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만 한 책들은

 


  커다랗게 만들어도 책이고, 조그맣게 만들어도 책입니다. 커다랗게 만든대서 이야기가 커지지 않습니다. 조그맣게 만들기에 이야기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어떤 꼴로 만들어도 책에 깃드는 이야기는 한결같습니다.


  책에 때가 타거나 먼지가 앉아도 이야기에는 때가 타지 않고 먼지가 앉지 않습니다. 책이 헐어도 이야기가 헐지 않습니다. 책이 다쳐도 이야기가 다치지 않아요. 아이들은 똑같은 그림책이나 만화책을 천 번 만 번 되읽습니다. 책이 아주 낡고 닳습니다. 그런데, 책이 낡고 닳을수록 이야기가 한결 빛나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책빛이란, 이렇게 손길을 타는 빛이요, 눈길을 받는 빛일는지 몰라요.


  손바닥만 한 책들에는 손바닥만 한 이야기가 깃들지 않습니다. 크기는 손바닥만 하지만, 이야기는 너른 바다와 같습니다. 한손으로 쥘 만큼 가볍고 작은 책이지만, 이야기는 깊은 숲과 같아요.


  책을 읽습니다. 커다란 책이나 조그만 책 아닌, 내 마음 북돋우는 아름다운 책을 읽습니다. 책을 읽습니다. 이름있는 책이나 이름없는 책 아닌, 내 사랑 보듬는 어여쁜 책을 읽습니다. 책을 읽습니다. 값있는 책이나 값없는 책 아닌, 내 꿈 밝히는 책을 읽습니다.

  조그마한 씨앗이 우람한 나무로 자랍니다. 아기 손톱보다 훨씬 작은 씨앗 하나가 아주 커다란 나무로 자랍니다. 나무씨는 콩씨보다 작기 일쑤입니다. 나무씨가 아주 조그맣대서 조그마한 나무로 자라지 않아요. 마음속에 고운 빛 품기에 씩씩하게 자랍니다. 가슴속에 맑은 빛 어루만지기에 튼튼하게 자랍니다.


  이야기 한 타래 책밭에서 자랍니다. 이야기 한 꾸러미 책터에서 자랍니다. 이야기 한 가지 책누리에서 자랍니다. 아이들은 저마다 작은 손길 뻗어 손바닥만 한 책들 사이에서 조그마한 이야기씨앗 하나 받아안습니다. 4346.7.8.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내놓는 마음

 


  내가 장만해서 읽은 책은 내 마음을 살찌우는 아름다운 책입니다. 즐겁게 일해서 그러모은 돈을 즐겁게 써서 책을 한 권 장만합니다. 기쁜 마음 되어 두근두근 책장을 넘겨요. 새록새록 스며드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고맙게 받아먹습니다. 다 읽은 책을 가슴에 포옥 안으며 한껏 설렙니다. 이 느낌 홀로 누리기보다 여럿이 누리면 더 즐거우리라 생각하면서, 내 마음 살찌운 아름다운 책을 한 꾸러미 되도록 모아서 헌책방으로 가져갑니다. 즐겁게 장만해서 즐겁게 읽은 책이기에 즐겁게 내놓습니다. 누군가 나처럼 이 책들 환하게 맞아들여 반갑게 즐기면서 새롭게 마음밥으로 삼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즐겁게 읽은 책을 헌책방에 내놓는 마음이란, 기쁘게 북돋운 사랑을 이웃과 나눠 갖고 싶은 빛입니다. 내 마음에 빛 한 줄기 된 책을 내 이웃 마음속으로도 새로운 빛 한 줄기로 스며들기를 바라는 꿈입니다.


  책이 돌고 돕니다. 책이 읽히고 읽힙니다. 돌고 도는 책은 언제까지나 아름답게 빛납니다. 읽히고 읽히는 책은 한결같이 사랑스럽습니다. 4346.7.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08 09:53   좋아요 0 | URL
저는 중고등학교때만 해도, 헌책방은 필요 없어진 책을 팔고 또 필요한 책을 더욱 싼 값으로 사오는데로만 알았어요..^^;;; 집근처인 동대문운동장이나 평화시장 길목에 헌책방들이 많았어요.
그런데 이제는 함께살기님 덕분에 '헌책방'의 의미있고 아름다운, 삶의 오래된 숲을 깨닫게 되어 참 기쁘고 감사하답니다. ^^
저도 나중에 제가 즐겁게 읽은 예!쁜 책들을 한꾸러미씩 모아 헌책방엘 가야겠어요~.
사진으로 올려주신 헌책방이 참으로 근사하고 좋군요..^^

숲노래 2013-07-08 10:50   좋아요 0 | URL
헌책방에서 '필요한 책'을 사려면, 누군가 그 '필요한 책'을 내놓아 주어야 살 수 있어요. 그런데, 많은 분들이 아직도 이 대목을 잘 모르시더라구요. 그래도, 적잖은 사람들은 이 대목을 잘 알아서, 예나 이제나 아름다운 책을 헌책방에 즐겁게 내놓아 준답니다~
 

[시로 읽는 책 33] 사랑

 


  물을 마시면서 내 몸은 물이 되고
  바람을 들이켜며 내 몸은 바람 되어
  햇살을 쬐는 사이 어느덧 해처럼 빛나요.

 


  사랑한다고 할 때에는 ‘그 모습 그대로’를 좋아해요.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서로서로 ‘그 모습 그대로인 서로’를 닮아요. 마음이 닮고 생각이 닮아요. 꿈이 닮고, 이윽고 사랑이 닮으면서, 삶 또한 가만히 닮지요. 마음과 생각과 꿈과 사랑이 닮으면서 삶이 닮다 보니, 얼굴도 몸짓도 목소리도 닮습니다. 다 다른 사람이 사랑을 하지 않아요. 서로 닮고 싶은 사람이 사랑을 해요. 서로 즐겁게 닮으면서 아름다운 길 걸어가고픈 사람들이 만나 사랑을 이루어요. 4346.7.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3-07-08 06:38   좋아요 0 | URL
풀여치 한마리가 어깨에 와 앉아 함께 걷는 동안 문득 내가 풀잎이 되고 풀여치는 내가 풀잎이라고 여기게 된다는 박형준 시인의 시가 생각나네요. 이 시의 제목을 "사랑"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지금 검색해보니 다른 시가 검색되네요. 제가 제목을 잘못 알고 있는지.

숲노래 2013-07-08 07:07   좋아요 0 | URL
박형준 님이 그런 아름다운 시를 쓰셨군요.
풀여치와 풀잎하고 하나가 되면서
고운 넋 되었기에
그와 같이 예쁜 시를 쓰셨나 봐요!
 
외톨이 동물원 일공일삼 47
하이타니 겐지로 지음, 허구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비룡소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35

 


동무와 놀고 싶은 마음
― 외톨이 동물원
 하이타니 겐지로 글,허구 그림,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펴냄,2003.11.17./7500원

 


  시골에서 살아가는 우리 아이를 바라보는 어느 어른은 ‘또래가 없어서 심심하겠어요.’ 하고 말합니다. 아이 앞에서 할 말과 안 할 말이 있지, 이렇게 생각이 없는 채 말을 해도 되는가 싶지만, 이런 말에는 빙그레 웃음지으면서 짧게 대꾸합니다. ‘도시에서는 자동차 때문에 아이들이 놀 데가 없어서 어쩌지요?’


  도시라는 데라 해서 아이들이 또래를 널리 만난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온통 자동차투성이라서 아이들이 마음껏 나다니지 못합니다. 어른들 스스로 자동차 때문에 걱정하는 나머지 아이들을 함부로 바깥으로 내보내지 않습니다. 그래, 아이들은 도시에 있다 해서 ‘또래를 쉬 만나지 못’해요. 그리고, 도시 어른들은 왜 도시에서 아이들이 또래를 쉬 못 만나는지 못 깨닫습니다.


  더군다나, 도시에서는 아이들이 수많은 학원에 얽매이느라 또래놀이를 할 겨를이 없습니다. 학원에서 또래끼리 어울린다 하지만, 놀이를 하지 않아요. 그저 손전화 갖고 노닥거리거나, 텔레비전에서 본 이야기를 시시껄렁하게 주고받을 뿐입니다.


.. 두 사람이 제대로 알아들을 수 없는 목소리는, “업어 주면 될 텐데.” “저러다가 해 떨어지겠네.” 하는 따위의 말을 했다. 어머니를 속상하게 하고 마리코한테는 제발 들리지 않았으면 싶은 말을 내뱉는 사람도 있었다. “기분 나빠.” “저런 애는 무슨 낙으로 살까?” 200미터를 40분 만에 걸어가는 아이한테는 아무 즐거움도 없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 “마리코는 채송화 같은 사람이 되어야 해.” 하루미 이모는 채송화가 필 무렵이 되면 항상 그렇게 말한다. “이렇게 뽐내지 않는 꽃도 드물 거야. 그렇지, 마리코? 봐, 이렇게 예쁜 꽃을 피우려고 채송화는 얼마나 오랫동안 견뎠는지 몰라. 알고 있니? 메마른 땅에서도 뙤약볕이 며칠씩 쏟아져도 채송화는 끄떡도 않고 항상 예쁜 꽃을 피운다는 거.” ..  (13, 23∼24쪽)


  아이들끼리 놓으면, 아이들은 ‘또래’를 굳이 안 따집니다. 어른들은 아이들 나이를 하나하나 캐묻습니다. 어른들은 아이들 나이에 따라 누구는 동생 누구는 오빠 누구는 누나 하고 틀을 짓습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나이를 안 물어요. 아이들이 나이를 묻는 버릇이 있다면, 어른들이 언제나 ‘나이 묻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나이를 궁금하게 여기지 않아요. 아이들은 오직 한 가지만 궁금하게 여깁니다. “이름이 뭐니?”


  아이들은 이름을 궁금하게 여깁니다. 풀 한 포기 이름을 궁금해 합니다. 나무 한 그루 이름을 궁금해 합니다. 나비를 보면서, 벌레를 보면서, 새를 보면서, 구름을 보면서, 저마다 어떤 이름인지 궁금해 합니다.


  도시에서는 가게를 보고 간판을 보고 자동차를 보고 기계를 보고 이것저것 자질구레한 어마어마한 것들 보면서 하나하나 가리키며 묻지요. “저건 (이름이) 뭐예요?”


  도시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사랑스러운 이름으로 부를 만한 동무를 가까이에 두지 않습니다. 갖가지 지식만 아이들 곁에 둡니다. 도시 어른들은 아이들이 살가이 마주하면서 따사로이 보살필 동무를 가까이에 두지 않습니다. 풀도 나무도 벌레도 짐승도 새도 가까이에 두지 않아요. 도시 어른들은 아이들 곁에 텔레비전을 놓아요. 도시 어른들은 아이들 곁에 놀이터조차 아닌 주차장만 잔뜩 놓아요. 도시 어른들은 아이들 곁에 가게를 놓고 오락실을 놓으며 학원을 놓습니다.


  동무와 놀고 싶은 아이들은 놀지 못합니다. 아이들은 동무를 만날 수 없으니 못 놀고, 동무를 만나더라도 무엇을 해야 놀 만한지 모릅니다. 도시 아이들 사이에서는 놀이가 뚝 끊겼어요. 도시 아이들은 언니 오빠 누나한테서 놀이를 물려받지 못했어요. 도시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사랑과 꿈을 물려받지 못했어요. 도시 아이들은 오직 시험공부와 대학입시 두 가지에만 목을 매달아야 해요.


.. “까꿍까꿍, 착하지. 선생님이 노래 불러 줄게.” 야마자키 선생님은 스물다섯 살로 아직 총각이다. 당연한 일이지만 서투른 솜씨로 아기를 안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우스꽝스러웠다. 여자 아이들이 손으로 입을 가리며 웃음을 참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 “학교에서 쉬할 텐데?” “응.” “기저귀 잘 갈 줄 알아?” 그러자 굼벵이는 “으응.” 하고 힘없이 대답했다. 아기는 낯선 곳에 오면 기저귀를 갈 때마다 온몸을 뒤틀며 마구 뻗댔다. “난 동생들 기저귀를 천 번도 넘게 갈아 줬어.” “정말이야?” 굼벵이는 기타를 존경스러운 눈길로 바라보았다. “아무래도 네 동생 기저귀 갈아 주러 내일 학교에 가야겠구나.” … 기타는 콩조림도 조그맣게 쪼개서 먹였다. 굼벵이가 기타를 흉내 내어 사과를 잘게 쪼개고 있었더니, 기타가 타박을 주었다. “그런 건 그냥 손에 쥐고 빨게 하는 거야. 안 그러면 이빨이 약해진단 말이야.” “끄으응.” 하고 야마자키 선생님이 신음 소리를 냈다. 기타를 둘러싸고 있던 아이들도 기타를 새삼 다시 보았다 ..  (36, 47, 52쪽)


  두 아이와 함께 시골에서 살아가며 가만히 생각합니다. 시골에서는 ‘또래 아이’가 없어도 됩니다. 시골에 있는 또래 비슷한 아이라 하더라도, 여느 도시 아이와 똑같다면, 아이들 스스로 가까이 다가서지 않습니다. 재미없거든요.


  시골에서는 장난감이 있어야 놀지 않아요. 마냥 뛰고 달리면 놀이예요. 풀잎을 만지고 또랑물을 첨벙첨벙 밟다가는 샘물을 두 손으로 떠서 마시면 놀이예요. 꽃을 꺾어 목걸이와 반지와 팔찌를 만들어요. 꽃을 귀에 꽂아요. 꽃을 들고 달려요. 잠자리를 좇고 나비와 함께 춤을 추어요. 힘들면 나무그늘에 털썩 주저앉아 시원한 풀바람을 쐬지요. 이 모두가 놀이예요. 달리 놀이가 아니에요.


  자치기니 굴렁쇠니 해야 놀이가 아니에요. 공기나 소꿉을 해야 놀이가 아니에요. 자전거나 딱지나 물총이 있어야 놀이가 되지 않아요. 제비를 올려다보고 먼발치에서 해오라기를 바라보아도 놀이예요. 풀을 뜯어서 맛보고, 꽃잎을 하나하나 쓰다듬으며 놀이예요.


  도시 어른들 누구나 조금만 생각하면 돼요. 시골에는 놀이터가 없어요. 시골에는 놀이터가 없어도 돼요. 시골에서는 숲과 들과 멧골과 바다와 냇물이 오롯이 놀이터예요. 숲과 들과 멧골과 바다와 냇물은 아이들한테뿐 아니라 어른한테도 놀이터예요. 쉼터이고 만남터이며 잔치터가 되지요.


.. ‘차코를 태워 줘야지. 차코를 태우고 여기저기 다닐 거야. 차코는 탐험가가 될지도 모르니까.’ ..  (72쪽)


  하이타니 겐지로 님 동화책 《외톨이 동물원》(비룡소,2003)을 읽습니다. 짧은동화 다섯 꼭지를 실어, 다섯 갈래로 다섯 삶을 일구는 아이들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섯 갈래로 보여주는 다섯 가지 아이들 삶은 모두 다른데, 꼭 한 가지는 비슷합니다. 다섯 갈래 아이들은 모두 가난합니다. 외롭습니다. 슬픕니다.


  그러나, 다섯 갈래 아이들은 어버이 주머니가 가난할 뿐, 어버이와 아이 마음은 넉넉해요. 다섯 갈래 아이들은 짓궂은 어른들 때문에 외롭지만, 스스로 마음속에서 사랑을 길어올리고픈 꿈을 키워요. 다섯 갈래 아이들은 바보스러운 어른들 때문에 자꾸 슬픔을 맛보지만, 동무들과 사이좋게 어깨동무를 하면서 이 땅에 고운 눈빛 밝히는 꽃이야기를 노래하고 싶습니다.


.. “너구리처럼 인기 없는 동물을 좋아하는 이유가 뭐지?” 소년은 안심한 듯한 얼굴을 했다. 그러고는 잠깐 생각에 잠겼다. 이번에는 소년이 “으응.” 하고 힘든 소리를 냈다. “조용한 동물이랑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니까…….” … 먹이 저장실에 가자, 소년은 감탄한 듯이 외쳤다. 마른풀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향긋한 냄새가 솔솔 풍겼다. 소년은 마른풀을 코에 갖다 대고 냄새를 맡았다. “산 냄새가 나는 것 같아. 아니야, 들판 냄샌가?” ..  (90, 91쪽)


  우리 어른들은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는가 궁금해요. 아이들은 ‘동무와 놀고 싶은 마음’인데, 우리 어른들은 ‘어떤 이웃이나 동무를 사귀면서 무엇을 하고픈 마음’일는지 궁금해요.


  술자리 아닌 즐거운 놀이를 생각할 줄 아는 어른인가요? 담배 아닌 기쁜 놀이를 떠올릴 줄 아는 어른인가요? 극장이나 쇼핑이나 관광 말고, 호젓한 이야기잔치 이루는 살가운 놀이를 헤아릴 줄 아는 어른인가요? 돈 한 푼 안 쓰면서 다 함께 활짝 웃음짓는 놀이를 꿈꿀 줄 아는 어른인가요?


  어른들 스스로 꿈꾸지 않고서 아이들더러 꿈꾸라 말할 수 없어요. 어른들 스스로 서로서로 사랑하지 않으면서 아이들더러 이웃을 사랑하라 말하지 못해요. 어른들부터 참답고 착한 삶 일굴 때에, 아이들은 참답고 착한 마음을 품어요. 어른들부터 슬기롭고 올바른 삶 빛낼 적에, 아이들은 곱고 맑은 말씨로 예쁜 벗님 되어 날마다 신나게 뛰어놉니다.


.. ‘이런 글을 써도 될까. 술장수는 꿈이 없는 직업일까…….’ 가즈토는 그렇게 생각했다. 어쩐지 부모님을 욕되게 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가즈토는 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그러고는 다시 연필을 들었다 ..  (108쪽)


  아이들은 아이다운 몸가짐으로 놀 적에 튼튼히 자라요. 아이들은 아이다운 낯빛으로 활짝 웃을 적에 씩씩히 커요. 어른들은 어른다운 마음가짐으로 일할 적에 꿋꿋하게 살아요. 어른들은 어른다운 눈빛으로 티없이 웃을 적에 아름다운 길 걸어요.


  아이들한테 말미를 주셔요. 아이들이 스스로 놀 만한 말미를 주셔요. 아이들이 걱정없이 뛰놀 빈터를 주셔요. 아이들한테 돈 말고 꿈을 주셔요. 아이들한테 문제집이나 참고서나 교과서 말고 사랑을 주셔요. 아이들한테 직업훈련이나 입시지옥 말고 놀이를 주셔요. 4346.7.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어린이책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책

 


  요즈음 아이들은 아름다운 동화책과 그림책을 두루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아름다운 삶은 어느 만큼 누릴 수 있지? 어른들은 아름다운 삶을 얼마나 누리나? 온갖 재미난 책과 영화와 스포츠와 연속극과 숱한 맛집·옷집·관광지 따위는 있는데, 어른들은 아름다운 사랑과 삶과 꿈을 얼마나 나누거나 즐기거나 일굴까? 아이들한테 주어진 아름다운 동화책과 그림책은 얼마나 뜻이 있을까? 아름답다는 동화책과 그림책을 한껏 누리던 아이들이 어른으로 자라면, 이제 이 아이들 앞에는 어떤 아름다운 것들이 있을까? 오늘날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이 어른이 되면 서로 어떤 아름다운 것을 누리려는 생각일까? 4346.7.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