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 되는 마음

 


  할 일이 남아 잠자리에 들지 않는 아버지를 바라보며 일곱 살 큰아이가 한 마디 합니다. “아버지, 일 다 하고 자러 와. 알았지?” 그럼, 자러 가지.


  일을 다 마친 뒤 꼭 제 옆에 누워서 자자면서 부르는 목소리는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우면서 고맙습니다. 아이 목소리를 되새기면서 바지런히 힘을 모읍니다. 힘을 모아 조금 더 글을 씁니다. 그렇지만 요 석 달 동안 고단한 일을 하느라 몸이 많이 지친 탓에 자꾸 졸음이 밀려듭니다. 어쩌나 그대로 누워야 하나.


  졸음이 온몸을 감쌀 적에 아이들 사진을 들여다봅니다. 오늘 하루 동안 찍은 사진을 들여다보고, 어제와 그제 찍은 사진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이 아이들이 어떤 눈빛으로 사진에 찍혔는지 헤아립니다. 아이들을 바라보는 내 눈길은 얼마나 그윽하거나 사랑스러웠는지 돌아봅니다.


  아이들은 언제나 나한테 힘이 됩니다. 그러면, 거꾸로 살펴, 나는 아이들한테 똑같이 힘이 될까요? 틀림없이 힘이 될 텐데, 즐거운 힘이 될는지 살가운 힘이 될는지 어여쁜 힘이 될는지 짜증내는 힘이 될는지 꾸짖는 힘이 될는지, 여러모로 되짚습니다.


  일하는 틈틈이 아이들 이부자리를 살피며 이불깃을 여밉니다. 언제나 한 줄이라도 일을 더 하고 눕자고 생각하지만, 아이들이 조잘조잘 노래하면서 나를 부르면, 나중에 두 줄을 쓰자고 생각하며 함께 이부자리로 파고들기 일쑤입니다. 아이들만 눕혀서 재우고 일을 할 적보다는, 아이들과 나란히 누워 한 시간쯤 같이 노래를 부르다가 스르르 곯아떨어진 뒤 깊은 밤에 슬그머니 일어나 일을 할 적에 훨씬 새힘이 빨리 솟아나지 싶습니다.


  얘들아, 너희들이 개구지게 뛰놀며 날마다 옷을 여러 벌 버려도, 즐겁게 노래하며 웃는 몸으로 내놓는 빨래는 아버지로서도 신나게 비빔질을 하고 물짜기를 할 수 있단다. 웃는 삶이 즐겁지, 빨래 없는 삶이 즐겁지는 않아. 노래하는 삶이 즐겁지, 더 큰 집을 바라지 않아. 그러나 너희들 놀잇감이랑 책이랑 둘 만한 자리는 앞으로 차근차근 마련해야겠지. 너희들이 조용히 그림도 그리고 책도 읽고 글도 쓸 조그마한 방을 머잖아 마련해야겠지. 너희들이 손수 일구며 돌볼 땅뙈기도 있어야겠지. 너희들이 사랑스러운 손길로 가꾸며 보살필 숲이 될 만한 땅은 참말 넉넉히 마련해야겠구나.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흙투성이 옷차림인 까닭을 알아내다

 


  겨울 막바지부터 포근한 날씨가 되면서 아이들이 마당과 마을에서 한참 논다. 두 아이는 서로 동무가 되어 신나게 논다. 그런데, 이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올 적마다 늘 흙투성이가 된다. 마당에서만 놀아도 흙투성이 꼴이다. 그래서 두 아이가 무엇을 하며 노는가 가만히 지켜본다. 어느 날은 맨발로 흙밭에 퍼질러앉아 온몸에 흙을 끼얹으면서 ‘바닷가 모래밭 놀이’를 한다. 또 어느 날은 평상 밑으로 기어들어 숨바꼭질을 한다. 또 어느 날은 마을 빈논에 들어갔다가 늪 비슷하게 된 곳에서 첨벙첨벙거린다. 온몸이 옴팡 젖은 날은 빨래터에서 물놀이하다가 그만 빠졌기 때문이다.


  지난주부터는 아이들을 집에 그냥 들이지 않는다. 옷을 말끔히 턴 뒤 들어오도록 시킨다. 이렇게 해도 온 집안이 모래투성이가 되니, 일부러 엉덩이가 따끔하도록 먼지와 흙과 모래를 털어서 집으로 들인다

.
  저녁에 잠들고 아침에 일어나면 잠자리가 까끌까끌하다. 아무리 털어도 아이들 몸에 남은 모래가 구른다. 방과 부엌과 마루 어디나 모래투성이요 흙투성이이다. 너희들은 참말 시골스럽게 시골아이로 살아가는구나. 더 자주 쓸고닦으라는 뜻이요, 더 자주 옷을 갈아입히라는 뜻이며, 더 자주 몸을 씻기라는 뜻이라고 읽어야겠지.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버지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바꼭질 2 - 벼리 누나 찾아봐라

 


  마당에서 숨바꼭질을 하는 두 아이가 평상 밑과 이불 사이를 갈마들면서 논다. 일곱 살 큰아이가 평상 밑으로 들어가기에는 그리 넓지 않은 듯하지만 어찌저찌 들어간다. 큰아이가 “누나 찾아봐∼라!” 하고 말하니, 작은아이가 나중에 평상 밑으로 들어가서는 “보라 찾아봐∼라!” 하고 부른다. 놀 때에는 그야말로 온몸으로 노는구나.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바꼭질 1 - 보라 숨었지롱

 


  두 아이가 마당에서 숨바꼭질을 하면서 논다. 그러려니 하고 여기며 밥을 차리다가 두 아이 모습이 안 보이기에 고개를 갸우뚱한다. 어디에 숨었기에 안 보이나? 한참 쳐다보니, 두 아이가 서로 평상 밑으로 기어든다. 한 놈은 평상 밑으로, 한 놈은 마당에 해바라기를 시키는 이불 사이에 숨는다. 네 살 산들보라가 평상 밑으로 기어드는 모습이 참 똘똘하다. 네가 기어들기에 아주 알맞구나.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의 털 - 노순택 사진 에세이
노순택 글.사진 / 씨네21북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찾아 읽는 사진책 159

 


사진가한테 머리띠를 주지 마셔요
― 사진의 털
 노순택 글·사진
 씨네21북스, 2013.5.14.

 


  잡지 〈씨네21〉에 주마다 싣는다는 사진이야기 가운데 여든 꼭지를 그러모아서 선보인 노순택 님 《사진의 털》(씨네21북스,2013)을 읽습니다. 어느 날 어느 시인과 어느 공장을 찾아갔더니 “전기가 끊긴 창문 없는 공장 안에서, 시인은 내게 사진을 찍으라고 명하였다(25쪽).”고 합니다. 그래서 노순택 님은 전기가 끊긴 깜깜한 공장에서 사진을 찍습니다. 창문도 없어 햇빛이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공장에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을 찍으라고 하잖아요. 시인이 사진을 찍으라고 하잖아요.


  시인은 나중에 시를 썼을까요. 썼을 수 있고 안 썼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쓸 생각일 수 있고, 어쩌면 안 쓸 생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진가는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 사진가는 언제나 바로 이곳에서만 사진을 찍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가는 다른 곳이나 다른 때라면 사진을 찍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상황을 다시 꾸며서 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무대를 만들거나 모델을 세워서 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상황이든 무대이든 모델이든 늘 바로 이곳에 있을 때에 찍을 수 있습니다. 바로 이곳에 없으면 다시 꾸민 상황이나 무대를 찍지 못하고, 다시 꾸민 상황이나 무대가 있더라도 바로 이곳에 있어야 사진을 찍습니다.


  노순택 님은 어느 사진잔치 자리에서 겪은 일을 “형사님들은 이른바 ‘채증’을 위해 갤러리를 샅샅이 촬영했다. 그분들도 관람객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우리 누구도 그들을 제지하지 않았다. 오히려 흥미로웠다. 누가 우리 작품을 이렇게 세심한 각도로, 이렇게 정성을 담아 카메라에 담아 주었던가(37쪽).”와 같은 이야기로 들려줍니다. 전시관을 샅샅이 찍었다는 형사님이란 얼마나 놀라운 관람객일까 궁금합니다. 참말 어느 관람객도 이렇게 사진을 찍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요모조모 샅샅이 찍으며 ‘채증’을 하는 관람객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진잔치 자리를 찾아가는 관람객은 이녁 사진기가 아닌 이녁 마음에 사진 작품을 담기 때문입니다. 이녁 마음을 아름답게 살찌우고 싶으니 사진잔치 자리에 가요. 이녁 마음을 새롭게 북돋우면서 가슴속에 고운 사랑을 심고 싶기에 사진잔치 자리에서 즐겁게 눈빛을 밝힙니다.


  사진을 읽거나 글을 읽거나 늘 똑같으리라 생각합니다. 겉글을 읽으면 속글을 알 수 없어요. 겉사진을 읽으면 속사진을 알 수 없습니다. ㅈㅈㄷ신문을 읽을 적이든 ㄱ이나 ㅎ신문을 읽을 적이든 똑같아요. ㅈㅈㄷ신문만 속살을 파헤치듯이 읽을 일이 아닙니다. ㄱ이나 ㅎ신문도 속살을 제대로 파헤치면서 읽을 노릇입니다. “찍혀 있는 사진을 읽는 여러 방법 중 하나는, 사진이 보여주는 걸 보되 그 사진이 감추고 있는 게 무엇인지 추리하는 것이다(64쪽).”와 같은 말이 아니더라도, 신문이나 잡지 같은 매체에 나오는 사진은 무엇인가를 감춥니다. 아니, 감춘다기보다 추리소설을 쓴다고 해야 할 테지요. 추리소설을 쓰는 글과 사진이 넘치니, 신문 독자나 잡지 독자로서는 스스로 탐정이나 형사가 되어 꿍꿍이를 찾아내야 합니다.


  아무래도 오늘 이 나라는 살기에 재미가 없기 때문에 추리소설 같은 글과 사진이 넘칠는지 모릅니다. 참을 참 그대로 이야기하면 밋밋하거나 따분하니, 한 꺼풀을 씌우거나 두 꺼풀을 입히려 하는지 모릅니다. 저마다 계급과 신분과 학력과 돈과 이름값 따위를 앞세워서 잇속과 기득권을 거머쥐려 하니, 추리소설을 쓰지 않고서는 꿍꿍이를 감출 수 없는지 모릅니다. 어깨동무하려는 삶으로 나아가지 않고, 이웃을 밟고 올라서서 1등이 되려 하니, 기자도 작가도 추리소설 작가가 되어야 할는지 모릅니다.


  참말은 아주 쉽습니다. “전쟁은 산 것을 죽일 뿐, 그것이 누구의 삶인지, 어떠한 삶인지 가리지 않는다(147쪽).”와 같은 말처럼, 참말은 아주 쉽습니다. 전쟁은 산 것을 죽입니다. 게다가 전쟁은 죽은 것도 다시 죽입니다. 전쟁은 모두 다 죽입니다. 전쟁은 사람도 죽이고 풀과 나무도 죽입니다. 전쟁은 숲을 죽이고 지구별을 죽입니다. 전쟁은 사랑을 죽이고 꿈을 죽입니다.


  전쟁무기로는 평화를 찾지 못합니다. 전쟁무기는 전쟁을 하려는 무기이지, 평화를 누리려는 빛이 아닙니다. 전쟁무기는 이웃을 해코지하거나 괴롭히면서 밥그릇을 챙기려는 무기이지, 어깨동무하는 모둠살이로 나아가려는 웃음이 아닙니다. 이리하여, “‘안보의 이름으로 짓밟혀도 좋은 평화’란 성립 가능한 언어일까. 안보의 이름으로 찢겨도 좋은 ‘타인의 공동체’는 어디에 있는 걸까(194쪽).”와 같이 물을밖에 없습니다. 짓밟혀도 될 만한 평화란 없습니다. 밟혀도 되는 권리란 없습니다.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따야 하니, 연습이나 훈련을 할 적에 두들겨패도 되지 않습니다. 올림픽 경기에서 오직 금메달을 따도록 엘리트 체육선수 몇 사람만 엄청난 세금을 쏟아부어 키워야 하지 않습니다.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 맛을 보고자, 앳된 운동선수한테 갖은 욕설을 일삼거나 얼차려를 주어도 되지 않습니다.


  사진가 노순택 님은 “뉴델리의 거리에서 요청됐던 사진가의 윤리는 무엇이었을까. 자신의 죽음과 그 이유를 증언해 달라는 잠펠 예시의 호소를 전파하는 것이었을까, 눈앞의 불을 끄는 것이었을까(241쪽).” 하고 묻습니다. 사진길 걷는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하느냐고 묻습니다. 나는 이 물음을 받아 되묻고 싶습니다. 시골 흙일꾼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시골마을 논밭에 농약과 비료를 뿌려야 시골 흙일꾼이 될까요. 교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교과서에 적힌 대로 아이들을 대입시험지옥으로 내몰면 될까요. 아이를 낳은 어버이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때맞춰 예방주사를 놓고 때맞춰 유치원에 넣으며 때맞춰 영어를 가르치고 때맞춰 학원과 대학교에 집어넣도록 돈을 착착 벌면 될까요.


  사진가는 사진을 찍는 사람입니다. 사진가는 머리띠를 두르는 사람이 아닙니다. 사진가는 이쪽에 서지 않고 저쪽에 서지 않습니다. 사진가한테는 이쪽 저쪽이 없습니다. 사진가한테는 사진만 있습니다. 너무 마땅한 노릇입니다. 어버이한테는 무엇이 있을까요. 큰아이가 예쁠까요, 작은아이가 예쁠까요. 어버이는 두 아이를 놓고 누가 더 예쁘다 말할 수 있을까요? 아이는 두 어버이를 놓고 어머니가 좋은지 아버지가 좋은지 가를 수 있을까요? 어버이한테도 아이한테도 오직 한 가지만 있어요. 바로 사랑입니다.


  사진가한테 사진만 있는 까닭도 하나입니다. 사진가한테 있는 사진이란, 삶을 담는 사진이고, 사랑을 찍는 사진이며, 빛을 나누는 사진입니다. 사진가는 사진으로 삶과 사랑과 빛을 꿈꿉니다. 사진가는 사진으로 삶과 사랑과 빛을 노래합니다. 시골 흙일꾼은 흙 한 줌으로 삶과 사랑과 빛을 노래합니다. 교사는 교과서 아닌 ‘참사람’다운 모습으로 이끄는 넋을 들려주면서 삶과 사랑과 빛을 이야기해요.


  그나저나, 노순택 님은 머리띠를 두른 사진가이거나 활동가일까요. 아직 머리띠를 안 두른 사진가이거나 활동가일까요. 앞으로 머리띠를 두르고야 말 사진가이거나 활동가일까요. 아직 어느 길머리에 섰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사진가와 어버이와 참사람과 어른이라는 자리에 서서, 여기에 ‘한국사람’과 ‘서울사람’이라는 자리에 서서 이 나라를 바라봅니다. 노순택 님이 앞으로 걸어갈 길을 곰곰이 지켜봅니다. 4347.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