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죽은 ‘조용한’ 마을

 


  지난 수요일, 2013년 7월 10일 새벽 다섯 시부터 우리 마을과 이웃 마을에 ‘항공방제’를 했다. 농협에서 ‘친환경농업단지’에 ‘친환경농약’을 무인헬리콥터로 뿌렸다. 면내방송과 마을방송에서는 수요일 새벽 다섯 시부터 아침 아홉 시까지만 뿌린다 했는데, 정작 항공방제는 수요일 한낮에도 했고, 목요일과 금요일에도 새벽부터 저녁까지 했다. 그리고, 수요일 저녁부터 우리 마을 논이랑 이웃 마을 논에서 개구리 노랫소리가 모두 사라졌다. 한여름을 가득 누비며 밝히던 개구리 노랫소리는 하루아침에 ‘친환경농약 항공방제’와 함께 모조리 사라졌다. 몽땅, 모두. 하나도 남김없이. 이제 다음해 봄날까지 우리 시골과 이웃 시골에서는 개구리 노랫소리는 다시 들을 수 없다. 4346.7.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과 헌책방과 삶)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15 22:16   좋아요 0 | URL
아...개구리 노랫소리가 하루아침에 모조리 사라졌다는 말씀에 철렁하고
뭐라 말 할 수 없이 비감하네요..
함께살기님 마음은 더욱 그러시겠지요...

숲노래 2013-07-16 05:59   좋아요 0 | URL
도시에서는 일찌감치 개구리가 사라졌는걸요...
어제 밤새 귀를 기울이니
그래도 열 마리쯤은
살아남은 듯하기도 해요...
 

[시골살이 일기 16] 시골 돌아와 살아나다
― 도시 다녀오면 따분한 아이들

 


  이틀을 경기도 일산과 서울에서 보낸 아이들이 사흘째 저녁 드디어 시골집으로 돌아옵니다. 아버지가 서울에 볼일이 있어 두 아이는 아버지와 함께 서울을 다녀옵니다. 옆지기는 미국으로 배움길을 떠난 터라, 아이들은 아버지하고 시골에서 지냈고, 아버지가 이리 가거나 저리 갈 때마다 언제나 함께 움직입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은 저희 마음껏 뛰고 달리고 소리치고 노래하고 뒹굴면서 놉니다. 시골마을에서 아이들은 이리로도 달리고, 저리로도 구릅니다. 아이들은 옷에 흙이 묻거나 말거나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마을 빨래터에서건 논도랑에서건 웅덩이에서건 철벅철벅 뛰면서 물투성이가 됩니다. 들꽃을 꺾어 머리에 꽂거나 반지를 만들며 놀고, 꽃다발을 한아름 안으며 달리기를 합니다. 이런 아이들이 시외버스를 몇 시간 타고 기차를 또 몇 시간 타다가는, 전철과 택시를 자꾸 갈아타야 하니 아주 힘들밖에 없습니다. 버스에서건 기차에서건 전철에서건 택시에서건, 아이들은 ‘얌전히’ ‘꼼짝 말고’ ‘입을 다물면서’ ‘뛰지 말고’ ‘목소리 낮추어’ ‘아무것이나 만지지 말며’ 잔소리를 들어야 해요. 시골집에서는 무엇이건 신나게 즐기면서 누리던 아이들이지만, 도시에서는 어디에서고 홀가분하게 뛰놀 수 없습니다.


  도시에서 태어나 학교와 학원을 쳇바퀴처럼 도는 아이들이 왜 ‘죽이고 죽는 게임’에 빠져들고 ‘죽이고 죽는 영화와 만화’에 젖어드는지 시나브로 깨닫습니다. 너무 짓눌리고 끔찍하게 억눌린 나머지, 아이들은 몸이 갇히고 마음이 갑갑해요. 놀지 못한 채 ‘학습’만 하다 보니, 아이들은 슬프고 괴롭지요. 이 가녀린 도시 아이들은 어른들 흉내를 내며 온갖 범죄를 저지르고 말아요. 이 불쌍한 도시 아이들은 어른들 흉내를 내며 거친 말씨와 막말을 따르고 말아요. 장난감 총으로 노는 아이들이 되지요. 동무를 괴롭히거나 따돌리거나 때리면서 히죽히죽 웃어요.


  아이들이 아이답자면 아이로서 해맑게 웃고 노래면서 뛰놀 수 있어야지 싶어요. 그래, 우리 집 두 아이는 사흘째에 이르러 시골집으로 돌아오니, 읍내에서 시외버스 내리고 택시를 불러 느즈막한 저녁에 비로소 집과 가까워지자 뒷자리에서 뒹굴고 노래하고 소리치고 웃고 떠듭니다. 이틀 동안 꽁꽁 갇히거나 묶인 굴레를 벗어던집니다.


  살아나는구나. 아이다운 빛으로 살아나는구나. 살아나며 웃는구나. 스스럼없이 웃고, 거리낌없이 노래하면서 아리따운 이야기를 우리 집과 마을에 흩뿌리는구나. 4346.7.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15 2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벼리와 보라와 함께살기님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오늘밤 지금 이 시간은 정말 너무나 꿀맛,같은 포근하고 좋은 밤이겠지요~^^
안녕히 주무세요~*^^*

숲노래 2013-07-16 05:59   좋아요 0 | URL
힘겹게 잠자리에 들었는데
아이들 모두
아침에 즐겁게 일어나기를 빌어요... 에구..
 

순천 가는 기차 타고 한 시간 반쯤 되어 두 아이 겨우 잠들어, 하나는 무릎에, 하나는 어깨에. 깨울 때까지 잘 쉬어야지, 이 아이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골짝물 어린이

 


  천등산 기슭으로 자전거를 끌고 간다. 여름마다 골짝물놀이 즐기는 데로 간다. 아이들은 하염없이 물놀이를 한다. 아이들은 온몸을 골짝물에 담근 채 나무그늘 짙게 드리우는 여름을 누린다. 골짝물은 돌돌 소리를 내면서, 아이들 까맣게 탄 살결을 어루만지며 흐른다. 4346.7.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에서 지내는 삶은 심심하지 않습니다. 섬에서 누리는 삶은 따분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도시에서는? 시골에서든 섬에서든 도시에서든, 또 멧골에서든 바닷가에서든 숲속에서든 어디에서든, 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어떤 삶을 스스로 일구느냐에 따라 즐거움이 다릅니다. 즐겁게 살아가겠다 생각하며 하루하루 기쁜 웃음으로 맞이하면 어디에서나 즐겁습니다. 즐거움 아닌 돈벌이나 이름쌓기나 힘겨루기 따위에 휩쓸리면 시골에서도 도시에서도 숲속에서도 섬에서도 늘 고단하거나 힘겹거나 따분하기 마련입니다. 토베 얀손 님이 들려주는 《소피아의 섬》 이야기는 섬에서 할머니와 ‘내(글쓴이)’가 누리는 삶을 보여줍니다. 날마다 어떤 재미가 있고, 언제나 어떤 웃음이 있으며, 하루하루 어떤 빛이 드리우는가를 차근차근 밝힙니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소피아의 섬
토베 얀손 지음, 이옥용 옮김 / 한길사 / 2005년 9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13년 07월 15일에 저장
품절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