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식 님이 숨을 거두고 난 뒤 이 조그맣고 얇은 책 《다큐멘터리 사진을 말하다》를 읽었다. 책은 좀 일찌감치 장만했지만, 우리 집 한쪽 책상자에 그대로 둔 채 여러 달 삭혔다. 엊그제 아이들과 놀다가 등허리가 결려 자리에 모로 누운 채 이 책을 펼쳤다. 열뎌섯 가지로 간추린 최민식 님 사진넋이 흐른다. 최민식 님은 사진이론을 펼칠 적에도 글을 무척 길게 많이 쓰는데, 그 길고 많은 글 가운데 열여섯 가지 알짜를 추려서 묶은 《다큐멘터리 사진을 말하다》라고 할 만하구나 싶다. 사진을 좋아하는 젊은이한테 남기는 ‘짧은 사랑편지’라고 할까. 최민식 님이 밝힌 사진넋이 옳으냐 그르냐 하고 따지는 일은 부질없다. 즐겁게 읽고 사랑스레 느끼며 아름답게 삭히면 된다. 아무렴, 우리는 모두 “사진 ‘즐김이’”가 될 때에 빛난다. “삶 ‘즐김이’”가 되고 “노래 ‘즐김이’”가 되며, “사랑 ‘즐김이’”가 되어야지. 4347.2.7.쇠.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사진을 말하다- 최민식의 16가지 생각
최민식 글.사진 / 하다(HadA) / 2010년 7월
8,700원 → 7,830원(10%할인) / 마일리지 430원(5% 적립)
2014년 02월 07일에 저장
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경옥 님 만화책 《설희》를 표절한 일이 터진 뒤, 새삼스레 강경옥 님 만화책을 다시 읽는다. 곰곰이 돌아보니, 한동안 강경옥 님 만화책을 잊고 지냈구나 싶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만화를 얕보거나 푸대접하는 흐름을 새롭게 깨달으면서, 제대로 눈길과 사랑을 못 받은 우리 만화 문화를 찬찬히 되새긴다. 왜 두 사람일까? 왜 이런 일은 나한테 찾아올까? 왜 표절과 같은 일이 생길까? 왜 아름다운 삶으로 나아가지 못할까? 왜 전쟁은 자꾸 터지며, 왜 계급차별 학력차별 신분차별 재산차별 지역차별 같은 일은 그치지 않을까? 만화책 하나를 읽으면서 온갖 실타래를 떠올린다. 만화책 하나에서 우리 사회와 문화와 얼거리를 하나하나 읽는다. 나를 아끼는 두 사람이 있으면 얼마나 즐거울까. 내가 아끼는 두 사람이 있으면 얼마나 기쁠까. 나를 사랑하는 두 사람이 있으면 얼마나 따사로울까. 내가 사랑하는 두 사람이 있으면 얼마나 재미날까. ‘두 사람’이란 어떤 빛이 되는가를 생각한다. 4347.2.7.쇠.ㅎㄲㅅㄱ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두 사람이다 1
강경옥 지음 / 작은책방(해든아침) / 2007년 7월
7,500원 → 6,750원(10%할인) / 마일리지 370원(5% 적립)
2014년 02월 07일에 저장
절판
두 사람이다 세트 - 전3권
강경옥 지음 / 작은책방(해든아침) / 2007년 7월
22,500원 → 20,250원(10%할인) / 마일리지 1,120원(5% 적립)
2014년 02월 07일에 저장
절판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2014-02-07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나저나... <두 사람이다>를 낱권으로 사면 25퍼센트 에누리인데, 세 권을 함께 사면 50퍼센트 에누리. -_-;;;; 하마터면 낱권으로 살 뻔했다! 아니, 그래도 낱권으로 사야 했을까? 50퍼센트 에누리를 하려면 다 똑같이 하든지, 아니면 둘 다 25퍼센트 에누리를 하든지... 거참.... -_-
 

사진과 함께 33. 손빛을 살며시

 


  얇고 동그랗게 썬 무 한 조각을 한손에 들고는 소매를 척척 걷어붙인 매무새로 그림을 그리며 노는 일곱 살 아이를 바라봅니다. 그림을 그리는 손놀림이 얼마나 야무진가 하고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가끔 아이한테 물어 봅니다. “이 예쁜 아이야, 너는 어디에서 왔니?” 너도 이 지구별 사람이니? 아니면 다른 머나먼 별에서 지구별에 따숩고 살가운 사랑을 나누어 주려고 찾아온 사람이니?


  사진가 가운데 ‘일하는 사람’ 손을 사진으로 꾸준히 찍는 분들이 있습니다. 투박하고 거친 손을 사진에 담으면서 저마다 다 다른 사람들이 저마다 다 다른 빛을 선보이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리고, 갓난쟁이 손을 어른 손과 맞잡도록 하며 사진을 찍어, 사람들 삶이 흐르는 빛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아이를 낳는 어버이가 이녁 아이를 스무 해쯤 꾸준히 찍어, 갓 태어나서 자라는 동안 어떤 모습인가를 알뜰살뜰 그러모으곤 합니다. 이때에 흔히 얼굴빛을 사진으로 담습니다. 몸빛도 사진으로 담습니다. 그런데, 손빛을 사진으로 담는 사람은 좀 드물지 싶어요. 조그마한 손에서 차츰 커지는 손으로 달라지는 흐름을 찍는 사람은 퍽 드물지 싶어요. 손과 함께 발을 차근차근 담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꼭 어떤 대단한 작품을 만들자는 뜻으로 찍는 손빛이 되기보다는, 한 사람이 사랑을 받아 살아가는 결을 손빛에 실어서 보여준다면 무척 아름다우리라 생각해요. 둘레 사람들 손은 둘레 사람들 손대로, 내 손은 내 손대로, 여기에 아이들 손은 아이들 손대로 꾸준히 바라보면서 어루만지고 토닥이면서 사진 한 장으로 담아요.


  그림을 그리는 손빛을 담습니다. 밥을 먹는 손빛을 담습니다. 춤을 추는 손빛을 담습니다. 책을 쥔 손빛을 담습니다. 호미를 잡고 땅을 쪼는 손빛을 담습니다. 한겨울에 흙놀이를 하거나 눈놀이를 하는 손빛을 담습니다. 바닷가에서 물놀이를 하는 손빛을 담습니다. 나무를 쓰다듬고 조그마한 꽃송이를 아끼는 손빛을 담습니다. 할머니를 부르며 달려가서 품에 꼬옥 안기는 손빛을 담습니다. 자전거를 달리는 손빛을 담습니다. 혼자서 가방을 척 메고는 들마실 하는 손빛을 담습니다.


  얼마나 많은 손빛이 있는가 헤아립니다. 얼마나 깊고 너른 손빛이 그득한가 돌아봅니다. 내가 살아가는 손빛을 오늘부터 스무 해 동안 찍을 적에도 예쁜 이야기가 새삼스레 태어납니다. 4347.2.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 곁으로

 


  아이들이 자면서 크게 숨을 쉰다. 아이들을 재우고 나도 곯아떨어졌다가 깊은 밤에 문득 눈을 뜨고는 조용히 일어나 일을 하면서 아이들 숨소리를 듣는다. 깊은 밤이 아니라면 홀가분하게 일을 하기 어렵다. 아이들이 잘 적에 나도 아이들 사이에서 새근새근 자면서 틈틈이 이불깃 여미어 주면 훨씬 즐겁지만, 어버이로서 내 일감을 잘 다스리고 건사해야 집살림을 꾸릴 수 있다. 아이들한테 살짝 미안하지만 아이들이 잘 봐주리라 믿는다.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잠자리에서 나지막하게 읊는다. “아버지, 일 다 하고 올 거지?” 그럼, 일 다 마치고 너희 둘 사이에 누워서 토닥토닥 가슴 두들기고 이불깃도 여미어 주지. 아무렴. 일하는 틈틈이 이불깃 여미어 주기도 하잖니. 뽀뽀도 하고. 어제 하루는 고흥에 모처럼 눈송이 쌓여서 즐겁게 놀았지? 꿈속에서도 눈놀이를 즐기렴. 4347.2.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빠 육아일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4-02-07 05:35   좋아요 0 | URL
아이가 그새 많이 컸네요..~~^^

숲노래 2014-02-07 09:23   좋아요 0 | URL
날마다 무럭무럭 새록새록 자랍니다~~
 

만화가와 방송작가 (강경옥 님 《설희》 표절을 생각한다)

 


  만화가 강경옥 님 작품 가운데 하나인 《설희》와 얽힌 말썽거리를 이야기하면, 내 이야기를 듣는 이웃이 으레 한 마디를 한다. ‘방송작가를 낮추어 보느냐?’ 하고.


  그럴 까닭이 있나. 방송작가를 낮추어 보아야 할 까닭이 없다. 다만, 나는 집에 텔레비전을 들이지 않고 살아왔다. 스무 살에 제금내어 마흔 살에 이른 오늘까지 우리 집에는 텔레비전이 없다. 텔레비전이 없으니 연속극이나 이런저런 방송을 하나도 안 본다. 방송에 나오는 배우나 연예인이나 가수 이름을 거의 다 모른다. 서태지와 정태춘과 안치환을 끝으로 음반을 더는 사지 않았고, 군대에서 S.E.S를 처음 보았고, 전역하고서 핑클을 보았다. 방송에서 흐르는 노래는 늘 모르는 채 살아간다.


  텔레비전이 없고 방송을 들여다보는 일이 없으니, 방송작가라는 사람을 하나도 모르는 채 살아왔을 뿐이다. 방송작가가 어떤 글을 쓰고 어떻게 글을 쓰는지 하나도 모른다. 다만, 방송작가도 똑같이 ‘글꾼’이요 ‘글쟁이’이며 ‘글빛’을 가꾸는 사람인 줄 안다.


  만화를 좋아하거나 즐겨읽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만화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다. 만화책을 손수 장만해서 읽는 사람이 아니라면 만화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다. 따지고 보면, 사진을 좋아하는 분이라 하더라도 사진 이야기를 잘 나누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사진을 좋아한다’고 말하면서 ‘사진책을 사지 않는 사람’하고는 사진 이야기를 나누다가 지친다. ‘사진을 좋아한다’는 말은 ‘내가 찍는 사진만 좋아한다’인가, 아니면 ‘내가 찍는 사진뿐 아니라 이웃들이 찍는 사진을 함께 좋아한다’인가 궁금하다.


  ‘책을 좋아한다’는 말도 그렇지. ‘책을 좋아한다’는 말은 ‘내가 읽는 책만 좋아한다’인가, 아니면 ‘내가 읽는 책뿐 아니라 이웃들이 읽는 책을 함께 좋아한다’인가 궁금하다. 곧, 만화책을 안 읽더라도 만화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어떤 마음인가를 함께 읽고 느끼면서 나눌 수 있는지 궁금하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 가운데 아이한테 만화책을 사서 읽히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한국에서는 ‘대입시험을 바라며 입시교육 지식을 집어넣어 주는 학습만화’라고 하는 ‘만화라 할 수 없는 학습지’를 만화인 듯 잘못 알고 ‘학습만화’만 사 주는 어버이는 대단히 많다. 학습만화는 책마을에서 되게 크다. 돈벌이가 무척 쏠쏠하다. 지난날, 그러니까 내가 스무 살 밑이던 푸름이와 어린이일 적에는 학습만화가 거의 없었고, 그무렵에는 ‘그냥 만화’만 있었다. 이리하여, 그무렵 아이들은 ‘만화’를 즐겼고, 그무렵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만화를 그려서 베풀어 주었다. 이와 달리, 오늘날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만화를 그려서 베풀지 않고 ‘학습만화’를 그려서 돈벌이를 하는 한편, 아이들을 입시지옥으로 내모는 몫을 맡기까지 한다.


  한국 사회에서 만화 한길을 서른 해쯤 걷기란 참 팍팍하고 고달프다 할 만하다. 학습만화를 안 그리면서 만화로 밥벌이를 하기란 얼마나 벅찰는지 돌아볼 만하다. 게다가, 만화가로 이름을 제법 얻은 뒤 대학교수 노릇을 안 한다면, 만화 한길을 서른 해 씩씩하게 걸어가며 예나 이제나 즐겁게 ‘창작’을 한다면, 이러한 만화가는 만화가일 뿐 아니라 ‘장인’이라는 이름을 얻을 만하리라 생각한다.


  만화책 《설희》와 얽힌 일을 지켜보면서 생각한다. 이번 일은 ‘만화책 표절’로 그치지 않는다고 느낀다. 이 나라에서 만화가 문화요 예술이며 삶이고 사랑이 되도록 아름답게 한길을 걸어온 사람 뒷통수를 후려치는 일이라고 느낀다. 방송작가를 낮추어 보면서 하는 말이 아니다. 다른 만화가가 《설희》를 표절했어도 나는 똑같이 말하리라. 다른 소설가가 《설희》를 표절했어도 나는 똑같이 말하리라.


  만화 작품을 함부로 표절해서 연속극을 찍는 일이란 얼마나 바보스러운가. 만화를 우습게 여기면서 만화 작품을 표절하는 짓이란 얼마나 스스로 바보가 되는 길인가. 그네들이 우습게 여기는 만화이면서, 왜 만화를 표절하지?


  우습게 여기니까 만화를 표절한다고 느끼지 않는다. 그네들 스스로 우스운 사람이기 때문에 만화를 함부로 표절하는구나 싶다.


  사진가 마이클 케냐 님은 이녁 사진을 표절한 한국 사진작가를 보며 ‘무척 슬프다’고 말했다. 이녁 사진을 보면서 솔섬을 아름답게 찍으려고 애쓴 수많은 ‘사진 즐김이’를 볼 적에는 ‘무척 기쁘다’고 말했지만, 표절한 사진작가한테는 ‘무척 슬프다’고 말한다.


  나도 이런 마음이다. 표절한 사람을 볼 적에는 무척 슬프다. 나 또한 사진작가로 일하기에 느끼는데, 내 사진을 표절한 누군가를 보면 참 슬프다. 내 사진을 보면서 헌책방이라는 곳에서 아름다운 빛을 담아내는 사진을 찍는 이웃을 만나면 무척 기쁘다. 배움과 표절은 똑같거나 다르다. 배움과 표절은 똑같이 바라보면서도 다른 마음이다. 배움이란 즐거우면서 고맙게 함께 살아가는 이웃으로 여기는 마음이다. 표절이란 이웃을 따돌리거나 괴롭히거나 못살게 굴거나 들볶거나 짓밟으면서 스스로 바보가 되는 마음이다.


  방송작가들이 만화가들을 괴롭히는 일이란, 방송작가 스스로 바보스러운 길로 접어드는 일이 될 뿐이다. 왜 손을 내밀어 어깨동무를 하지 못하는가? 왜 빙그레 웃음을 지으면서 얼싸안으려 하지 못하는가?


  나는 〈겨울왕국〉이라는 만화영화를 보지 못했지만(시골에는 극장이 없으니까), 이 영화를 본 어느 분이 말하기를, 영화 끝자락에 《눈의 여왕》에서 ‘모티브’를 얻어 새롭게 만든 작품이라고 밝히는 자막이 나온다고 한다. 그래, 만화책 《설희》에서 ‘클리셰’를 얻어 만든 연속극이라고 밝히는 일이 부끄러울까? 하나도 안 부끄럽다. 자랑이 되면 자랑이 되지, 부끄러울 까닭이 없다. 우리는 모두 배우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광해군일기’에서 모티브를 얻었으면 부끄러운가? 안 부끄럽다. 스스로 새로운 작품으로 창조하겠다는 마음이 있으면 된다.


  이 땅에서 태어나는 모든 작품은 ‘배움’으로 태어난다. 배우면서 새로운 작품을 빚을 수 있다. 배우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이 만든 것을 훔친다면, 이는 ‘표절’이 될 뿐이고, 표절이란 도둑질이다. 표절을 하는 사람은 앞으로도 새롭게 ‘내 작품 만들기’를 하지 못한다.


  만화가도 방송작가도 모두 즐겁게 창작할 수 있기를 빈다. 만화가도 방송작가도 서로를 아끼고 섬길 뿐 아니라 사랑하고 보살피면서 새로운 작품을 아름답게 창작할 수 있기를 빈다.


  배우는 사람은 늘 ‘고맙다’고 말한다. 배운 사람은 늘 ‘사랑한다’고 말한다. 훔치는 사람은 언제나 아무 말이 없다. 훔친 사람은 언제나 아무 소리가 없다. 4347.2.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