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동생이 생겼어요 - 아기고양이 그림책
오노 요코 글, 이모토 요코 그림, 송해정 옮김 / 지경사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339

 


큰아이는 동생을 미워해야 하나?
― 나도 동생이 생겼어요
오노 요코 글
이모토 요코 그림
지경사 펴냄, 1998.8.30.

 

 

오노 요코 님 글과 이모토 요코 님 그림이 어우러진 《나도 동생이 생겼어요》(지경사,1998)는 그림이 무척 곱습니다. 그림만 보자면 보드라우면서 따사롭구나 싶습니다. 그런데, 이 그림책에 나온 글을 아이한테 읽어 주자니 여러 대목에서 걸립니다. 동생 다섯이 한꺼번에 생긴 ‘형 고양이’가 ‘동생 고양이’를 ‘몰래 내다 버리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나오거든요. 동생 때문에 어머니한테서 사랑을 못 받는다고 여겨, 어디에든 버리려 하고, 숲에서 늑대한테 먹이로 주려 하며, 냇물에 풍덩풍덩 빠지기를 바라기까지 합니다. 마지막에는 동생들끼리 놀게 하고는 냅다 꽁무니를 빼기까지 해요.

 


이렇게 하다가 형 고양이는 마음이 몹시 무거워 다시 동생 고양이한테 돌아가지만, 마지막에 동생 고양이들과 손을 맞잡고 집으로 돌아가기까지, 온통 동생 고양이를 미워하고 시샘하며 몰래 따돌리거나 괴롭히려 하는 이야기만 그득합니다.


형 고양이가 동생들 ‘때문에’ 여러모로 아쉽거나 서운하거나 싫은 마음이 들는지 모릅니다. 형 고양이 마음을 잘 드러낸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구태여 동생 고양이들을 ‘내다 버리고 싶다’는 이야기를 해야 할는지, 더군다나 자꾸자꾸 되풀이해서 이야기해야 할는지 아리송합니다.


.. “엄마, 나도 안아 줘.” “응석꾸러기 까로야, 이제는 형이 되었으니 어리광은 그만 부려야지.” .. (5쪽)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동생이 생기면서 형이나 누나나 언니나 오빠 되는 아이가 서운해 하거나 섭섭해 하거나 아쉬워 하는 마음을 잘 담아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여느 집안에서는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삶이 다르고, 사랑이 다르며, 빛이 다릅니다. 다 다른 만큼 다 다른 이야기가 감돌 만하니, 이렇게 동생을 미워하다가 나중에 이르러 무언가 깨닫는 얼거리로 그림책을 빚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형이나 누나나 언니나 오빠 되는 아이는 참말 동생을 서운해 하거나 섭섭해 할까요. 사랑을 빼앗긴다고 생각할까요. 어머니한테서 제대로 사랑을 못 받는다고 여길까요. 어머니는 동생을 낳으면 형이나 누나나 언니나 오빠 되는 아이를 안 사랑하거나 덜 사랑할까요.


.. “까로야, 동생들 데리고 산책 좀 하고 오지 않을래?” 엄마가 까로에게 부탁했어요. 동생들은 까로의 뒤를 아장아장 따라왔어요 .. (9쪽)


동생이 태어나면 어머니는 큰아이뿐 아니라 작은아이를 안아야 하니, 두 아이를 안느라, 예전에 한 아이만 안던 삶과는 다릅니다. 숫자로 치면, 큰아이는 사랑을 덜 받거나 못 받는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두 번 안거나 두 시간 안아야 더 깊거나 큰 사랑인가요? 한 번 안거나 한 시간 안으면 더 얕거나 작은 사랑인가요?


큰아이한테 동생이 생기면 어머니는 두 아이를 골고루 안습니다. 동생은 처음에는 아주 갓난쟁이인 만큼 제대로 서지도 걷지도 못합니다. 천천히 자라면서 천천히 서고 천천히 걷습니다. 이러다가 큰아이처럼 걷고 달릴 수 있습니다. 이동안 어머니는 동생한테 조금 더 마음을 쓰기 마련인데, 어머니가 큰아이 안아 주는 시간이나 횟수가 줄어든다 하더라도, 동생이 형이나 누나나 언니나 오빠를 안는 시간이나 횟수가 늘어납니다. 아이들은 서로서로 안고 돌보며 아낍니다.

 

 

 

 

 

 

 

.. “자, 형을 꼭 잡아.” 까로는 동생들을 잘 붙잡아 주었어요. ‘동생들이 강물에 빠지면 숨도 못 쉴 거야…….” .. (21쪽)


아이들도 모두 알아요. 어머니는 동생을 안으면서 큰아이를 안는 느낌과 마음을 새롭게 깨닫습니다. 큰아이도 동생을 안거나 돌보면서 어머니가 그동안 저(큰아이)를 안던 느낌과 마음을 새삼스럽게 깨닫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 그림책에 빠진 대목을 알 만합니다. 이 그림책 첫머리에 ‘형 고양이’가 ‘동생 고양이’를 안거나 돌보는 이야기가 하나도 안 나옵니다. 절반 넘게 흐르고서야 비로소 냇물을 건너며 형 고양이가 동생 고양이를 안아요.


큰아이가 느낄 서운함을 보여주려고 잇달아 ‘미워하는 모습’을 그릴 수 있습니다만, 이런 모습을 그린다 하더라도, 큰아이가 그동안 어머니한테서 얼마나 깊고 크며 넓고 따사롭게 사랑을 받았는가를 돌아볼 만한 이야기와 그림이 깃들어야 했다고 생각해요. 무턱대고 동생들을 미워하거나 못살게 굴려는 마음만 보여주면, 이 그림책을 읽히기 몹시 힘듭니다. 이 그림책을 아이들과 함께 보기에도 매우 힘듭니다. 우리 집 큰아이는 아직 혼자서 모든 글을 다 읽어내지 못해, 이 그림책을 함께 읽을 적에는 책에 적힌 글을 다 안 읽습니다. 훌렁훌렁 건너뛰거나 바꿔서 읽어 줍니다. 책에 나온 이야기라고만 여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책에 나온 이야기를 아이가 듣고 읽으면, 큰아이가 저도 모르게 ‘동생을 이렇게 버릴 수도 있네’ 하고 생각하고야 말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읽거나 볼 책을 빚는 어른은 아주 깊이 살필 줄 알아야 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읽거나 볼 책을 빚을 어른은 두 번 세 번 자꾸자꾸 헤아리면서 돌아볼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모두 보고 배웁니다. 아이들은 모두 받아들이고 받아먹습니다. 아이들이 보고 배울 사랑을 더욱 따사롭게 그림책에 담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이 받아먹을 꿈과 믿음과 노래를 한결 맑고 환하게 그림책에 싣기를 빕니다. 4347.1.30.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빛을 읽는 마음

 

 


  내가 아버지 아닌 어머니일 적에는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바라볼는지 궁금합니다. 성평등이라는 낱말이 아직 떠도는 만큼, 이 나라와 사회에는 성평등이 없다고 느낍니다. 민주라든지 평화라는 낱말도 아직 떠도니까, 이 나라와 사회에는 민주와 평화 또한 없구나 싶어요. 사랑이 있는 곳에서는 어느 누구도 ‘사랑’이라는 낱말을 들추지 않아요. 꿈이 넘실거리는 데에서는 어느 누구도 ‘꿈’이라는 낱말을 애써 꺼내지 않아요. 모두 사랑이고 꿈이니, 이런 낱말이 없어도 사랑스럽게 꿈꿉니다.

 

아버지로서 언제나 두 아이를 데리고 움직입니다. 아주 드물게 곁님이 함께 움직이지만, 곁님은 시골집에서 군내버스를 타고 읍내까지 20분을 달릴 적에도 멀미를 하고, 멀미에서 깨어나자면 두 시간쯤 걸립니다. 그러니, 설이나 한가위 같은 때에도 이녁 어머니와 아버지와 동생 만나러 마실을 못하기 일쑤예요. 그동안 억지로 아픈 몸 움직여 마실길 나섰지만, 길을 떠날 적과 시골집으로 돌아올 적에 몹시 힘든 나머지, 지난해와 올해에는 설과 한가위에 혼자 시골집을 지킵니다.


 

  아픈 사람일 때에 아픈 이웃을 알 수 있을까요. 아프지 않은 사람으로 살아가면 아픈 이웃을 알 수 없을까요. 내 이웃과 동무 가운데 우리 곁님이 ‘아프’고 ‘힘든’ 몸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주는 분이 얼마 없습니다. 이웃이나 동무가 아니라면 더더욱 제대로 헤아리지 못합니다. 몸이 아프다는 이웃이나 동무조차 찬찬히 살펴 주지 못합니다. 아버지로서 두 아이를 데리고 돌아다닐 적마다 사람들 눈빛을 읽습니다. 사람들 눈빛이 매우 거북합니다. 서로서로 거북합니다. 그러나, 굳이 거북하게 느낄 일은 없어요. 그분들은 그분들대로 ‘왜 어머니 아닌 아버지가 아이들 데리고 걸어서 돌아다니느냐’ 하고 여길 뿐이니까요.


 

  아이들 재우고 나서 비로소 한숨을 돌리고 허리를 펴는 깊은 밤에 고요히 생각에 젖습니다. 아이들 데리고 다니는 일이 힘들면 얼마나 힘들까요. 너무 힘들어 여느 아버지는 이렇게 살아갈 수 없는 셈일까요. 기운은 사내가 더 세다고들 하면서, 막상 기운 센 사내는 아이 둘조차 데리고 다니지 못할 만큼 바보스러운 셈일까요. 주먹힘은 사내가 훨씬 세다 하지만, 아이들 아끼고 사랑하는 넋과 숨결과 손길과 눈빛은 아무것도 없는 사내들인 셈일까요.


 

  시외버스에서 기차에서 길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이 자꾸 묻습니다. 나는 아무 말을 안 합니다. 일곱 살 큰아이는 방긋방긋 웃으면서 대꾸해 줍니다. “어머니는 집에서 자요.” 아픈 곁님을 돌보지 못하고 두 아이만 데리고 나왔으니, 나로서는 곁님이 시골집에서 제대로 끼니 챙기며 지낼까 생각하는데, 내 둘레 사람들이 나를 바라보는 눈빛은 이와 사뭇 다릅니다. 그래도 어딘가에는 내 마음을 읽고 어깨동무를 할 이웃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4347.1.30.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로 읽는 책 104] 몸


걸어가며 숲을 바라보니
자전거에서도 버스에서도
내 눈길은 숲으로 간다.


내 몸에 맞는 옷이란, 내 삶에 맞는 길이 되리라 느껴요. 남들이 예쁘게 쳐다보라며 입는 옷이 아니라, 스스로 즐겁게 살아가려고 입는 옷일 테니까요. 내 삶은 내가 사랑하고 아껴야 아름답겠지요. 남들이 아껴 주는 내 삶이 아니라, 스스로 아끼는 삶일 테니까요. 시골에서 살며 아이들과 늘 숲과 들과 흙과 나무를 마주하니, 어디로 가더라도 내 눈길과 아이들 눈길은 숲과 들과 흙과 나무 앞에서 반짝반짝 빛납니다. 순천 버스역에 내려 순천 기차역으로 걸어가면서, 자동차 싱싱 시끄러운 찻길 한쪽에 고개 살그마니 내민 냉이꽃을 보면서 두 아이하고 함박웃음 지었습니다. 4347.1.30.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할머니 할아버지 계신 

충청도 음성으로 간다.

 

어제 늦게까지 안 자던 아이들이

이럭저럭 아침에 일어났다.

 

이제 군내버스 타고 읍내와 순천을 거쳐

기차를 타고 가야지.

 

이번에는 아이들 옷은 한 벌만 챙긴다.

그래도, 갖고 가는 선물을 꾸리니

가방이 터질 듯하다.

 

잘 가자.

노래하면서 가자.

웃으면서 가자.

즐겁게 가자.

 

그러면 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보 2014-01-29 11:11   좋아요 0 | URL
벌써 고향으로 출발하셨네요,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아이들과 님 그리고 옆지기님 모두모두 안아픈 일년이 되시고 올해도 님의 좋은 말씀 많이 기대할게요,,,

숲노래 2014-01-30 01:49   좋아요 0 | URL
씩씩하게 튼튼하게 살아가는 한 해 되도록
울보 님도 다른 이웃 님도 모두
꿈과 사랑 가득하기를 빌어요.
기쁜 설날 누리셔요~~~ 고맙습니다 ^^

oren 2014-01-29 11:40   좋아요 0 | URL
설 쇠러, 세배 드리러 시골 할아버지, 할머니 사시는 곳으로 가시는군요.
먼 길 잘 다녀오시고, 즐거운 설 보내시길 바랄께요~

숲노래 2014-01-30 01:48   좋아요 0 | URL
oren 님 또한
아름답고 즐겁게 맞이하는 설날
함박웃음으로 누리셔요~~~
아아, 고맙습니다 ^^

2014-01-29 15: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30 0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함께 살아가는 말 191] 뻐꾸기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마실을 나가는 길입니다. 마을 어귀를 벗어날 즈음, 샛자전거에 앉은 큰아이가 “아버지, 뻐꾸기 눌러 봐요, 뻐꾸기.” 하고 말합니다. “응?” 하고 살짝 고개를 갸우뚱하다가, 아하 하고 깨달으면서, 자전거 손잡이에 붙인 ‘뿡뿡’ 소리나는 나팔을 누릅니다. 딸랑딸랑 울리면 ‘딸랑이’인데, 우리 자전거에 붙인 조그마한 나팔에서 나오는 소리를 아이는 뻐꾸기 소리로 느껴 ‘뻐꾸기’라고 하는구나 싶습니다. 뿡뿡 뿡뿡 소리를 내면서 새롭게 생각해 봅니다. 일곱 살 어린이 귀에는 이 소리가 ‘뻐어꾹 뻐어꾹’처럼 들렸을까요. 곰곰이 귀를 기울이니, 이렇게 들을 수 있습니다. ‘빵빵’으로 들었으면 아이는 ‘빵빵이’라고 말했을는지 모르고, ‘뾰롱뾰롱’으로 들었으면 아이는 ‘뾰롱이’라고 말했을는지 몰라요. 듣는 대로, 느끼는 대로, 받아들이는 대로 새 이름이 태어납니다. 천천히 천천히 나팔을 누르면서 뻐어꾹 뻐어꾹 소리를 내어 봅니다. 4347.1.2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