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90) 동그라미를 그리다


 동그라미 → 그리다

 빗금 → 치다

 줄(밑줄)·금 → 긋다

 점 → 찍다



  한국말사전에서 ‘치다’를 찾아보면 “붓이나 연필 따위로 점을 찍거나 선이나 그림을 그리다”로 풀이를 합니다. 한국말사전 보기글을 살피면 “밑줄을 치다”와 “동그라미를 치다”와 “사군자를 치다”와 “가위표를 치다”가 함께 나옵니다. ‘긋다’라는 낱말은 “금이나 줄을 그리다”로 풀이하고, ‘그리다’라는 낱말은 “연필, 붓 따위로 어떤 사물의 모양을 그와 닮게 선이나 색으로 나타내다”로 풀이합니다. 세 낱말이 어떤 뜻인지 찾아보면서 고개를 갸우뚱할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치다 = 그리다’이고, ‘긋다 = 그리다’인 셈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뜻과 쓰임새가 같다면, 세 낱말을 굳이 다른 모습으로 드러내어 쓸 까닭이 없다고 할 만합니다.


  우리가 한국사람이라면 한국말을 옳고 바르게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점을 찍다”라 하고, “줄(밑줄)을 긋다”와 “금을 긋다”라 하며, “빗금을 치다”라 하고, “동그라미를 그리다”라 해야 올바릅니다. 점을 종이에 나타내려면 연필이나 붓을 쥐고 가만히 눌러 줍니다. 그래서 이 몸짓을 ‘찍다’라고 합니다. 줄이나 금은 어느 한 곳(점)에서 다른 한 곳(점)으로 이어지도록 하면서 나타납니다. 그래서 이러한 몸짓은 ‘긋다’라는 낱말로 나타냅니다. 붓에 먹을 묻혀서 난잎을 담으려 할 적에도 어느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이어지도록 죽 ‘긋는다’고 할 테지만, “난을 친다”처럼 ‘치다’라는 낱말을 씁니다. 왜냐하면, 이때에는 붓을 가볍게 튕기듯이 다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빗금도 ‘치다’라는 낱말로만 나타내요. 시험종이에서 맞고 틀린 문제를 가르면서 재빠르게 튕기듯이 동그라미를 나타내려 한다면, 이때에는 “동그라미를 치다”라 할 수 있을 테지요. 다만, 이때가 아닌 다른 자리에서는 동그라미는 모두 ‘그리다’라는 낱말로 나타내야 올바릅니다. ‘그리다’는 어떤 모습이 나타나도록 하는 몸짓을 가리키니까요.


 표시(표) → 하다

 가위표 → 하다


  때로는 한자말 ‘표시·표’를 쓸 수 있는데, 이때에는 “표시(표)를 하다”처럼 씁니다. 한국말사전에서는 “가위표를 치다” 같은 보기글을 싣지만, ‘가위표’는 금을 둘 엇갈라 놓은 모습입니다. 금을 둘 엇가를 적에는 ‘표시(표)’와 같으니, 이때에는 “가위표를 하다”라 말해야 올바릅니다. 이리하여, 우리가 쓰는 낱말은 때와 곳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이를 제대로 살펴서 제대로 쓸 줄 알아야겠습니다. 한국말사전 말풀이도 하루 빨리 바로잡아야겠습니다.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손끝에서 태어나는



  손끝에서 글이 태어난다. 손끝이 아니라면 글이 태어나지 않는다. 손끝에서 밥이 솔솔 익는다. 손끝으로 지은 밥이 따끈따끈하게 익어 맛나게 먹을 수 있다. 손끝에서 싹이 돋는다. 손끝으로 심은 씨앗이 싱그럽게 줄기와 잎을 올리면서 햇볕을 받으니 어느새 씩씩하게 자라서 아름다운 풀이 되고 나무가 되어 고운 꽃을 피워 알찬 열매로 무르익는다.


  모든 삶은 손끝에서 비롯한다. 손끝을 거치지 않고 태어나는 것은 없다. 사랑도 이야기도 노래도 춤도 모두 손끝에서 비롯한다. 하물며 글이 손끝을 거치지 않고 태어날 수 있으랴.


  손끝에 닿는 물방울을 느끼면서 빨래를 한다. 손끝에 닿는 아이들 살결을 어루만지면서 이마를 쓰다듬고 자장노래를 부른다. 손끝에 닿는 바람결을 마시면서 기쁘게 노래를 하고 들길을 걷는다. 손끝에 닿는 연필을 가만히 헤아리면서 내가 짓는 꿈이 어떤 생각으로 나타나서 마음자리에 깃드는가를 돌아보니, 어느새 글 한 줄 두 줄 석 줄 흐른다.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편지 쓰고 나들이



  고흥집에 보일러 기름을 넣도록 도와주려는 이웃님이 여럿 계시다. 이분들이 장만해 주시는 내 책을 도서관에 가서 봉투로 꾸리려 한다. 도서관으로 가기 앞서 먼저 그림엽서에 편지를 쓴다. 연필을 손에 쥐고 천천히 글을 쓴다. 이제 그림엽서 편지를 마무리짓는다. 아이들한테 아침을 먹이고 자전거를 몰아서 면소재지 우체국까지 다녀와야지. 이러고 나서 면소재지 기름집으로 가서 기름 이백 리터를 사들여야지. 오늘은 두 아이를 씻길 수 있겠네.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구별에 온 손님 그림책 보물창고 5
모디캐이 저스타인 글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481



슬기롭게 생각해야 삶을 짓는다

― 지구별에 온 손님

 모디캐이 저스타인 글·그림

 신형건 옮김

 보물창고 펴냄, 2005.5.10.



  모디캐이 저스타인 님이 빚은 그림책 《지구별에 온 손님》(보물창고,2005)은 우리가 이 지구별에 어떻게 다시 태어나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넌지시 보여줍니다. 나한테 찾아온 삶을 어떻게 누릴 때에 즐거우면서, 이 삶을 마친 뒤 죽음에 이를 적에 내 ‘다음 삶’을 어떻게 그려야 다시 지구별로 돌아와서 태어날 수 있느냐 하는 대목을 보여줍니다.


  사람이 죽고 나서 다시 태어나는지 안 태어나는지 궁금할 수 있고, 안 궁금할 수 있습니다. 죽고 나서 다시 안 태어난다고 여길 수 있을 테고, 죽고 난 뒤에 틀림없이 다시 태어난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든 다 옳습니다. 다만, 삶을 누리는 동안에는 늘 삶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하고, 삶을 마친 뒤에는 죽음을 어떻게 맞이하려는가 하는 대목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아이는 밤마다 하늘을 쳐다보곤 했어요. 밤하늘엔 별들이 반짝이고 어디론가 은하수가 흘렀어요. “저 너머엔 무언가 다른 세상이 있을 거야. 언젠가 꼭 한번 가 봐야지.” 아이는 혼잣말로 중얼거리곤 했어요 ..  (4쪽)




  그림책 《지구별에 온 손님》에 나오는 나무꾼은 ‘나무꾼으로 살면서 키운 꿈’이 있습니다. 아마 이 나무꾼은 이 꿈을 이루려고 ‘다시 태어났’을 텐데, 스스로 꿈으로 나아가지 못한 채, 그저 ‘일만 하느’라 바쁘게 하루하루 보내다가 죽음으로 들어섭니다. 그러니까, 어떤 꿈을 이루려고 다시 태어났지만, 막상 다시 태어났어도 스스로 꿈을 이루지 못해요. 이리하여, 죽은 뒤 찾아온 새로운 누리에서 처음부터 모든 것을 살펴서 고릅니다. 어느 별누리로 갈는지, 별누리 가운데 어느 별에 깃들는지, 별에서 어떤 목숨으로 깃들는지, 별에서 어떤 목숨으로 깃들되 어느 터전에서 어느 어버이를 만나려는지, 어느 어버이를 만나서 어떤 삶을 누리려 하는지, 하나하나 낱낱이 새로 살펴서 고릅니다.


  이 그림책에서는 ‘죽고 난 뒤에 다시 고르는 자리’가 있다고 나오지만, 죽기 앞서 이 모든 ‘다음 삶 이야기’를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죽고 난 뒤에는 그저 텅 빈 곳을 떠도는 넋이 되리라 느낍니다.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데, 어떤 삶이 있겠습니까. 그러니까, 스스로 생각하면서 가꾸는 삶이 아니라면 ‘살아서 움직일’ 때에도 내 꿈과 뜻을 이루지 못하는 쳇바퀴입니다. 삶을 마감하고 죽음으로 나아갈 적에도 아주 마땅히 ‘살아서 움직일’ 때 모습 그대로 갑니다. 여느 때에 생각이 없이 지냈으면, 죽은 뒤에도 생각이 없겠지요. 죽은 뒤에도 생각이 없으면, 이러한 사람은 아무것도 될 수 없습니다.



.. 나무꾼의 눈앞에 우주 전체가 펼쳐져 있었어요. 우주는 새해 전날의 불꽃놀이처럼 눈부시게 반짝이며 소용돌이치고 있었지요. “이 우주에는 은하계라 불리는 수억 개의 세상이 있느니라. 은하계들은 저마다 다르게 생겼고 모두들 아름답지. 어느 은하계든 네가 살고 싶은 곳을 골라 보아라.” ..  (10쪽)




  그림책을 곰곰이 읽으면, 나무꾼으로 늙다가 죽은 사람은 늙으면서, 또 죽으면서, 이 삶에서 미처 이루지 못한 꿈을 돌아보았습니다. 스스로 돌아보았지요. 이러고 나서 죽었어요. 그러니까, 그림책에 나오는 나무꾼 할배는 죽음을 앞두고 ‘다음 삶’을 그린 셈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나 스스로 돌아볼 노릇이에요. 오늘 이곳에서 살며 우리는 무엇을 그릴까요? 오늘 이곳에서 우리는 어떤 삶을 지으려 하나요? ‘다음 삶’은커녕 ‘오늘 이곳 삶’조차 하나도 안 그리면서 아침을 열지는 않나요? 오늘 하루도 늘 똑같이 쳇바퀴를 돌아야 하는 수많은 일을 해야 한다는 따분함과 고단함과 힘겨움만 잔뜩 끌어들이지는 않나요?


  나 스스로 아침부터 고단하거나 따분하거나 힘겹다고 생각하니, 참말 이 생각 그대로 아침부터 저녁까지 고단하거나 따분하거나 힘겨운 쳇바퀴를 돌아야 하지 않나요?



.. “나처럼 되세요! 그럼, 얼마나 신나겠어요! 얼마나 아름답겠어요!” 생물들이 나무꾼을 향해 소리쳤어요 ..  (16쪽)




  생각이 삶을 바꿉니다. 기쁘게 스스로 짓는 생각이 내 삶을 스스로 기쁘게 바꿉니다. 남이 바꾸어 주는 내 삶이 아닙니다. 나 스스로 바꾸는 내 삶입니다. 남한테 기댄들 남은 나한테 아무것도 도와줄 수 없습니다. 생각해 보셔요. 내가 먹을 밥을 남이 먹어 준들, 내 배가 부를 수 없습니다. 내가 읽을 책이 남이 읽어 준들, 내 마음이 넉넉할 수 없습니다.


  내 밥은 내가 손수 지어서 내가 수저를 들어서 먹어야 합니다. 내 책은 내가 손수 골라서 내가 신나게 읽어야 합니다.


  내 삶은 내가 지어야 합니다. 하늘에서 돈다발이 툭 하고 떨어져야 내 삶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내 삶을 바꾸려 하는 마음을 생각으로 키워야 비로소 내 삶을 바꿉니다.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 스스로 쳇바퀴를 돌고, 스스로 모든 것을 하겠노라 생각을 키우기에 스스로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



.. “얘야, 이리 오렴! 어서 우리 아이가 되렴!” 그때 나무꾼은 자신의 마음을 울리는 한 아버지의 미소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마음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어루만지는 한 어머니의 미소도 보았습니다. “바로 저분들이 나의 부모님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22쪽)



  슬기롭게 생각해야 삶을 짓습니다. 생각을 해야 삶을 짓지는 않습니다. 아니, 생각만 해서는 삶을 짓지 못합니다. 바보스레 생각하거나 멍청하게 생각할 때에는 삶을 바보스럽거나 멍청하게 지어요. 그러니, 생각을 하더라도 슬기롭게 생각해야 합니다.


  아름다움을 생각하고 사랑스러움을 생각할 노릇입니다. 내가 누를 아름다움을 가만히 생각하면서, 내가 나아갈 사랑스러움을 생각해야 합니다. 이때에 바로 내 앞길이 환하게 열립니다. 내가 여는 내 앞길이지요.


  그림책 《지구별에 온 손님》은 우리 모두가 저마다 ‘지구별 손님’인 대목을 밝힙니다. 맞아요. 우리는 지구별에 온 손님입니다. 우리는 모두 다 다른 별에서 지구별로 온 손님입니다. 이 지구별에서 사랑과 평화와 꿈을 이루려고 모인 손님입니다. 그래서, 다 다른 나라와 겨레를 이루고, 다 다른 삶을 지으면서, 다 다른 사랑을 노래하지요.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들보라는 웃음보따리



  산들보라가 웃는다. 그림을 하나 그리고 나서 웃는다. 이리 해도 웃고 저리 해도 웃는다. 버스에서 오랫동안 시달렸어도 웃고, 할머니와 삼촌을 만나면서도 웃는다. 밥을 먹으면서 웃고, 놀면서 웃는다. 자다가도 꿈에서 재미난 일이 있는지 웃는다. 언제나 웃음이 터져나오는 보따리가 마음속에 있겠지. 너도 나도 우리 모두 웃음보따리를 안고 살 테지.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