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131. 슬픈 사진과 기쁜 사진



  사건이나 사고를 다룬다고 하는 보도사진이나 다큐사진은 으레 ‘충격(衝擊)’이 될 만한 사진으로 가려 합니다. ‘충격’은 “슬픈 일이나 뜻밖의 사건 따위로 마음에 받은 심한 자극이나 영향”이라고 합니다. ‘마음을 크게 움직이도록 이끄는’ 일이 ‘충격’이라는 소리입니다. 그러니까, 사건이나 사고를 크게 알아보거나 알아채도록 이끌어서 사람들이 움직이도록 보여주는 사진이, 어느 모로 본다면, 보도사진이나 다큐사진이라 할 만합니다.


  신문이라든지 다큐멘터리를 보면, 으레 이런 사진을 넣으려고 몹시 애씁니다. 사람들 눈이 휘둥그레질 만한 사진을 찍어야 한다고 여기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그러면, 사람들 눈이 휘둥그레질 만한 모습을 찍기에 ‘놀라운’ 사진이거나 ‘훌륭한’ 사진이거나 ‘뜻있는’ 사진이 될까 궁금합니다. 사람들은 왜 ‘말’로 할 적에는 안 믿다가 ‘사진’으로 보여줄 적에는 믿는다고 할까요? 말로만 하면 거짓이라고 여길까요? 사진으로는 거짓을 꾸미지 않을까요? 무슨 일을 하다가 찍혔는지 ‘말’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사진을 들여다보는 사람이 잘못 생각할 수 있으며,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이 엉뚱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땅바닥에 구부정하고 앉아서 몸을 폭 숙인 아이는, 배고파서 이리 있을 수 있으나, 다리가 아파서 이리 있을 수 있고, 졸려서 이리 있을 수 있으며, 놀이 삼아 이리 있을 수 있고, 그냥 이리 있을 수 있으며, 땅바닥을 기는 작은 벌레를 보려고 이리 있을 수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지레 생각할 수 없습니다. 바로 그 자리에 스스로 가서 지켜보지 않았다면, 어느 누구도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밝힐 수 없습니다. 쪼그려앉아서 땅바닥을 바라보며 몸을 폭 숙인 아이 뒤에 커다란 독수리가 한 마리 있다면, 이러한 모습을 찍은 사진을 놓고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하겠는데,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을까요?


  사진은 어느 한 가지 모습을 빌어서 온 삶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진은 어느 한 가지 모습을 잘라서 그저 어느 한 가지 모습만 어렴풋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참과 거짓은 그야말로 종이 한 장 사이라 할 만합니다. 숨바꼭질 놀이를 하는데 내 뒤에 독수리가 사뿐히 날아와서 앉아서 쥐를 한 마리 잡아챈 뒤 다시 날아오를 수 있어요. 그저 그뿐입니다. 그러나 ‘그 사진을 찍은 그곳’에 있지 않은 우리들은 그저 ‘사진에 나온, 딱 한 가지로만 잘린 모습’을 보면서 ‘이 사진에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 풀어내야’ 합니다.


  슬픈 사진과 기쁜 사진은 따로 없습니다. 놀라운 사진과 안 놀라운 사진은 따로 없습니다. 모두 이야기를 담은 사진일 뿐입니다.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사진을 찍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려고 사진 한 장을 보여줍니다. 이야기를 열려고 말 한 마디를 먼저 꺼냅니다. ‘말’로 했을 때에 마음을 연다면, ‘사진’을 보여줄 때에도 마음을 엽니다. ‘충격’스럽다는 사진이 있어야만 믿는 사람이라면, 무엇을 믿는 셈일까요? ‘충격’을 믿는 셈일까요, 사건이나 사고를 믿는 셈일까요, 사진을 믿는 셈일까요, 아니면 ‘사진 찍은 사람이 하는 말’을 믿는 셈일까요? 4348.2.27.쇠.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름벼리는 힘순이



  잘려 넘어진 큰나무를 본 사름벼리가 문득 이 나무를 들고 싶다. 몽당 나뭇가지를 하나씩 단단히 붙잡고 영차 하고 든다. 어느 만큼 들어서 올리지만 옮기거나 끌지는 못한다. 어때. 들을 만하니. 힘을 더 키우고 무럭무럭 자라면 네 어깨에 이 나무를 얹고 씩씩하게 나를 수도 있지. 4348.2.27.쇠.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아이 128. 헤치며 걷는다 (15.2.22.)



  우리 도서관으로 들어서는 뒷길이 있다. 예전에는 학교였으니 앞문과 뒷문이 따로 있다. 뒷문은 계단을 밟고 들어서는 길인데, 계단 둘레는 여름 내내 온통 풀밭이었다가 가을이 지나 겨울이 되면 짚밭이 된다. 풀이든 짚이든 즐겁게 밟으면서 헤치면 된다. 풀밭일 적에는 풀내음을 맡고, 짚밭일 적에는 짚소리를 들으면서 걸으면 된다. 그저 한 발씩 내딛고 다시 내딛으면 어느새 짚밭도 풀밭도 다 끝나지. 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로 읽는 책 194] 빨래



  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하루에도 열 차례 스무 차례

  신나는 빨래놀이



  즐겁게 하는 사람은 지치지 않습니다. 즐겁게 노는 아이는 놀이를 한대서 지치지 않습니다. 즐겁게 일하는 어른은 힘을 아주 많이 쓰는 일을 한대서 지치지 않습니다. 즐겁게 하지 않으면 아주 힘들고 지치지만, 노래하고 웃으면서 하면 새롭게 이야기가 솟는 일이에요. 갓난쟁이를 돌보며 기저귀를 갈자면 하루에 스무 차례쯤 빨래를 해야 하는 날이 있고, 어느 날에는 이불만 석 채를 빨아야 하는데, 이렇게 빨래를 하고 저렇게 빨래를 하면서, 날 좋네 온몸 골고루 쓰네 새롭게 기운을 더 내네 하고 노래하면서 아기 볼볼 살살 어루만질 수 있습니다. 4348.2.27.쇠.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들보라는 흙신 되어 무릎 걷기



  산들보라는 웅덩이가 있으면 첨벙 밟는다. 산들보라는 진창길이 있으면 신나게 밟는다. 이리하여 산들보라는 양말이나 신이 자주 젖는다. 집에서라면 신을 갈아 신길 수 있으나 바깥이라면 그냥 신을밖에 없다. 신에 진흙이 잔뜩 묻으니 산들보라는 바지를 걷는다. 진흙이 바지에는 묻었어도 바지에는 안 묻기를 바라나 보다. 재미있네. 4348.2.27.쇠.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