툇마루 만찬
카와치 하루카 지음 / 삼양출판사(만화)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 즐겨읽기 255

 


시원하게 함께 먹는 밥
― 툇마루 만찬
 카와치 하루카 글·그림,김유리 옮김
 삼양출판사 펴냄,2012.3.3./6500원

 


  대청마루를 치웁니다. 여러 날에 걸쳐 천천히 치웁니다. 비가 후줄근하게 내리고 나서 여러 날 땡볕 내리쬐니 겨울옷 마당에 잔뜩 내놓아 말리면서 천천히 대청마루를 치웁니다.


  우리 집 대청마루는 그리 넓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그닥 좁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뛰놀기에 알맞고, 아이 하나 옆에 누여 낮잠을 재우기에 걸맞습니다. 모기그물 치고 대청마루에 앉거나 누우면 여름바람 쏴아 하고 들어옵니다. 처마는 햇볕을 막고, 흙과 나무로 이루어진 지붕은 햇살을 막습니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는 없지만 여름날 부채로 땀을 식힙니다.


  봄과 가을에 아이들은 거의 마당에서 삽니다. 봄가을에는 마당이 아이들 놀이터입니다. 겨울에는 추워서 마당에서 조금 놀다 집으로 들어오고, 여름에는 더워서 마당에서 살짝 놀다 집으로 들어옵니다. 처마와 마루란 더위를 긋고 추위를 가리는 좋은 자리로구나 하고 새삼스레 깨닫습니다.


- “음, 제법 맛있는데?” (13쪽)
- “이거, 할머니가 처음으로 가르쳐 주신 과자였잖아. 튀기는 족족 네가 옆에서 집어먹어서 혼날 줄 알았더니, 어째선지 할머니는 널 칭찬하셨지.” “그랬나?” (19쪽)

 


  우리 식구 지내는 시골집은 크기가 조금 작아, 대청마루는 있으나 툇마루는 없습니다. 제법 큰 시골집은 대청마루 길고 넓게 펼치지는 한편, 툇마루도 꽤 크게 뒷밭 앞에 있습니다. 대청마루에서는 마당과 앞논과 마을과 앞메 넓게 내다봅니다. 툇마루에서는 뒷밭과 뒷메를 시원스레 바라보아요.


  일본 만화책 《툇마루 만찬》(삼양출판사,2012)을 보면, 툇마루에서 밥잔치 벌이는 일은 드뭅니다. 그러나, 좋은 날 좋은 사람과 어울려 좋은 밥 차려서 함께 나누면, 으레 ‘툇마루 밥잔치’ 이루어집니다.


  돌이켜보면, 우리 겨레도 먼먼 옛날부터 마당잔치 이루어졌어요. 대청마루에서도, 마당에서도, 고샅에서도, 마을 정자나무 그늘에서도, 저마다 아리땁고 즐거운 밥잔치 이루어졌습니다.


  돼지를 잡거나 소를 잡아야만 밥잔치가 아닙니다. 사랑을 담아 밥 한 그릇 지어 이웃과 두루 나누면 즐거운 밥잔치입니다. 즐겁게 차려서 즐겁게 나누는 밥잔치예요. 함께 장만해서 함께 누리는 밥잔치입니다.


- ‘할머니 집에 온 아침이면, 부엌에서 들리는 소리에 잠이 깬다.’ (47쪽)
- ‘아침이나 밤이나 마찬가지로 비는 늘 평등하다. 소리 없이 고르게 모두의 머리 위로 내리는 비.’ (59쪽)

 

 


  우리 집 여섯 살 세 살 아이는 아버지 집일을 거의 거들지 못합니다. 멀거니 구경합니다. 그렇다고 아이들더러 이것 하라 저것 하라 시킬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저희 스스로 할 만하다 싶은 일이면 스스럼없이 먼저 나서서 돕습니다. 아이들은 저희 스스로 할 만하지 않구나 싶은 일이면 곁에서 까르르 웃음꽃 피우면서 재미나게 놉니다.


  그러니까, 아이들은 놀면서 어른을 도와요. 논일에서도 그러잖아요. 모내기 잘 하라면서 꽹과리 치고 북 치면서 노래를 불러 주지요. 아이들은 어른 곁에서 사랑스럽고 살갑게 노래를 부르고 웃습니다. 아이들은 환하게 짓는 웃음빛으로 어른들한테 새 숨결 불어넣습니다. 아이들은 큰 짐이나 무거운 짐 나르지 못하지만, 맑으면서 밝게 짓는 웃음과 목소리와 몸짓으로 어른들 스스로 새 기운 샘솟도록 이끕니다.


- “키이치 오빠를 보면요, 세상엔 이런저런 사람이 있구나 싶어요. 이런저런 사람들이 각자 자기에게 맞는 일을 찾아서 살아가면 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할까.” (127쪽)


  비싸게 치르는 밥을 먹어야 즐겁지 않아요. 으리으리한 곳에 가서 먹어야 고맙지 않아요. 웃으면서 먹는 밥이 맛있습니다. 도란도란 이야기꽃 피우며 즐기는 밥이 고맙습니다. 느긋하게 먹고, 기쁘게 함께 먹는 밥이 맛있어요. 알콩달콩 어우러지면서 함께 즐기는 밥일 때에 반갑고 아름답습니다.


  대청마루에서 수박 한 조각 나누든, 툇마루에서 수박 반 조각 나누든 즐겁습니다. 대청마루에서 낮잠 한 숨 자도 즐겁고, 툇마루에서 매미와 풀벌레 노랫소리 들어도 즐겁습니다. 대청마루에서 파랗게 눈부신 하늘 올려다보아도 즐겁고, 툇마루에서 감알 영그는 마아갈 빛을 바라보아도 즐겁습니다.


  마음이 즐거우니 삶이 즐겁습니다. 마음이 따사로우니 삶이 따사롭습니다. 마음을 가꾸면서 삶을 가꾸어요. 마음을 아끼면서 삶을 아낍니다.


  어머니 아버지가 아이한테 차려 주는 밥은 영양소가 아닙니다. 할머니 할아버지가 아이한테 내주는 먹을거리는 영양성분이 아닙니다. 어머니 아버지는 아이한테 사랑을 주어요. 할머니 할아버지는 아이한테 꿈을 주어요.


- ‘각자의 마음을 담은 이 자유로운 식탁을 언젠가 떠올릴 날이 올까. 그때 우리들은 어디에서 무얼 하고 있을까.’ (154쪽)


  여름날 시원한 바람 함께 쐬기를 빌어요. 시원한 바람을 함께 쐬면서, 여름날 풀바람 나무바람 바닷바람 숲바람 얼마나 싱그러운지 함께 느껴요. 여름날 후끈후끈 달아오르는 땡볕을 함께 쬐기를 빌어요. 후끈후끈 땡볕과 불볕 함께 쬐면서, 이 햇볕을 먹는 우리들 튼튼하게 자라고 씩씩하게 살아갈 기운 함께 얻어요.


  함께 살아가는 지구별이에요. 서로 돕고 아끼는 보금자리예요. 함께 사랑하며 꿈꾸는 지구별이에요. 서로 어깨동무하고 노래하는 마을이에요.


  귀를 기울여요. 멧새와 들새 노랫소리에 귀를 기울여요. 마음을 열어요. 풀잎과 나뭇잎을 스치는 바람에 어떤 내음 실리는가 마음을 열어 살펴요. 생각을 틔워요. 서로서로 아름답게 살아갈 길을 저마다 어떻게 일구면 즐거울까 하는 생각을 즐겁게 틔워요. 함께 먹는 밥이기에 맛나고, 함께 나누는 밥이기에 살아가는 보람을 느껴요. 4346.7.1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만화책 즐겨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과학기술을 뽐내며 전쟁무기를 만들어야 할까? 왜 과학자는 더 빠른 전투기와 더 무서운 폭격기를 만들어야 할까? 왜 중앙정부는 군부대 키우는 데에 어마어마하게 많은 돈을 퍼부으면서, 사람들 삶 북돋우는 데에는 모르는 척할까? 아주 마땅한 일인데, 전투기 한 대 안 만들면 이 나라 아이들 초·중·고·대학교 배움삯은 모두 거저가 될 수 있다. 구축함 한 대 안 만들면 이 나라 어른들 비정규직 사슬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다. 헬리콥터 한 대 안 만들면 시골 할매와 할배 농약 안 뿌리고 똥오줌 거름 마련해 뿌릴 젊은 일꾼 얻을 수 있다. 군대를 몽땅 없애면 남북녘 한겨레로 똘똘 뭉쳐 아름다운 나라 될 수 있다. 그러나, 정치도 과학기술도 ‘적군’을 자꾸 만든다. 적군을 자꾸 만들어 싸우게 이끈다. 사람을 살리는 정치나 과학기술이나 군대란 없다. 그러고 보니, 만화책 《강철의 연금술사》가 여러모로 재미없다. 자꾸 싸우며, 자꾸 겉치레에 끄달린다. 동생이 갑옷을 입은들 어떤가. 마음으로 서로 아끼면 넉넉하지. 이녁 보금자리 아낄 줄 알면서, 이녁 삶 북돋울 줄 알 때에 비로소 사랑이면서 꿈이 이루어진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강철의 연금술사 완전판 2
아라카와 히로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2년 8월
9,500원 → 8,550원(10%할인) / 마일리지 470원(5% 적립)
양탄자배송
7월 1일 (월)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3년 07월 18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화책을 읽는다. 내가 읽는 만화책은 옆지기도 읽고, 나중에 아이들이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이들은 한 번 본 만화책을 열 번 백 번 천 번 되풀이해서 다시 본다. 나도 어릴 적에 ‘더 많은 만화’보다는 ‘재미있는 만화’를 자꾸자꾸 보았다. 며칠 앞서 카와치 하루카라는 일본사람 만화책 《툇마루 만찬》을 읽다가 ‘이 사람 만화결 되게 엉성하네.’ 하고 느낀다. 그림결은 엉성하지만 이야기는 수수하게 펼친다. 어쩌면 연속극에 나올 법한 이야기랄 수 있지만, 연속극에서 굳이 다루지 않을 만큼 아주 수수한 이야기일 수 있고, 우리 둘레에서 흔히 느끼거나 보는 조그마한 이야기일 수 있다. 그러니까, 그림을 잘 그리거나 못 그리거나 대수롭지 않다. 할 말을 해야 글이고 그림이고 만화이고 사진이고 이루어진다. 할 말이 없이 겉모습만 번듯하면 참 재미없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는 그림결도 아주 훌륭하다 싶은 작품이면서 이야기도 놀라운데, 언제나 첫째는 이야기, 둘째는 그림이다. 아니, 그림은 못 그려도 된다. 아니, 그림은 그리는 사람 마음껏 즐겁게 그리면 된다. 《여름눈 랑데부》 줄거리는 모르겠지만, 문득 궁금하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여름눈 랑데부 1
카와치 하루카 지음 / 삼양출판사(만화) / 2012년 8월
6,500원 → 5,850원(10%할인) / 마일리지 320원(5% 적립)
양탄자배송
7월 1일 (월)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3년 07월 18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빨래터놀이 5

 


  빨래터에 낀 물이끼를 밀솔로 박박 문질로 벗긴다. 작은아이는 처음에 바가지를 들다가 곧 밀솔로 바꾸고, 큰아이는 처음에 밀솔을 들다가 곧 바가지로 바꾼다. 빨래터에서 청소를 여러 차례 하다 보니, 이제 제법 모양이 나온다. 너희들 몇 살 더 먹으면 이제 너희끼리 빨래터 청소도 씩씩하게 할 수 있겠네. 4346.7.1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놀이하는 아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3-07-18 15:45   좋아요 0 | URL
아유... 귀엽고 아주 시원하게 놉니다.^^
부럽기도 하고요.
사진을 보고 있으니 저도 물놀이 가고 싶어집니다.ㅎㅎ

숲노래 2013-07-18 17:18   좋아요 0 | URL
더운 여름에
사진으로나마
이웃들이
시원한 여름이네 하고 느끼시면서
마음을 따사로이 적실 수 있기를 바라며
이런 사진을 올려요.

틈 내어 물놀이 다니시고
물놀이 다니시기 힘들면
마음속으로 시원한 헤엄 즐겁게 누리셔요 ~ ^^
 
잃어버린 구슬 콩깍지 문고 6
이태수 그림, 현덕 글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287

 


애틋하게 그리면서 크는 마음
― 잃어버린 구슬
 현덕 글,이태수 그림
 아이세움 펴냄,2003.2.20./7500원

 


  어제 아침에 아이들과 마을 빨래터에 가는 길에 물쏘개를 챙기려 하는데, 작은아이 것만 보이고 큰아이 것은 안 보입니다. 한참 찾다가 그냥 마을 빨래터로 갑니다. 마을 빨래터에 닿으니 큰아이가 왜 제 것은 안 가져왔느냐 묻습니다. 그래, 네 것은 도무지 네가 놀고 어디에 놓았는지 안 보여 못 찾았다 말합니다. 큰아이는 마을 빨래터부터 집까지 혼자 다녀오겠노라 말하며 씩씩하게 달려갑니다.


.. 노마는 구슬을 찾아 큰길 우물 앞으로 갑니다 ..  (5쪽)


  전남 고흥 도화면 동백마을 우리 집 마당에서는 마을 큰길 앞에 있는 옛 흥양초등학교 건물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코앞에 있습니다. 문을 닫은 흥양초등학교 건물에는 우리 책을 놓아 ‘서재도서관’으로 삼습니다. 걸어서 천천히 가도 3분이면 넉넉하고, 아이들이랑 놀면서 가면 5분이면 너끈합니다. 때로는 학교를 빙 돌아 논둑길과 꽃밭길 사이로 걷곤 합니다. 이러면 10분쯤 걸려요.


  우리 식구 살아가는 동백마을과 이웃 신기마을 지정마을 원산마을 호덕마을, 이렇게 다섯 마을에서 이 학교에 아이들 보냈겠지요. 어느 마을에서건 학교가 빤히 바라보였을 테며, 집안에서든 밭에서든 논에서든 아버지 어머니 들은 일하면서 이녁 아이 웃음소리 들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지난날 이 학교 왁자지껄했을 적에는, 국민학교 1학년 어린이도 집부터 학교까지 씩씩하게 걸어다녔으리라 생각합니다. 고갯길 넘거나 냇물 가로지르는 길처럼 먼길도 아니니 수월하게 다녔을 테고, 낮에 학교에서 낮밥 먹는다 하더라도 으레 집까지 달려와서 허둥지둥 밥술 퍼넣은 뒤, 다시 학교로 달려가서 운동장에서 개구지게 놀았으리라 생각해요.


  마을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마을에서 함께 배우고, 마을에서 함께 자라며, 마을에서 서로서로 이웃과 동무 되어 마을을 돌봅니다. 백 해 이백 해 오백 해 천 해 이렇게 조그맣게 마을살이 이루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스스로 삶을 지어요. 스스로 놀이를 빛내요. 스스로 일을 즐겨요. 마음속에서 사랑을 길어올립니다. 마음자리에서 꿈을 피웁니다. 대통령이 되거나 뭐가 되어야 꿈이 아닙니다. 운동선수나 연예인 같은 자리란 ‘돈벌이 직업’입니다. 꿈이 아닙니다. 꿈이란, 앞으로 얼마나 아름답게 사랑을 하면서 이야기꽃 피우는 삶 누리고 싶은가 할 때에 꿈입니다.

 

 

 


.. 노마는 살살 집 뒤 버드나무 밑으로 갑니다 ..  (17쪽)


  현덕 님 글에 이태수 님이 그림을 붙인 그림책 《잃어버린 구슬》(아이세움,2003)을 읽습니다. 지난날 어디나 시골이고, 지난날 어디나 흙길이며, 지난날 어디나 아이들이 걱정없이 돌아다니면서 놀고 부대끼고 어울리고 뛰놀던 모습을 살가이 보여주는 그림책입니다.


  그림책 아이는 구슬 하나 잃어 그만 슬프고 서운합니다. 구슬 하나 때문에 아무것 못합니다. 구슬 하나 찾으려고 온 애를 씁니다. 그렇지만 잃은 구슬은 나오지 않고, 마음속 근심은 자꾸자꾸 불거집니다.


  기쁨도 자라지만 슬픔도 자라요. 즐거움도 자라고 아쉬움도 자라요. 그렇다면, 꿈과 사랑도 자라는 한편, 미움이나 짜증도 자랄 수 있겠지요.


  아이들은 구슬이 없어도 잘 놉니다. 나뭇잎으로도 놀고, 돌멩이로도 놀며, 나뭇가지로도 놀아요. 맨손으로 달리기나 뜀뛰기를 하면서 놀아요. 고무줄이나 줄넘기를 안 하더라도 얼마든지 놀아요. 딱지를 치거나 제기를 차야 하지 않아요. 맨몸으로 씨름을 해도 되고, 닭싸움을 해도 되지요. 냇가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숲속에 깃들어 숨바꼭질 할 수 있어요.


  구슬을 잃어 아쉬운 마음이라면, 내 것처럼 네 것이 얼마나 소담스러운가 헤아릴 수 있을까요. 내 구슬 잃어 서운한 마음이라면, 내 동무가 무엇 잃었을 적에 함께 눈을 밝히며 찾아 줄 수 있을까요.


  애틋하게 그리면서 크는 마음입니다. 아쉬움도 크고, 사랑도 큽니다. 서운함도 크며, 꿈도 커요. 아이들 마음에 어떤 빛이 깃들며 새록새록 자라고 무럭무럭 클 때에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4346.7.1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