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흙벽집 하늘파란상상 2
이상교 글, 김원희 그림 / 청어람주니어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36

 


사람은 나면 시골로 보내야
― 오래된 흙벽집
 이상교 글,김원희 그림
 청어람주니어 펴냄,2009.7.7./9000원

 


  어린이와 젊은이가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갑니다. 시골에는 늙은 사람만 남습니다. 도시로 간 어린이와 젊은이는 학교를 다니거나 회사에서 돈을 법니다. 도시에서 학교를 다니는 아이나 푸름이는 흙일을 하지 않습니다. 도시에서 회사를 다니는 어른도 흙을 만질 겨를이 없습니다. 도시 아이와 어른 모두 돈을 내고 곡식과 열매와 푸성귀를 가게에서 사다 먹습니다. 시골에 남은 늙은 사람은 늘 흙을 만지며 일굽니다. 그러나 일손이 모자라거나 힘이 달린 나머지, 농약과 비료를 자꾸자꾸 씁니다. 시골에 젊은 일손이라도 있으면 농약과 비료를 덜 쓸 만하지만, 시골에 남은 젊은 일손이래서 똥오줌 거름을 삭혀서 쓰려는 생각을 키우지 못합니다. 1960∼70년대부터 풀지붕 없애고 흙길 밀며 논도랑을 시멘트로 바꾸는 따위로 시골사람 길들인 탓에, 이제 시골에서 똥오줌 거름 잘 삭혀서 젊은이한테 가르치거나 물려주는 어르신은 매우 드물어요. 소몰이를 가르치거나 물려줄 어르신도 아주 드뭅니다. 시골에서도 돈을 벌어 농기계를 장만해야 하고, 돈을 더 벌어 농기계 움직일 석유값 대어야 합니다.


  갈수록 텅 비는 모습이 되는 시골에는 어린이와 젊은이가 돌아와야 합니다. 흙을 아끼며 사람과 지구를 사랑할 마음 키우고 싶은 어린이와 젊은이가 시골로 돌아와야 합니다. 돈 될 만한 농사짓기를 바라는 사람이 아닌, 스스로 집을 짓고 옷을 지으며 밥을 짓는 즐거움 흐뭇하게 누리면서 아이들한테 물려주거나 가르치고 싶은 어른들이, 바로 시골로 돌아와야 합니다.


  시골은 물이 맑아야 시골입니다. 시골은 바람이 시원해야 시골입니다. 시골은 햇살이 따스해야 시골입니다. 시골은 풀빛이 가득하고 나무가 우거져야 시골입니다. 곧, 시골에서 냇물과 땅밑물 맑게 마실 수 없다면 시골이랄 수 없습니다. 시골에서 시원한 바람 어디에서나 맛나게 마실 수 없다면 시골이랄 수 없어요. 농약 때문에 냇물과 땅밑물을 못 마신다면, 농약 뿌리는 냄새 때문에 창문을 열 수 없다면, 이런 곳은 시골이 될 수 없어요. 풀밭이 없거나 숲이 없을 때에도 시골이랄 수 없지요.


.. 삼촌을 따라 집 구경을 갔던 삼촌 친구 종도 아저씨도 똑같이 말했다고 했다. “삼촌, 왜 하필 그런 집으로 이사했어?” 그런 집 말고도 깨끗하고 살기 좋은 집이 많을 텐데, 싶었다. “벽이 진흙으로 발려 있어 맘에 들었거든.” 꼬라비 삼촌은 생각도 하지 않고 단숨이 대답했다. “흙벽?” … “무슨 새인데, 참새?” 내 머릿속에서 참새 한 마리가 폴짝 날아올랐다. “재현이 넌 새라면 그저 참새밖에 모르지?” ..  (12∼14, 16쪽)


  예부터 어떤 사람들이 얄궂은 말을 퍼뜨렸습니다. 이른바,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말은 나면 제주로 보내라”와 같은 말입니다. 참 엉터리라 할 말입니다만, 오늘날에도 이 말이 널리 뿌리내립니다. 부산이나 대구나 인천처럼 커다란 도시에서조차 이런 도시에 안 남고 서울로 가야 무언가 번듯하게 할 수 있는 듯이 잘못 생각해요. 오직 서울바라기요, 그예 서울바라기입니다.


  서울이 커지면서 시골이 줄어듭니다. 서울이 커지며 서울사람 쓸 공산품과 전기와 물이 모자라다 보니, 시골에 공장을 짓고 댐을 지으며 발전소를 짓습니다. 서울만큼 커지고 싶은 부산이며 대구이며 인천이며 광주이며 대전이며 울산이며, 곳곳에 도시가 자꾸자꾸 커지니, 이런 큰도시와 서울을 이으려는 고속도로를 자꾸자꾸 닦습니다. 고속도로 닦으며 시골마을 무너지고 둘로 쪼개집니다. 발전소 시골에 세워 큰도시로 전기를 보내면서 논밭과 숲에 우람한 송전탑 섭니다. 깨끗한 곡식과 열매와 푸성귀를 바라는 도시사람이지만, 그러니까 유기농이니 무농약이니 친환경이니 하고 바라는 도시사람이지만, 정작 시골마을 깡그리 무너뜨리거나 짓밟습니다.


  고속도로를 내는 도시사람은 시골마을 무너뜨려요. 4대강사업 하나 갖고 시골마을 무너지지 않습니다. 고속도로, 고속철도, 공장, 발전소 따위가 나란히 시골마을 무너뜨립니다. 조금 깨끗하고 조용하다 싶으면 관광지로 만들겠다며 삽질을 해대니 시골마을 망가집니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전남 고흥은 바닷가 어디나 다도해 국립공원에 들 만큼 정갈하며 좋은 삶터였지만, 차츰차츰 바닷가 ‘국립공원 지역’을 슬그머니 풉니다. 이러면서 바닷가에 시멘트로 옹벽을 세우지요. 그저 개발짓이고 그저 삽질입니다.


.. 나는 물고기가 정말 좋다. 딱 한 번 물고기를 손으로 잡아 본 적이 있었다. 작은 송사리였는데 손바닥을 간질이는 것처럼 꼬물거려 얼른 놓아주었다. 그 일은 생각만 해도 절로 웃음이 난다 ..  (26쪽)


  도시에서도 그리 멀지 않던 지난날까지 집은 나무와 흙과 돌로 지었습니다. 도시에서도 그리 멀지 않던 지난날까지 ‘골목동네 작은 집’을 허물면, 나무와 흙과 돌을 새로운 집 지을 적에 다시 쓸 수 있었어요. 이른바 ‘건축폐기물’이 거의 안 나왔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집을 허물면 온통 쓰레기입니다. 시멘트로 짓고 스티로폼과 합판과 석면 따위를 쓰니, 이런 것들은 집을 허물 때에 모두 쓰레기가 됩니다. 어디 갖다 버릴 데가 없는데, 자꾸자꾸 ‘나중에 쓰레기로 버려질 집’을 짓는 한국 사회가 되었어요. 아파트만 걱정거리 아니에요. 시멘트로 짓는 모든 집이 걱정거리예요. 슬레이트지붕만 치운대서 될 일이 아니에요. 시멘트로 지은 모든 집을 걱정해야 해요. 앞으로 이 시멘트 쓰레기를 어찌할 생각일까요.

  생각해 보셔요. 지난날 흙집은 허물어 얼마든지 새로 지을 수 있어요. 흙집 허물어 나온 흙은 땅에 뿌리면 그대로 밭흙 논흙 숲흙 되지요. 아니, 무너진 집을 그대로 두기만 해도 되었어요. 나무와 흙과 돌로 지은 집이 허물어지면, 백 해쯤 지나면 저절로 흙으로 돌아가 깨끗한 새 숲이 이루어져요.


  그러면, 한 가지를 더 생각해야지요. 오늘날 아파트와 빌라를 백 해쯤 그대로 두면 어찌 될까요. 아마 아주 으스스한 곳이 될 테지요. 사람도 풀도 가까이하기 어려운 무시무시한 쓰레기터가 되겠지요. 핵발전소 핵쓰레기가 자연으로 돌아가자면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린다 하는데, 아파트 쓰레기가 자연으로 돌아가자면 얼마나 기나긴 시간이 걸려야 하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 “처음엔 몰랐는데, 이곳에 와서 살다 보니 저절로인 것이 참 많아요. 일부러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돋아나 저절로 열매를 맺고, 지고, 또 봄이면 다시 저절로 돋아나고.” “그렇지요? 네발 달린 동물들도 깃털 달린 새도 하다못해 흙 속을 기어 다니는 벌레들까지도요.” 삼촌이 덧붙여 말했다. “삼촌, 물고기들도.” 윗개울에 가는 걸 미루게 될까 봐, 나도 재빨리 덧붙여 말했다 ..  (101쪽)


  이상교 님 동화책 《오래된 흙벽집》(청어람주니어,2009)을 읽습니다. 동화책에서는 ‘흙벽집’이라 말하지만, 옛날 집은 벽만 흙이 아니에요. 방바닥과 지붕도 흙입니다. 서까래에 흙을 잔뜩 올리고, 방바닥도 흙을 잔뜩 깔아요. 그래서 ‘흙벽집’이 아닌 ‘흙집’입니다. “오래된 흙집”이라 해야 올바릅니다.


  이 흙집은 마당도 흙이지요. 예전에는 울타리도 흙으로 쌓기도 했다고 해요. 바닷가나 섬처럼 바람이 많은 데에서는 돌로 쌓지만, 여느 시골마을에서는 울타리 아예 없거나 흙으로 쌓곤 했습니다. 때로는 탱자나무나 찔레나무가 울타리 구실을 해요.


  《오래된 흙벽집》 99쪽을 보면 ‘개밥별’이라는 풀을 얘기하며, 이 풀이 ‘환상덩굴’이라고 적는데, ‘환삼덩굴’을 잘못 적었습니다. 글쓴이도 잘못 적고, 편집부 일꾼도 풀이름을 잘 모른 탓에 그대로 책에 찍혀 나왔구나 싶습니다. 그나저나, 환삼덩굴을 가리켜 ‘개밥별’이라고도 하는군요. 이 동화책은 경기도 가평을 바탕으로 썼다고 하는데, 경기도 가평 시골말로는 ‘개밥별’ 풀이라고 일컬을까요?


.. 꽃이며 나뭇잎이 흔들리는 것이 모두 드르렁 푸우 드르렁 푸우 숨을 쉬는 것처럼 보였다. “쉿! 너도 곧 알게 될 거야. 사람의 숨, 나무, 꽃, 새, 풀, 물고기, 흙 같은 것들의 숨은 모두, 서로서로 바꿔 쉬는 거래.” 발명가 아저씨가 그물을 주면서 했던 말이 떠올랐다 ..  (126쪽)


  동화책을 덮으며 가만히 생각합니다. 우리 네 식구 살아가는 집은 시골 흙집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이 집에서 신나게 뛰고 달리며 구릅니다. 마당에서도 뛰놀고 고샅에서도 뛰놉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은 거리낌없이 노래를 하고 춤을 춥니다. 아래층 위층 소음공해 피해를 걱정하지 않습니다. 조용히 쉴 적에는 바람소리를 듣고 풀벌레소리와 개구리소리를 듣지요. 비가 오면 빗소리를 듣습니다. 전남 고흥 시골은 눈이 거의 안 오니 눈소리 듣기는 어렵지만 한 해에 한두 차례쯤은 눈소리를 들어요.

  어른한테나 아이한테나 어떤 집이 사랑스럽거나 즐거울까요. 부동산이 되는 집이 사랑스럽거나 즐거울까요. 아이들이 기쁘게 뛰놀며 어른들은 느긋하게 쉬며 새 기운 차려 하루일 힘차게 여는 집이 사랑스럽거나 즐거울까요.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는 집에서 이 나라 사람들 누구나 활짝 웃으면서 살아갈 수 있기를 빌어요. 사람은 사람답고 풀과 나무는 풀과 나무다우며, 새와 짐승은 새와 짐승답게 이녁 삶 빛낼 수 있기를 빌어요. 우리는 모두 지구별 따사로운 이웃이에요. 4346.7.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아이 30. 2013.7.14.

 


  누나는 이모하고 놀고, 작은아이는 아버지와 책방마실을 한다. 누나 없이 아버지하고만 마실하는 작은아이는 누나 꽁무니를 좇지 않는다. 누나가 없으니까. 누나 없으면 못 놀까 싶더니, 누나 없어도 다른 사람들 꽁무니를 좇으며 뒷짐지기 흉내를 내고, 이 책 저 책 만지작거리며 논다. 아버지가 건넨 꽃순이 그림책을 혼자 펼쳐서 넘긴다. 노랫가락 살포시 흐르는 헌책방에서 아이는 거리낌없이 뛰고 달린다. 아이 발걸음 콩콩콩 소리는 가볍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3-07-16 21:55   좋아요 0 | URL
책아이와 놀고 싶네요.
함께 그림책을 읽으면 책아이도 좋아하겠지요?^^
책아이가 무척 부럽습니다~!!
귀엽기도 하고요.^^

숲노래 2013-07-17 00:03   좋아요 0 | URL
이 아이들은 무엇으로도 신나게 잘 놀아요.
꽃아이 되고 바다아이 되고 흙아이 되고
그때그때 놀이가 달라지면서 노니,
그림책뿐 아니라 온갖 놀이와 함께
웃고 떠들 수 있습니다~~
 

[시로 읽는 책 37] 글과 그림과 노래

 


  밥 한 그릇에 담는 꿈,
  웃음 한 자락에 싣는 빛,
  글 한 줄에 적는 사랑.

 


  글도 그림도 사진도 노래도 춤도 모두 같아요. 글로 쓸 줄 안다면 그림으로 그릴 줄 알고, 노래로도 부르고 춤으로도 추어서 보여줄 수 있어요. 웃음을 보여주고 눈물을 드러내요. 꿈을 나누고, 사랑을 펼쳐요. 밥을 짓는 손길은 아름답지요. 옷을 짓는 손길도, 집을 짓는 손길도 아름답습니다. 아이를 품에 안고 노래하는 목소리도 곱고, 들판에서 개구리가 노래하는 목청도 곱습니다. 구름이 파랗게 빛나는 하늘을 달리며 바람을 베풀어요. 제비가 휘익 빨랫줄 사이로 날면서 바람을 갈라요. 잘 써야 하는 글이 아니라, 마음을 담으면 되는 글이에요. 맛나게 지어야 하는 밥이 아니라, 사랑으로 지어야 하는 밥이에요. 훌륭하게 떨쳐야 하는 이름이 아니라, 반가운 동무와 이웃하고 즐겁게 어우러지는 이름이에요. 모두 같은 숨결이요, 서로서로 예쁜 삶빛입니다. 4346.7.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양이가 걷는 길이란 고양이가 살아가는 길이다. 고양이가 살아가는 길이란 고양이로서 이녁 숨결을 살리는 길이 될 테지. 고양이는 어떤 곳에서 살아갈까. 고양이는 어떤 자리에서 잠을 잘까. 고양이는 언제 웃고 울며, 언제 즐겁게 뛰놀까. 들과 길과 골목과 숲에서 살아가는 고양이는 사람이 들과 길과 골목과 숲을 어떻게 건사할 적에 이녁 보금자리를 곱게 누릴 수 있을까. 그러니까, 사람은 어떻게 살아갈 때에 아름다운 숨결 되어, 사람도 고양이도 풀과 나무도, 다른 목숨들도 서로 즐겁게 하루하루 누리는 빛이 될 만할까.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ねこ步き (單行本(ソフトカバ-))
이와고 미츠아키 / クレヴィス / 2013년 5월
18,860원 → 17,530원(7%할인) / 마일리지 530원(3% 적립)
*지금 주문하면 "7월 8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3년 07월 16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헌책방에서 새롭게 읽는 책

 


  이오덕 님이 엮어서 내놓은 《일하는 아이들》(청년사)을 헌책방에서 새삼스레 본다. 1978년에 처음 나온 이 책은 이 나라 교육과 문학을 뒤집는 노릇을 했다고들 말한다. 그만큼 이 나라 교육과 문학은 아이들을 ‘동심천사주의’ 그물에 옭아매어 입시문제로 들볶느라, 삶도 꿈도 놀이도 빛도 사랑도 가르치거나 보여주지 않았다는 뜻이다.


  멧골마을 아이들 삶이 드러나는 글을 모아서 엮은 《일하는 아이들》이라는 책을 읽으면, 아주 마땅히, 책이름 그대로 “일하는 아이들”이 나온다. 그런데, 일하는 아이들만 나오지 않는다. 일하는 아이들이란 “놀이하는 아이들”이다. 아이들 놀이가 수없이 나온다. 또 “사랑하는 아이들”이다. 동무를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살붙이를 사랑한다. 꽃을 사랑하고 나무를 사랑하며 숲을 사랑한다.


  그러면 왜 책이름이 “일하는 아이들”이었을까? 스스로 삶을 밝히면서 가꾸는 일이 무엇이요 사랑이 어떠한가를 깨닫지 못할 적에는 도시문명사회에서 돈벌이로만 치닫는 생체기계인 노예가 되고 만다. 그러니,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삶다운 삶을 찾는 첫길로 “일다운 일”을 찾는 “일하는 아이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서울 신촌에 있는 헌책방에서 《일하는 아이들》 예전 판을 본다. 이 책은 무척 많이 팔렸다고 하는데, 나중에 출판사에서 판매부수를 속이고 인세지급을 안 하며 책을 새로 찍고도 ‘중판’이라 적거나 ‘판수 줄이기’ 장난을 쳤다고 한다. 이를테면, 8쇄를 찍었으면서 간기에 ‘7쇄’라 찍어서 출고를 하는 모양새로. 이런 이야기를 이오덕 님 둘레에서 다른 사람들이 알려주어서(권정생 님도 여러 차례 알려주었다고 한다), 이오덕 님은 청년사 대표한테 편지를 띄웠고, 청년사 대표가 흐리멍덩하게 말을 흐리자, 안 되겠구나 싶어 내용증명을 보내 절판시키라 했다. 그러나 곧바로 절판시키지 않고 한두 해쯤 몰래 더 찍어서 팔았다고 한다.


  엊그제 헌책방에서 만난 《일하는 아이들》은 1쇄를 찍은 뒤 이레만에 2쇄를 찍은 판이다. 3쇄는 얼마만에 찍었을까. 모두 몇 권이나 찍었을까.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어떤 마음밥 얻었을까. 2002년에 새옷 입고 다시 나온 책도 있는데, 헌책방에서 예전 판으로 만나 다시 읽으면 새로운 느낌을 얻는다. 1970년대 끝무렵 아직 군사독재정권 서슬이 시퍼렇던 그때, 이런 책 내놓았다고 문교부와 지방교육청 장학사한테 들볶이고 시달리던 이오덕 님 삶을 돌아본다. 총칼로 사람들 억누르던 군사독재정권이 이 땅 아이들을 어떻게 입시노예 도시노예로 길들이려 했던가 하는 이야기를 헤아린다. 1970년대에 어린이였던 사람은 오늘날 어떤 어른이 되어 이녁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돌볼까 궁금하다.


  오늘날 어른은 “일하는 어른들”일까, 아니면 “돈버는 어른들”일까. 오늘날 아이들은 “놀이하는 아이들”이라 할 수 있을까. 오늘날 아이들 가운데 “꿈꾸는 아이들”이나 “사랑하는 아이들”은 얼마나 있을까. 삶을 아끼고 동무를 보살피며 이웃과 어깨를 겯는 착하고 참다운 “일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어떻게 삶을 지을까. 4346.7.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3-07-16 17:03   좋아요 0 | URL
저도 시간나면 헌책방 찾아가야겠어요.^^
나중에 알라딘 중고서점에 한번 더 가 보고요.ㅎㅎ

숲노래 2013-07-16 17:41   좋아요 0 | URL
대구에 있는 <대륙서점>도, 또 부산에 있는 보수동 헌책방골목도,
또 알라딘책방도 모두 즐겁게
책마실 하시면서
두 손에 고운 책빛 담아 보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