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나무와 책기둥

 


  헌책방에서는 책이 책이기도 하면서 때로는 탑이 되고 때로는 밑받침이 된다. 헌책방에서는 책이 보배가 되기도 하면서 읽을거리가 되며 따사로운 이야기꽃이 되기도 한다. 헌책방에서는 책이 기록이나 역사나 문화가 되기도 한다. 아름다운 만남이 될 때가 있고, 애틋한 벗이 될 때가 있으며, 그리운 님이 될 때가 있다.


  받침대 밑에서 기둥 노릇을 하는 책은 서운하게 여길까. 나무받침대 밑에서 튼튼히 기둥 구실을 하는 책은 저마다 어떤 빛을 이룰까.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는 사람들이 이야기 담은 책으로 다시 태어난다. 사람들한테 푸른 숨결 나누어 주던 나무는 알맞게 잘리고 손질받아 받침대나 책상이나 걸상 되어 우리 곁에 머문다.


  오래되어 낡은 플라스틱이나 쇠붙이나 비닐은 쓰레기가 된다. 오래되어 낡은 책걸상은 잘 닦고 손질해서 두고두고 쓸 뿐 아니라, 너무 갈라지거나 쪼개졌다 싶으면 아궁이에 넣어 방바닥 지피는 장작으로 거듭난다.


  다 다른 이야기 담긴 책은 어떠한 빛이 되어 사람들 손으로 다시 찾아갈 수 있을까. 오늘 이야기는 모레나 글피에 어떠한 빛으로 사람들 손에 살그마니 얹힐 수 있을까.


  서른 해 꾸준하게 읽히는 책이 있고, 마흔 해만에 새롭게 빛을 보는 책이 있다. 이백 해 한결같이 읽히는 책이 있으며, 오백 해만에 비로소 빛을 보는 책이 있다.


  책을 아름답다고 느끼면, 내 마음속에서 아름다움이 찬찬히 싹을 튼다는 뜻이다. 책을 사랑스레 느끼면, 내 마음자리에서 사랑이 천천히 움을 튼다는 뜻이다. 책을 반가이 여기면, 내 마음결이 보드랍게 춤을 추면서 이웃을 반가이 맞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누가 책기둥에서 하나 빼내어 다른 책을 책기둥 되도록 할까. 누가 책기둥을 하나하나 덜어내어 받침대 기둥이 오롯이 나무로 바뀌도록 할까. 돌고 도는 책이니만큼, 오늘은 책기둥이 되고 모레에는 다른 책들이 책기둥이 되다가는 글피에는 새로운 책들이 책기둥이 되겠지. 4346.6.2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이란 무엇일까

 


  사람마다 다 다르게 읽는 책입니다. 사람마다 다 다르게 살아가기 때문에 마음이 달라, 똑같은 책을 놓고 얘기하더라도 다 다른 생각이 나옵니다. 이 사람은 이러한 삶에 바탕을 두어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고, 저 사람은 저러한 삶을 발판 삼아 저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풀 한 포기 바라보는 사람들 생각이 다 다릅니다. 나무 한 그루 마주하는 사람들 마음이 모두 다릅니다. 숲에 깃들 무렵 사람들 느낌이 저마다 다르겠지요. 아파트를 때려짓든 공장이나 발전소를 엄청나게 세우든 관광단지로 만들거나 고속도로 지나갈 길을 닦거나, 사람들 말이 하나하나 다릅니다. 도룡뇽을 비롯해 작은 목숨들 사랑하려는 사람이 있고, 경제개발과 경제성장율을 따지는 사람이 있어요. 삶과 사랑과 꿈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 한편, 진보와 문명과 문화와 발전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어요.


  이 책을 이렇게 읽기에 아름답지 않습니다. 이 책을 저렇게 다루기에 밉지 않습니다. 다 다른 사람들은 다 다른 삶에 맞추어 다 같은 책을 다 다르게 생각합니다. 곧, 책이란, 다 다른 삶을 그리는 이야기꾸러미가 되겠지요. 다 다른 사람한테 다 다른 생각으로 스미는 생각주머니가 되겠지요.


  누군가는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깨쳐 슬기로운 길을 걷습니다. 누군가는 책을 안 읽더라도 생각을 일으켜 슬기로운 삶을 짓습니다. 누군가는 책을 읽지만 마음도 생각도 열지 않고 지식더미를 쌓습니다. 누군가는 책을 안 읽는데에도 그예 지식조각 정보부스러기 잔뜩 껴안습니다. 4346.6.2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67) 예쁨받다

 

이보다 더 사랑받고 존중받고 예쁨받을 수는 없을 것이다
《데이비드 미치/추미란 옮김-달라이 라마의 고양이》(샨티,2013) 228쪽

 

  사랑스러우니 사랑받을 수 있지만, 내 마음에 사랑이 피어올라 누구한테나 사랑스레 마주할 수 있습니다. 귀여우니 귀여움받을 수 있지만, 내 마음에 귀여운 마음 싹트며 이웃 누구한테나 귀여운 웃음 지을 수 있습니다. 예쁘기에 예쁨받을 수 있지만, 내 마음에 예쁜 넋 찬찬히 자라며 동무들과 예쁜 말씨로 이야기꽃 피울 수 있습니다.


  사랑받습니다. 귀여움받습니다. 예쁨받습니다. 믿음받습니다. 이와 함께 ‘사랑주기’와 ‘귀여움주기’와 ‘예쁨주기’와 ‘믿음주기’ 같은 말을 써 볼 수 있을까요. 받으니 주고, 주면서 받습니다. 받으면서 새롭게 자라서 시나브로 줍니다. 주면서 스스로 웃으니, 저절로 웃음꽃 피어 스스로 기쁨받습니다. 4346.6.28.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보다 더 사랑받고 우러름받고 예쁨받을 수는 없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로 읽는 책 29] 소리를 듣는다

 


  눈과 귀와 몸과 마음이 들으며
  춤과 이야기와 생각과 사랑이 흘러
  소리 한 자락, 맑게 퍼지는 노래 되지요.

 


  하늘을 울리는 소리가 있고, 땅을 부르는 소리가 있습니다. 나뭇잎을 건드리는 소리가 있으며, 구름을 타는 소리가 있어요. 사람마다 소리를 다 다르게 듣습니다. 사람마다 다 다른 곳에서 소리를 느낍니다. 나비 날갯짓에서 노래 한 가락 찾는 사람이 있고, 잠자리 날갯짓에서 노래 두 가락 살피는 사람이 있어요. 마음이 있을 때에 사랑을 느껴 노래를 짓습니다. 귀뿐 아니라 눈과 몸으로 소리를 들으니, 춤과 이야기와 생각이 샘솟아 고스란히 아름다운 노래로 태어납니다. 악보를 쓰거나 악기를 타야 노래를 짓지 않아요. 마음과 사랑이 만날 때에 노래가 태어납니다. 4346.6.2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오덕 일기》 2권 느낌글을 올린다.

엊저녁에 밑글 쓰느라 한 시간 반쯤 걸렸고,

오늘 새벽 세 시부터 여섯 이십 분까지

이 글을 썼고, 사십 분 동안 되읽으며

곰곰이 살폈다.

 

이제 곧 《이오덕 일기》 3권 느낌글도

써야지 하고 생각한다. 3권 느낌글은

2권 느낌글보다는 조금 가볍고 짧게

쓸 수 있을까. 모르리라.

나오는 대로 쓰겠지.

 

3권 느낌글에서는 내 중고등학교 이야기를

쓰지 않으랴 생각한다.

 

후련한 한편 쓸쓸하다.

이오덕 선생님이 이 일기를 쓰던 때나

내가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던 때나

오늘날이나,

게다가 앞날까지도

이 나라는 하나도 안 달라질 듯하기 때문이다.

 

더 눈을 밝혀 살핀다면,

최현배 님이 <나라 건지는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1940~50년대 한국 교육 문제를 비판하는 책 낸 적 있는데,

그때부터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입시지옥 모습이 똑같다.

 

더 파고들면, 일제강점기부터

이 나라에 입시지옥이 들어왔지.

 

아이들 죽이는 짓을 일본 제국주의한테서 받아들여

오늘날까지 그대로 두는 이 나라는

어떤 나라일까.

 

참말 욱일승천기 따위는 아무것 아니다.

이 나라 아이와 어른 모두 멍텅구리가 되었는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