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4.2.21.
 : 바람맛이 다르다

 


- 하루 내내 일하느라 바쁘다 보니 아이들한테 밥을 제대로 챙겨 주지 못한다. 아픈 곁님은 오늘 면소재지 밥집에 전화를 걸어 바깥밥을 시켜서 먹자 한다. 그런데 내 주머니에 돈이 없다. 서울마실을 하며 책값으로 돈을 퍽 쓰기도 했고, 찻삯과 여관삯으로 들기도 했기에, 딱 삼천 원이 있다. 맞돈이 없으니 무얼 할 수도 없기에, 일이 아직 밀리고 몸이 몹시 아프지만 자전거를 몰고 우체국을 다녀오기로 한다. 곁님한테는 내 몸이 아프다는 얘기를 하지 않는다. 얘기를 해 본들 나를 보살펴 줄 만한 몸이 아니기도 하고, 얘기를 하면 우체국을 자전거 타고 다녀오지 말라 할 테니까.

 

- 몸이 아플 적에 자전거를 타면 여름에도 춥다. 봄을 코앞에 두며 퍽 포근한 날이지만, 몸 때문인지 매우 춥다. 장갑을 꼈어야 했다고 느낀다. 한참 달리며 뒤늦게 깨달았으니 돌아갈 수 없다. 영 도 아래로 떨어진 날씨가 아니나 참 힘들다. 그런데, 면소재지로 가는 길에 맞바람을 맞으면서 ‘바람이 바뀌었나?’ 하고 느낀다. 집에서 마당에 빨래를 널 적에도 바람이 바뀌는구나 하고 느끼기도 했다. 다른 고장은 어떠할는지 모르나, 고흥은 태평양 바다를 곧바로 끼는 남녘 뭍이기에, 철 따라 바람이 바로바로 달라진다. 여름이 저물고 가을 지나 겨울이 되면 높바람이 드세다. 겨울이 끝나고 봄으로 접어들면 마파람으로 달라진다. 집에서 면소재지 가는 길은 ‘마’ 쪽으로 가는 길이니, 맞바람이 된다. 거꾸로, 면소재지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높’ 쪽으로 가는 길이라, 등바람이 된다. 바람맛이 다르다. 아무리 아픈 몸이라 하지만, 달라진 바람맛을 느끼며 즐겁다. 아아 하고 소리를 지르면서 살짝 웃는다.

 

- 우체국에 들러 10만 원을 찾는다. 면소재지 빵집에 들러 네모빵을 두 줄 장만한다. 살짝 빠듯한 이달 살림돈이지만, 새로운 책이 나오면서 널리 사랑받으면 더는 걱정할 일이 없으리라 생각한다.

 

- 집으로 등바람을 맞으며 자전거를 달린다. 몸이 힘드니 사진기는 집에 두고 나왔다. 새봄내음이 무르익는 들길을 달리지만, 들빛을 제대로 돌아보기 어렵다. 그래도 눈에 힘을 주어 구름을 보고 하늘을 본다. 멧등성이를 바라보면서 푸릇푸릇한 기운을 느낀다. 겨울나기를 마친 풀이 새롭게 기운을 내듯이, 나도 아픈 몸을 추스르며 아이들과 다시금 알콩달콩 복닥이면서 놀자고 생각한다. 집에 닿아 땀으로 젖은 웃옷을 갈아입은 뒤 그대로 자리에 뻗는다. 세 식구는 아버지가 사온 네모빵을 먹으며 저녁끼니로 삼기를 바랄 뿐이다.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서재 왼쪽에 뜨는 '서재지기 사진'에

오랜만에 새 얼굴을 띄운다.

 

지난해에 새로 나온 책은

아무래도 새 얼굴로 띄우기에는

그리 밝거나 곱지 못하다고 여겨 -_-;;;

2011년에 내놓은 책으로 2014년 2월까지

얼굴을 삼았다 @.@

 

아이들 사진을 가끔 붙이기도 했지만,

아이들 사진은

내 글에서만 쓰기로 하고,

이러한 자리에는 쓰지 말자고 생각했다.

 

'철수와영희'라는 출판사에서,

이름부터 수수하고 투박하니 예쁜 출판사에서,

어느덧 세 권째 '우리 말 이야기'를 선보인다.

 

올해에 네 권째 우리 말 이야기를 선보일 수 있을까.

부지런히 글을 가다듬으면 할 수 있으리라.

 

올해에 '철수와영희' 네 권째 우리 말 이야기가 나오든 못 나오든,

올해부터는 <우리 말 살려쓰기> '전집'과 같은 책꾸러미를

차근차근 내놓을 생각이다.

 

두 가지 모두 잘 다스려서

이 나라 이웃들한테

말과 넋과 삶이

어떻게 하나로 이어지면서

아름다운 빛이 되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어야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슬비 2014-03-02 16:23   좋아요 0 | URL
새 얼굴이 참 잘 어울리세요. ^^ 더 밝아진 느낌이라 좋아요.
 

[함께 살아가는 말 196] 동백길

 


  2014년부터 온 나라에서 ‘새 주소’를 써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 시골집이 깃든 곳은 ‘도화면 신호리’를 썼지만, 이제부터 ‘도화면 객사거리길’을 써야 합니다. 그런데, 어디에서도 우리 마을이 왜 ‘객사거리길’이 되어야 하는가를 듣지 못합니다. 이런 이름은 누가 어떻게 붙였을까 궁금합니다. 시골마을은 무슨 ‘리’라고 하는 행정이름이 있기 앞서 마을마다 마을이름이 있습니다. 먼먼 옛날부터 어느 시골마을이든 마을이름이 있어요. 우리 마을은 ‘동백마을’입니다. 우리 마을과 이웃한 다른 마을로 ‘지정마을·신기마을·원산마을·호덕마을·봉서마을·봉동마을’ 들이 있어요. 그러면, 시골에서는 이와 같은 마을이름을 ‘새 주소’로 붙일 때에 알맞으리라 생각합니다. 지정마을은 ‘지정마을길’이라 하면 되고, 신기마을은 ‘신기마을길’이라 하면 됩니다. 시골에서는 우체국이나 택배회사 일꾼 누구나 마을이름으로 찾아가요. 버스 일꾼도 택시 일꾼도 모두 마을이름으로 마을을 압니다. 재개발을 많이 해서 옛 모습 사라진 도시에서라면 ‘새 주소’로 새로운 이름을 지어서 붙일 만하지만, 오래된 시골마을에서는 오랫동안 쓴 마을이름을 ‘새 주소’로 삼을 때에 아름다우리라 느껴요. 우리 집이 깃든 이곳은 ‘동백길’이나 ‘동백마을길’이라는 이름이 가장 어울립니다. 동백마을이니까요.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살피는 손길

 


  책은 온몸으로 찾는다. 눈으로만 책을 찾지는 못한다. 책꽂이는 사람 키높이로만 있지 않다. 키보다 높은 데에도 책을 꽂고, 키보다 낮은 데에도 책을 꽂는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책을 살피기도 하며, 쪼그려앉아서 책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책을 살피다 보면 으레 손이 책때가 타거나 먼지가 묻기도 한다. 새책방에서나 도서관에서나 헌책방에서나 늘 똑같다. 새책방에서 책을 살피기에 손에 먼지가 안 묻지 않는다. 새책에도 똑같이 먼지가 깃든다.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는 책은 수많은 사람이 돌려보는 만큼, 책먼지뿐 아니라 여러 사람 손때가 깃든다.


  헌책방은 어떠할까? 헌책방에 깃드는 헌책도 여러 사람 손때가 깃들 만할 테지. 그런데, 헌책방 헌책 가운데에는 출판사에서 드림책으로 누군가한테 보낸 뒤 한 번도 펼쳐지지 않은 책이 있기도 하다. 신문사나 출판사로 날아간 드림책이 스무 해나 마흔 해 동안 그대로 꽂히거나 쌓인 뒤 헌책방으로 흘러나오기도 한다. 이름난 작가한테는 드림책이 꽤 많이 간다 하고, 이름난 작가는 이녁한테 날아온 드림책을 다 읽거나 건사하지 못하다가 조용히 헌책방에 내놓곤 한다. 이녁은 못 읽더라도 다른 누군가 즐겁게 읽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도서관에 있다가 헌책방으로 들어오는 책 가운데에는 참말 많은 사람 손을 거쳐 너덜너덜한 책이 있지만, 도서관에서 내놓는 책들은 으레 대출실적이 적은 책이다. 이리하여, 헌책방 헌책은 뜻밖에도 사람들 손길을 거의 안 타거나 못 탄 책이 많다. 도서관에 꽂힌 책보다 한결 ‘깨끗하다’고까지 할 만한 헌책방 헌책이라 할 수 있다.


  헌책방마실을 하면서 책을 살피는 이들은 으레 책방 골마루에 손바닥을 척 대거나 아예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눌러앉아서 책시렁을 돌아보곤 한다. 이렇게 해야 밑바닥 책이 잘 보이고, 책탑 아래쪽 책을 잘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손과 바지와 옷에 책먼지가 묻더라도 아랑곳하지 않는 사람이 헌책방 책손이다. 손에 먼지가 묻으면 물로 깨끗이 씻으면 된다. 손에 먼지가 묻도록 즐겁게 살피면서 마음을 살찌울 책 하나 찾으려는 손길이 헌책방을 키우고 동네책방을 북돋우며 작은 책쉼터를 일으킨다.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존재 그리고 인덱스’라는 작은이름을 붙이고 나온 조그마한 사진비평 《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를 읽는다. 사진비평을 하는 이경률 님은 책을 여러 권 썼다. 다만, 이 책들은 오늘날 모두 판이 끊어졌다. 사진비평이 읽히기 어려운 한국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사진비평을 너무 어렵게 썼기 때문일까. 이경률 님은 《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라는 책에서 “감동을 주는 좋은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그림으로 그리는 것보다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41쪽).” 하고도 말하지만, 이처럼 또렷하고 쉬운 글로 사진비평을 펼치지는 않는다. 이런 글은 어쩌다가 한두 줄 흐르고, 작은 책을 통틀어 외국 비평가 이론을 들거나 스스로 세우는 이론을 내세우면서 사진읽기를 이야기한다. ‘재현’이라는 낱말도 돌아볼 노릇이다. 이런 한자말은 누가 쓸까? 꼭 이런 한자말을 써야 했을까? 사진비평이 읽히지 못하는 탓은 사진을 즐긴다는 사람들 스스로 책을 안 읽는 탓도 있을 테지만, 사진비평을 쓰는 사람들 스스로 여느 사진벗이 즐겁고 아름답게 사진이야기를 읽도록 글을 가다듬지 못한 탓도 있다고 느낀다. 사진은 무엇을 보여주겠는가. 사진은 무엇을 다시 보여주겠는가. 사진은 무엇을 말하는가. 사진은 무엇을 다시 말하는가. 실마리를 차근차근 풀면서 ‘사진이론’ 말고 ‘사진이야기’를 널리 베풀 수 있기를 빈다. 4347.2.24.달.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사진과 존재 그리고 인덱스
이경률 지음 / 마실가(=사진마실) / 2002년 8월
10,000원 → 10,000원(0%할인) / 마일리지 0원(0% 적립)
2014년 02월 24일에 저장
품절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