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책 읽기

 

 


  어린이책은 어린이가 읽도록 만드는 책이다. 그런데 어린이가 읽도록 만드는 책은 어린이부터 누구나 읽는다. 또한, 어린이 눈높이로 생각하거나 바라보거나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모두 읽는다. 한편, 어린이책은 어린이가 읽도록 만들지만, 어른이 만드는 책이다. 그래서, 어린이책을 읽는 첫 독자는 늘 어른이다. 어린이는 어린이책이 새로 나오는 줄 알 길이 없다. 어른들이 맨 먼저 알고, 어른들이 어린이책을 장만한 뒤 어린이한테 건네기에 어린이가 어린이책을 읽을 수 있다. 어린이 한 사람이 어린이책을 읽도록 하려고 수많은 어른들이 어린이책을 읽는다.


  아이한테 읽히려고 어린이책을 장만하니, 아이로서는 어버이나 둘레 어른이 책을 선물해 줄 때에 고맙게 받아서 즐겁게 읽는다. 그런데, 아이일 적에 어린이책을 다 못 읽거나 미처 못 읽거나 그냥 안 읽기도 한다. 책보다는 놀이가 좋아, 놀이에 사로잡히는 나머지 책하고는 등지기도 한다.


  이렇게 어린 나날 어린이책을 안 읽고 살며 어른이 된 사람이 나중에 짝꿍을 만나 사랑하면서 아이를 낳으면, 새삼스레 어린이책을 읽는다. 이녁 아이한테 읽히려고 어린이책을 새롭게 장만한다. 이때에 ‘왜 어린이였을 적에 안 읽은 어린이책을 이제 와서 읽을까?’ 하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아름답고 멋진 어린이책을 왜 어린이였을 적에는 못 읽고 어른이 되어서야 읽는가?’ 하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릴 적에 이 사랑스러운 어린이책을 읽었으면 내 마음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하고 생각하기도 하며, ‘이처럼 놀랍고 좋은 어린이책을 뒤늦게 깨닫고 읽으니 우리 아이를 한결 깊고 넓게 아끼고 사랑하는 빛을 얻는구나.’ 하고 깨닫기도 한다.


  어린이책은 어린이가 읽도록 만드는 책이다. 틀림없다. 그런데, 어린이책은 어린이보다 어른을 더 일깨우고 가르치면서 눈물과 웃음을 뽑아내지 싶다. 어쩌면, 어린이책이란, 어린이한테 읽히겠다는 뜻을 내걸지만 정작 어른들이 착하고 참다우며 고운 마음을 언제까지나 한결같이 지키거나 보살피고 싶은 꿈을 담아서 빚는 책이라고 할 만하지 싶다. 4347.2.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무꾼과 늑대 내 친구는 그림책
야마구치 도모코 지음, 조은란 옮김, 호리우치 세이이치 그림 / 한림출판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343

 


외딴 숲속에서 살아가려면
― 나무꾼과 늑대
 호리우치 세이치 그림
 야마구치 도모코 글
 주은란 옮김
 한림출판사 펴냄, 2007.2.15.

 


  북녘은 어떠할는지 모르지만, 남녘에서는 깊은 두멧자락에서 살아도 멧짐승이 덮칠까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이제 남녘에서는 사람을 다치게 할 만한 멧짐승이 없습니다. 범도 곰도 없으며, 늑대도 이리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더 헤아려 보면, 범이나 잡아먹을 짐승이 거의 없다 할 만하고, 늑대나 이리가 잡아먹을 짐승 또한 거의 없다 할 만합니다.


  그러면, 먼먼 옛날 시골에서 살던 옛사람은 두멧자락 삶이 두려웠을까요? 깊은 두멧자락에 외따로 떨어져 살던 옛사람은 범이나 곰이나 늑대나 이리를 두렵게 여기면서 살았을까요?


.. 집 안은 온통 연기로 가득 찼습니다. 나무꾼은 서둘러 문을 열었습니다. 바로 그때, 늑대 한 마리가 찾아와 ..  (4쪽)

 


  옛사람이 살던 집은 오늘날처럼 샤시문이 없습니다. 옛사람이 살던 집은 오늘날처럼 벽돌담이나 쇠대문이 없습니다. 기껏해야 돌로 쌓은 울이 있습니다. 기와집이면 모르되, 흙과 풀로 지은 집에는 따로 대문이 없습니다. 울바자라든지 탱자나무 울타리가 있을 뿐입니다. 탱자나무 울타리조차 없이 싸리울이 있기도 하고, 싸리울조차 없기도 합니다. 그러면, 방과 마루를 드나드는 문은? 창호종이 한 장 얇게 바른 문입니다. 문고리로 닫는다 하지만, 사람이나 큰 짐승이 쿵쿵 때리면 부서지는 나무문입니다. 게다가 벽이란 흙으로 바른 벽이니, 벽을 쿵쿵 쳐도 흙이 우수수 무너지겠지요.


  더 헤아려 보면, 여느 시골마을 옛사람 살던 흙집에는 구렁이가 함께 살아갑니다. 지붕을 짚으로 이으니, 서까래에 구렁이라든지 뱀이 살아갑니다. 서까래에서 살아가는 구렁이가 처마 밑에 둥지를 튼 제비집을 덮친다는 이야기는 어느 마을에서나 흔해요.


  그러니까, 옛사람 시골집은 허술하기 짝이 없습니다. 쳐들어오려면 쉬 쳐들어오는 집이요, 부수려면 손쉽게 부술 만한 집입니다.


.. 갑자기 나무꾼에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나무꾼은 소리쳤습니다. “가트리느, 이 녀석에게 수프를 듬뿍 끼얹어요!” ..  (11쪽)

 


  요즈음 시골집도 뒷간은 으레 바깥에 있습니다. 집 안쪽에 뒷간이 있는 시골집은 없습니다. 서양집처럼 새로 짓거나 나중에 칸을 늘려 수세식 변기를 놓으면 집안에도 뒷간이 있는 셈이지만, 예나 이제나 시골집은 집 바깥에 뒷간이 있습니다. 게다가 집하고 제법 떨어진 자리에 뒷간을 둡니다.


  캄캄한 밤에 똥이 마려우면 집에서 나와 뒷간으로 가야겠지요. 울 하나 제대로 없는 집에서 등불 또한 하나 없는데 찾아가는 뒷간이란! 밤하늘 별이 와락 쏟아지는 밤마실 될 테지요. 다만, 아이들은 밤에 뒷간 가는 길이 무섭겠구나 싶어요. 뒷간이라 하더라도 거적을 덮었을 뿐이니, 밤에 뒷간에서 볼일을 보다가 범이나 늑대라도 나타나면 어쩌나 하고 벌벌 떨 만해요.


  그래도 옛사람은 옛사람대로 호젓하고 깊은 두멧시골에서 잘 살았습니다. 종이 한 장으로 바른 문이니 겨울이면 방에서도 자리끼가 꽁꽁 얼었을 텐데, 겨울 추위를 그럭저럭 났어요. 겨울에도 기저귀를 빨고, 겨울에도 밥을 지으며, 겨울에도 아이들은 손과 코가 발개지도록 바깥에서 뛰놀며 자랐습니다.


  숲에 범이 있더라도 숲에서 놉니다. 늑대나 여우가 나타나더라도 거리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어디를 가도 숲인데 숲에 범이나 늑대가 있대서 무섭게만 여기면, 살아갈 수 없어요. 논과 밭에서 어떻게 일하겠어요. 나무를 어떻게 하겠어요. 풀을 어떻게 뜯겠어요. 방아를 찧고 절구를 찧으며 멧돌을 돌려야 하는데, 바깥에서 하는 일이 무섭기만 하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큰 짐승한테 잡아먹히는 토끼도 숲에서 범과 늑대하고 함께 살아갑니다. 노루도 사슴도 숲에서 범이랑 늑대랑 함께 살아가요. 사람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커다란 짐승이 있다면 작은 짐승도 함께 살고, 사람을 잡아먹을 만한 짐승이 있어도 어른과 아이는 씩씩하게 숲살림을 꾸립니다.

 


.. 나뭇꾼이 숲 속에서 나무를 자르고 있는데, 화상을 입어 머리가 벗겨진 늑대가 15마리 정도나 되는 늑대 무리를 데리고 오는 것이 보였습니다 ..  (16쪽)


  야마구치 도모코 님 글하고 호리우치 세이치 님 그림이 어우러진 그림책 《나무꾼과 늑대》(한림출판사,2007)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어니스트 톰슨 시튼 님이 쓴 이야기를 읽으면, 예전에 프랑스 파리라는 곳에 늑대가 몹시 많았다고 합니다. 파리사람은 늑대가 무서워 도시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기도 한 적이 있다고 해요. 그러면, 프랑스에서 도시 아닌 시골에서 살던 사람은 집 바깥으로 나가기가 더욱 두려웠겠지요. 시골사람은 흙을 일구며 살아야 하니 들과 숲에서 일해야 하거든요. 그림책 《나무꾼과 늑대》를 읽는 내내 옛날 유럽사람 삶이 자꾸만 떠오릅니다. 시골에서 조용히 살아가던 사람들 삶을, 사랑하는 짝꿍과 단출하게 시골에서 살아가던 사람들 삶을, 푸른 바람을 마시고 맑은 냇물을 먹으면서 살아가던 사람들 삶을 가만히 그립니다.


  그림책에 나오는, 그러니까 프랑스 옛이야기에 나오는 ‘숲속 나무꾼’과 ‘숲속 각시’는 늑대를 무서워 했을까요? 이네들 살던 숲에도 범이 있었을까요? 이네들은 왜 문을 벌컥 열어 놓고 밥(스프)을 끓였을까요?


  이야기를 곰곰이 살피면, 집안에 늑대가 들어왔어도 딱히 놀라지 않습니다. 덜덜 떨지 않습니다. 이 녀석을 어떻게 내쫓나 하고 차분하게 생각합니다. 나무꾼은 숲속에서 홀로 나무를 베다가 열다섯 마리나 되는 늑대떼를 만납니다. 이때에도 나무꾼은 덜덜 떨지 않습니다. 얼른 나무 꼭대기까지 올라가서 숨은 뒤 차분하게 생각합니다. 이 아슬아슬한 고비에서 벗어날 길을 슬기롭게 찾습니다.


  늑대가 집 둘레에서 어정거린대서 바깥일을 안 하지 않습니다. 늑대가 있건 말건 봄에는 숲딸기를 따러 다니겠지요. 늑대가 보건 말건 냇물에서 빨래를 하겠지요. 늑대가 다니건 말건 버섯을 따고 나물을 뜯겠지요.


  외딴 숲속에서 살아가는 마음이란, 숲과 내가 하나라고 여기는 마음이리라 느낍니다. 외딴 숲속에서 살아가는 사랑이란, 숲과 나를 함께 아끼는 사랑이리라 느낍니다. 나무꾼과 각시는 늑대가 다시는 얼씬도 못하도록 혼찌검을 냅니다. 도란도란 씩씩하게 살아갑니다. 오순도순 예쁘게 살아가요.


  먼먼 옛날부터 시골이 시골로 이어지던 삶이었을 테니, 프랑스에서는 “나무꾼과 늑대” 이야기를 빌어, 씩씩하고 즐겁게 꾸리는 살림살이를 넌지시 알려주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숲을 두려워 하지 말라고, 숲을 아끼고 사랑하라고, 숲과 내가 늘 한몸인 줄 느끼라고, 숲에서 만나는 모두를 이웃과 동무로 삼으라고, 늘 차분하면서 슬기롭게 살아가라고 하는 넋을 아기자기하게 엮어서 들려주었으리라 생각해요.


  그나저나, 이 그림책 번역 가운데 “나무를 자르고 있는데(16쪽)” 같은 말마디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나무꾼은 나무를 도끼로 ‘벱’니다. 그림책에도 도끼가 나옵니다. 나무를 벤다고 해야지요. 장작을 팬다고 해야지요. 어떻게 나무를 ‘자를’ 수 있을까요. 늑대가 “화상을 입어 머리가 벗겨(16쪽)”졌다고도 나옵니다만, 아이들 그림책에 쓰는 말씨를 돌아본다면, “뜨거운 국에 데어 머리가 벗겨”졌다고 손질해야 올바르지 싶어요. 우리 말을 찬찬히 잘 살피면 훨씬 멋스러운 그림책입니다. 4347.2.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대기놀이 2 - 후박나무까지

 


  작대기를 두 손으로 쥐고 흔드는 네 살 산들보라가 마당을 이리저리 걷다가 평상을 밟고 올라선다. 그러더니 후박나무 가지 끝을 작대기로 툭툭 건드린다. 네 키가 아직 작아 손이 안 닿으니 작대기로 후박나무를 건드리고 싶었니? 그렇지만 작대기로 나뭇가지를 자꾸 치면 나무가 아야 한단다. 예뻐해 주어야지. 4347.2.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4-02-08 19:44   좋아요 0 | URL
너무너무 귀여워요~^^

숲노래 2014-02-08 23:41   좋아요 0 | URL
아주 귀여운 아이입지요~ ^^
 

산들보라 울보 될랑 말랑

 


  누나는 저 앞으로 싱 달리고, 아버지는 누나와 저 사이에서 어중간하게 걷고, 산들보라는 어기적어기적 걸음이 더디고. 이리하여 산들보라는 늘 꼬랑지에 처져 울먹울먹 울보가 될랑 말랑 한다. 보라야, 너도 누나처럼 씩씩하게 달려야지. 네 누나는 일곱 살이고 키가 자라서 저렇게 잘 달리지 않아. 네 누나는 너보다 어릴 적에도 언제나 아버지보다 앞장서서 달리면서 놀았어. 너도 신나게 달려야지. 울보가 되지 말고. 4347.2.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리가면》이 엄청나게 사랑을 받는 동안, 이 만화책에 눈길을 두지 않았다. 왜냐하면, 1970년대부터 그린 만화가 2000년대를 넘어도 연재가 안 끝나니까. 연재가 다 끝나면 보아야겠다고 미적미적 미루다가 2008년이었지 싶다. 그때에 비로소 그때까지 번역된 책을 한꺼번에 장만해서 며칠만에 다 읽어냈다. 그러니, 2005년에 스즈에 미우치 님 단편만화가 세 권으로 두툼하게 나온 줄 까맣게 몰랐다. 절판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이 만화책을 찾으려고 헌책방을 다니며 살펴보았다. 《유리가면》에서는 깜찍한(?) 아이들만 나오는데, 《스즈에 미우치 단편》에는 ‘깜찍한 아이들이 겪는 끔찍한’ 이야기가 흐른다. 끔찍한 이야기를 그리면서도 깜찍한 아이들은 용케 한복판으로 파고들어 문제를 끝까지 풀어내려고 한다. 어떤 마음밭으로 이러한 만화를 그릴 수 있었을까 놀라운 한편, 빙그레 웃음짓는 손길로 그리는 무시무시한 이야기란, 새삼스러운 재미와 아름다움을 베푸는구나 싶기도 하다. 두근두근 설레도록 하면서, 생각끈을 놓지 않도록 하는 단단한 짜임새가 참으로 싱그럽다. 만화란 바로 이렇구나 하고 다시금 깨닫도록 이끈다. 4347.2.8.흙.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스즈에 미우치 단편 1- 요귀비전
스즈에 미우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5년 5월
4,800원 → 4,320원(10%할인) / 마일리지 240원(5% 적립)
2014년 02월 08일에 저장
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