루는 신문들이 도시 밑바탕을 이루는 여느 사람들 삶자락을 들려주지 않아요. 정치 이야기, 사건·사고 이야기, 스포츠 이야기, 연예인 이야기, 텔레비전 이야기, 자동차와 옷 이야기, 영어 이야기, 입시공부 이야기, 주식투자·부동산·아파트 이야기, 외국여행 이야기, 맛집 이야기, …… 들에 사로잡혀 정작 ‘작은 공장 노동자’ 이야기조차 1줄로나마 제대로 다루는 일이 없어요.


  무엇보다 ‘집에서 아이들과 하루를 보내는 아줌마 이야기’조차 중앙일간지이든 시골신문이든 다루는 일이 없습니다. 그러니, 나는 2004년부터 이제껏 어떠한 신문도 읽지 않고 보지 않으며 살피지 않습니다.


  중앙일간지라는 이름부터 허깨비라고 느낍니다. ‘중앙’이란 무엇이지요? ‘서울’이 한복판(중앙)인가요? 도시가 한복판인가요? 중앙에서 내는 신문이 왜 더 눈길을 받고 왜 사람들 목소리를 이끌어야 할까요?


  한미자유무역협정 이야기가 불거질 때에 스스로 시골로 찾아와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하고 하룻밤이나마 지내면서 이러한 무역협정이 이 겨레 먹을거리와 땅뙈기에 어떻게 스며들까를 생각한 기자나 작가나 지식인이나 학자는 아직 아무도 없습니다. ㅇㅁㅂ정부가 사대강 삽질을 밀어붙인다고 손가락질하거나 사대강 순례를 하는 사람이 제법 많지만, 아직 시골로 삶터를 옮겨 ‘스스로 삶을 즐기는 저항’을 하는 사람은 몇 안 됩니다.


  진보신문도 없고, 민주신문도 없습니다. 더 까놓고 말하자면, 보수신문도 없으며, 중도신문도 없습니다. 평화신문이나 자유신문조차 없습니다. 통일신문이나 평등신문은 있을까요.


  진보와 민주와 보수와 중도와 평화와 자유와 통일과 평등이란 무엇일까 하고 곰곰이 생각해 보지 않을 뿐더러, 스스로 삶으로 이러한 이야기를 녹이거나 삭혀서 거듭나지 않는다면, 모두 ‘목소리로만 외치는 꼴’입니다.


  삶은 목소리가 아니라 삶입니다. 살아내야 비로소 삶입니다. 외치기만 하는 일이란 외침, 곧 목소리일 뿐입니다. 목소리를 낸대서 달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스스로 삶을 움직일 뿐 아니라 삶을 즐기고 누릴 때에 달라집니다. 스스로 달라지지 않고 목소리만 낸다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스스로 진보신문이라고 여긴다면, 도시를 떠나고 서울을 벗어나야 합니다. 진보를 말하려는 매체가 되겠다면 기꺼이 도시를 버리고 서울하고 등지면서 시골에서 자급자족을 하며 신문을 내야 마땅합니다. 광고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밥을 벌며 신문을 내면 됩니다. 글 써 주고 사진 보내 주는 이한테는 스스로 지은 ‘똥오줌 거름으로 지은 곡식과 열매’를 글삯과 사진삯으로 주면 됩니다. 보수신문도 이와 같고, 평화신문이나 평등신문도 이와 같습니다.


  시골에서 흙을 일구는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참말 어느 누구도 종이신문을 안 읽습니다. 요사이는 연속극 보느라 텔레비전을 켜기는 하지만, 막상 텔레비전 새소식은 듣지 않습니다. 텔레비전에서 새소식 나올 여덟 시나 아홉 시는 시골사람 모두 코코 자는 때거든요. 새벽 서너 시에 일어나 저녁 일고여덟 시면 하루를 마감하는 시골살이예요. 시골사람은 흙에서 사회를 읽고, 햇살에서 문화를 읽으며, 바람에서 경제를 읽어요. 멧자락에서 교육을 읽고, 냇물에서 철학을 읽습니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활짝 웃고 뛰놀며 삶을 읽습니다. (4345.11.1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그만 광대 인형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04
로스비차 크바드플리그 그림, 미하엘 엔데 글, 김서정 옮김 / 시공주니어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놀고 싶어 태어난 아이들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209] 로스비차 크바드폴리그·미하엘 엔데, 《조그만 광대 인형》(시공주니어,2000)

 


  달마다 날씨가 달라요. 철마다 날씨가 다르고, 날마다 날씨가 달라요. 한 해를 가만히 돌아보면 어느 하루도 날씨가 같지 않아요. 햇살이 다르고 바람이 달라요. 구름이 다르고 그늘이 달라요. 따스한 철, 더운 철, 시원한 철, 추운 철, 이렇게 나눌 수 있어요. 비오는 날, 눈오는 날, 바람부는 날, 바람없는 날, 이렇게 나눌 수 있어요.


  하늘에 구름 한 점 없이 파랗게 눈부신 날이 있어요. 하늘에 구름 가득 어여쁜 그림이 빛나는 날이 있어요. 풀밭에 드러눕는 아이들은 하늘을 바라보며 손으로 그림을 그립니다. 그리고 또 그려도 새로 그리는 그림입니다. 지우고 다시 지워도 언제나 그리는 그림입니다.


  하늘을 바라보는 아이들 눈빛은 파랗습니다. 바다를 바라보는 아이들 눈빛 또한 파랗습니다. 봄들과 여름들 바라보는 아이들 눈빛은 푸릅니다. 가을들 바라보는 아이들 눈빛은 노랗습니다. 겨울들과 겨울메 바라보는 아이들 눈빛은 하얗겠지요. 또는, 네철 푸른나무를 바라보며 새로운 푸른빛이 될 테고요.


  달마다 날씨가 다르니, 다달이 즐기는 놀이가 다릅니다. 철마다 날씨가 다르니, 철마다 꾸리는 살림이 다릅니다. 봄에 먹는 밥이랑 가을에 먹는 밥이 달라요. 봄에는 봄기운 물씬 나는 밥을 먹어요. 가을에는 가을내음 듬뿍 나는 밥을 먹어요.


  밥 한 그릇 먹는 삶이란 고픈 배를 채우는 일이 아니에요. 밥 한 그릇 먹을 적마다 숨결을 들이켜요. 봄을 먹고 여름을 먹으며 가을이랑 겨울을 먹어요. 1월을 먹고 3월을 먹으며 9월과 12월을 먹어요.


.. 그래? 뭣 때문에 세상에 태어났는데? 재미있게 해 주려고 태어났지! 누구를? 그 남자 아이지, 누군 누구야! ..  (10쪽)


  나뭇잎을 갖고 노는 아이들은 철마다 다른 나뭇잎을 손에 쥐고 놉니다. 풀잎을 갖고 노는 아이들은 달마다 다른 풀잎을 손에 감싸며 놉니다. 꽃잎을 갖고 노는 아이들은 날마다 다른 꽃잎을 손에 얹으며 놉니다.


  셈틀을 켜서 인터넷게임을 하는 아이들은 언제나 똑같은 게임을 하며 놀이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텔레비전을 켜서 만화나 영화를 보는 아이들은 언제나 다른 만화나 영화를 보는 듯 여깁니다.


  숲은 늘 다른 빛깔 다른 내음 다른 모습입니다. 도시는 늘 같은 빛깔 같은 내음 같은 모습입니다. 숲에서 살아갈 적에는 늘 새로운 기운을 느끼고 새로운 숨결을 받아들입니다. 도시에서 살아갈 적에는 늘 똑같은 틀에 맞추어 똑같은 옷과 말과 넋이 됩니다.


  숲에서 노는 아이들은 어떤 틀이 없어요. 저마다 스스로 놀이를 찾고, 날마다 스스로 새롭게 뛰어놉니다. 도시에서 노는 아이들은 어떤 틀에 스스로 끼워맞춥니다. 똑같은 놀잇감을 손에 쥐고 똑같은 놀이터에서 똑같은 놀이에 얽혀듭니다.


  가만히 보면, 오늘날 학교는 도시나 시골이나 똑같은 교과서로 똑같은 지식을 집어넣은 다음 똑같은 대학교에 똑같은 시험을 치러 들어가도록 떠밀어요. 오늘날 학교는 다 다른 아이들이 다 다른 보금자리에 걸맞게 다 다른 마을에서 어여쁜 삶빛을 누리도록 돕지 않아요.


  그런데, 아이들에 앞서 어른들부터 똑같은 일을 해요. 똑같은 곳에서 똑같은 부속품처럼 똑같은 나날을 되풀이하면서 똑같은 돈을 벌고 똑같은 돈을 써요. 똑같은 일터에 똑같은 때에 맞추어 똑같은 옷차림을 하고서는 똑같은 움직임으로 드나들어요. 어른들 스스로 저마다 다 다른 숨결이요 목숨이며 삶이라고 느끼지 않아요. 똑같은 틀에 스스로 길들여지는 어른들은 이녁 아이들이 얼마나 다르며 아름다운가를 깨닫지 못한 나머지, 똑같은 굴레를 뒤집어쓰는 제도권학교에 보내기만 할 뿐이에요. 입시지옥인 줄 뻔히 알면서 입시지옥에 밀어넣는 어른들이에요. 입시지옥을 없애고 삶배움터를 짓지 않는 어른들이에요. 입시지옥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을 아이들한테 심고 말아요. 즐겁게 살아가지 못하는 어른이기에 즐겁게 꿈꾸는 아이들로 자라도록 이끌지 못해요.

 


.. 조그만 광대 인형은 너무나 더러워졌어. 전에는 얼마나 쓸모 있는 인형이었는지, 아무도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단다 ..  (12쪽)


  놀고 싶어 태어난 아이들입니다. 죽고 싶어 태어나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놀고 싶기에 태어나는 아이들입니다. 입시지옥에 시달리거나 영어바람에 휩쓸리고 싶어 태어나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회사원이 되거나 공무원이 되려고 태어나는 아이들이 아니에요. 해맑게 웃고 신나게 노래하며 씩씩하게 뛰놀려고 태어나는 아이들이에요.


  어른들 누구나 아이였고, 어른들 누구나 ‘놀고 싶어 태어난 아이’였어요. 어른들 누구나 즐겁게 뛰놀던 아이였으며, 어른들 누구나 즐겁게 뛰놀 적에 해맑게 웃던 아이였어요.


  놀아야 환하게 빛나요. 놀 때에 맑게 빛나요. 일을 해야 먹고살지 않아요. 놀아야 먹고살아요. 술 마시고 담배 태우는 껍데기 놀이 아닌, 삶을 짓고 삶을 누리며 삶을 나누는 놀이를 즐길 때에 먹고살 수 있어요.


  고된 일이기에 고될 뿐이에요. 즐거운 놀이일 때에는 지치지 않아요. 봄부터 가을까지 나무를 하며 고되다고 느끼는 까닭은 스스로 고된 일이라고 여기기 때문이에요. 고된 일로 대물림되었으니 고되어요. 즐거이 멧마실을 하면서 나무하고 사귈 적에는 나무하기가 즐거운 하루삶으로 자리잡아요. 논에서도 밭에서도 뻘에서도 바다에서도 저마다 즐겁게 얼크러지던 삶놀이예요. 집에서 밥하기와 빨래하기란 재미난 삶놀이예요. 누가 누구한테 억지로 시키는 일이라면 고달파요. 몇몇 사람한테 도맡도록 하면서 누군가 팔짱 낀 채 권력이나 가부장을 누린다면 서로서로 고달파요.


.. 할머니는 뭐 하러 그 애를 예쁘게 만드는 거지? 재미있게 해 주려고 그러는 거지! 누구를? 그 남자 아이지, 누군 누구야! ..  (18쪽)


  로스비차 크바드폴리그 님 그림과 미하엘 엔데 님 글이 얼크러진 그림책 《조그만 광대 인형》(시공주니어,2000)을 읽습니다. 조그만 광대 인형은 예쁘게 놀고 싶어 이 땅에 태어났는데, 이 인형을 손에 쥔 아이는 그만 예쁘게 놀 줄 모릅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어떤 일이 아이를 힘들게 옥죄었을까요.


  나중이 되면 아이 스스로 무언가 깨닫고는 ‘즐겁게 놀 삶’으로 나아가려 합니다. 그런데, 나중이 되어 깨닫기 앞서, 아이는 왜 아이답게 즐거이 놀지 못했을까요. 이 아이와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는 왜 아이가 즐겁게 놀도록 이끌지 않았을까요. 이 아이를 둘러싼 마을과 사회와 학교와 나라는 어떠한 꿈을 품는가요. 우리 어른들은 서로 어떤 사랑을 나누고 싶은가요. 스스로 무엇을 하려고 태어난 목숨인지 생각해 보는가요. (4345.11.13.불.ㅎㄲㅅㄱ)

 


― 조그만 광대 인형 (로스비차 크바드폴리그 그림,미하엘 엔데 글,김서정 옮김,시공주니어 펴냄,2000.5.15./6500원)

 

(최종규 . 2012 - 그림책 읽는 아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줄기 예뻐

 


  나무줄기에서 가지가 새로 뻗는다. 갑자기 나무줄기 꼭대기에서 옆으로 퍼지는 가지는 없다. 줄기마다 조그맣게 움이 트고 싹이 돋으며 잎이 하나 살그마니 나는데, 이 잎줄기가 바로 나뭇가지가 된다. 다른 나뭇가지가 저 위에 있달지라도 새 움은 언제나 조금씩 돋기 마련이요, 새 움은 이내 새 나뭇가지가 된다.


  사람들이 시골을 등지고 서울로 몰려들면서 나무줄기도 가지도 잎도 뿌리도 살갗으로 못 느끼고 만다. 여름 한철 지나고 텅 빈 바닷가에서 자라는 나무들이 한동안 사람 손길을 안 타니까 스스로 마음껏 줄기를 돋우며 뻗는다. 푸른 잎사귀는 그야말로 푸르고, 푸른 가지는 그야말로 푸르다. 예쁘다. (4345.11.13.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들보라 모래밭 파고들기

 


  여섯 살 형아가 힘껏 파놓은 모래밭 놀이터에 슬쩍 들어가서 나무막대기로 콕콕 쑤시기를 하는 산들보라. 모래밭에 소굴 하나 만든 여섯 살 형아는 두 살 산들보라가 슬그머니 들어와서 콕콕 쪼며 소굴을 무너뜨리려 한다고 골을 낸다. 그런데, 이 모래밭 놀이터는 바닷물 찰랑찰랑 들어오면 모두 반듯반듯 펴지며 제자리로 돌아가는걸. (4345.11.13.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어요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어요. 어떠한 글이라도 쓸 수 있어요. 이를테면 수많은 사람들이 ‘저 몹쓸 독재자!’라 외치며 손가락질을 하더라도 ‘아무개 만세!’ 하는 글을 쓸 수 있어요. 앞뒤를 안 살피고 뿌리를 안 캐며 흐름을 안 읽더라도, 누구나 스스로 좋아하는 대로 글을 쓰기 마련이니까요. 굳이 다른 사람 눈치를 보면서 글을 쓸 일은 없어요. 다만, 일기장 아닌 데에 ‘아무개 만세!’ 하는 글을 버젓이 쓰는 일이란 스스로 얼마나 바보스러운가 하고 드러내는 셈이 되겠지요.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어요. 곰곰이 생각을 기울인 다음 글을 쓸 수 있고, 아무 생각 없이 글을 쓸 수 있어요. 스스로 삶이 즐거워서 글을 쓸 수 있고, 스스로 아름답게 거듭나고 싶은 꿈을 꾸며 글을 쓸 수 있어요.


  나는 생각해 봐요. 왜 글을 쓰는가. 왜 쓸까. 음, 아무래도 내 마음속에서 빛 한 줄기를 보았으니 글을 써요. 스스로 북돋우는 빛이요 스스로 살찌우는 빛이기에, 이 빛줄기를 글로 엮어 나부터 스스로 되새겨요. 내 꿈을 되새기고 내 사랑을 아로새겨요. 글쓰기란 내 꿈쓰기이면서 내 사랑쓰기예요. 내 마음쓰기인 글쓰기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나는 다른 사람 글을 읽을 적에도 ‘내가 읽는 글을 쓴 사람’이 어떤 꿈과 사랑을 이녁 글에 담는가를 읽으려고 해요. 나는 줄거리를 읽지 않아요. 줄거리는 이내 잊어요. 그러니까, ‘내가 읽는 글을 쓴 사람’이 전업주부이건 대학교수이건 아랑곳할 까닭이 없어요. 그런 대목은 어느새 잊으니까요. 어떤 꿈을 글로 담으려 하고, 어떤 사랑을 글로 풀어내려 하는가를 읽어요. 왜냐하면, 나는 나부터 스스로 꿈과 사랑을 글로 쓰니까요. 꿈과 사랑을 쓸 생각이 아니라면 글쓰기를 할 뜻이 없으니까요. (4345.11.13.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글쓰기 삶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