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배려 2023.7.22.



여름이라면

푹푹 찌는 더운바람을

겨울이니까

꽝꽝 추운 얼음바람을


처음이라면

알기 쉽게 살림말을

익숙하니까

마음 지을 숲빛글을


너를 바라보는 마음이

나를 마주하는 눈으로

서로 기울이는 생각이

함께 나아가는 노래로


돌보고 돌아보면서 동무

보듬고 살펴보면서 이웃

가꾸고 헤아리면서 함께

일구고 토닥이면서 같이


ㅅㄴㄹ


눈을 기울이니 마음을 기울입니다. 눈이 가니 마음이 갑니다. 눈으로 돌아볼 줄 알기에, 마음으로 돌아볼 수 있어요. 그리고, 눈이 아닌 마음으로 오롯이 다가가면서 사랑으로 포근히 품게 마련입니다. 겉으로만 보려 하면 겉모습에 얽매이고, 속으로 스미려 하기에 마음빛을 알아차려요.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고 마음을 쓰는” 일을 ‘배려(配慮)’라는 한자말로 나타내는데, 우리말로는 ‘마음쓰기’입니다. 마음을 따뜻하게 쓸 줄 알기에 ‘마음빛’이 밝고, 마음을 넉넉하게 쓰려 하기에 ‘마음그릇’이 깊어요. 혼자 움켜쥐려 하니 ‘마음밭’이 얕고, 두루 나누려 하니 ‘마음꽃’이 활짝 피어요. 어떤 하루를 그리는지 생각해 봐요. 우리 마음을 어떻게 가다듬으면서 펴려 하는지 곰곰이 헤아려 봐요. 돌아볼 줄 알면서 마음이 그윽합니다. 살펴볼 줄 알면서 마음이 가득합니다. 헤아리거나 토닥일 줄 알면서 마음이 넓어요. 마음은 바다 같기에 끝없이 길어올릴 만하고, 마음은 바람 같아서 가없이 푸르면서 맑아요. 이 마음을 눈빛에 실어서 띄웁니다. 이 마음을 손길에 담아서 내밉니다. 이 마음을 노래로 얹어 들려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 치료 2023.6.22.



풀이 없는 곳은

숨결이 싹트지 않기에

메마르고 비틀거리다가

온통 죽어가는 진구렁


풀에 나무에 벌레에

새에 나비에 개구리에

비구름 흐르는 곳은

스스로 살리는 숲터


고픈 배를 풀어주는 나물

아픈 몸을 풀어내는 들풀

시든 땅을 푸르게 덮으며

모든 빛을 일으키는 풀꽃


빗물 머금은 풀잎 맑고

햇빛 담은 풀포기 밝고

바람 품은 풀은 새롭고

별빛 보는 풀마다 곱고


아픈 데가 있으면 부드러이 다스릴 노릇입니다. 앓아누운 사람은 따뜻하거나 포근하게 달래면서 북돋아야 훌훌 털고서 일어날 수 있어요. ‘치료(治療)’는 “다스려서 낫게 하다”를 뜻한다지요. 우리말로 하자면 ‘다스리다’요, ‘다루다’입니다. ‘다독이다’이고, ‘달래다’입니다. 찬찬히 가기에 ‘다가가다’이고, 부드러이 서기에 ‘다가서다’입니다. 억지로 다그치면 고단하고 힘겨워요. 마구 닦달하면, 다 낫다가도 다시 아플 테지요. 햇빛을 담으면서 달랩니다. 별빛을 닮듯 다독입니다. 푸르게 우거진 숲에서 피어나는 푸른 숨결로 다가가듯 마음을 다하여 품습니다. 느긋하게 돌아보면서 낫습니다. 넉넉하게 보살피면서 씻어내요. 빗물이 맑고 가볍게 내리면서 온누리를 달래듯, 아픈 이웃과 동무와 한집안을 가만가만 맑고 밝은 마음으로 쓰다듬습니다. 풀꽃이 들과 숲을 살짝살짝 덮으면서 환하게 보듬듯, 앓는 사람이 스스로 일어서도록 나긋나긋 돕고 어깨를 겯습니다. 든든하게 가꿉니다. 튼튼하게 일굽니다. 말끔하게 몸을 추스르는 누구나 즐겁게 노래하고 이야기를 하는 이곳은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온난화 2023.12.11.달.



집이라는 곳은 따뜻하게 쉬고 포근하게 품는 마음이 흘러야겠지. 안 따뜻하다면 괴롭잖아. 너희가 사는 별은 너희한테는 커다란 집이야. 너희 넋으로서는 너희 몸이 ‘옷’이나 ‘집’이지. 몸을 누이는 집이 있고, 이 집을 품는 숲과 마을이 있어. 그리고 숲과 마을을 별이 넉넉히 품는단다. 별은 너른누리(우주)가 새롭게 품는데, 너른누리도 또다른 온누리(대우주)가 품지. 이 모든 곳은 씨앗 한 톨이 새록새록 품어. 씨앗 한 톨에는 온누리가 다 들어가고도 남는단다. 모든 다른 누리는 크기로 보거나 따지지 않거든. 요즈막에 너희는 ‘달군다(온난화)’고 하더구나. 겨울이 안 춥고, ‘늘얼음’이 자꾸 녹는다고 하던데, 좀 얄궂지 않아? 부릉부릉 몰잖아? 부릉길(찻길)을 자꾸 늘리잖아? 흙집이 아닌 잿집(아파트·시멘트집)에서 살잖아? 끝없이 그림(영상·영화·방송)을 찍어대잖아? 날개(비행기)는 또 얼마나 많이들 타니? 들숲을 파헤쳐서 ‘관광지·체육관’을 또또 세우잖아? 다 너희가 벌인 짓 탓인데, 너희 ‘서울살이(도시문명)’는 더 키우면서 말만 시끄럽더구나. 온통 쓰레기밭인 별을 치우려면 겨울이 따뜻해야 해. 모기와 파리가 겨울에도 일해야 하거든. 서울이라면 바퀴벌레가 겨우내 몹시 애써야겠지. 예전에는 겨울이면 이 아이들이 포근히 자면 되었는데, 이제는 겨울에도 ‘치움일’을 해야 하니까, 파리모기에 개미에 숱한 벌레가 겨우내 못 쉬면서 바쁘단다. 그러니 ‘재우는 겨울눈’이 아닌 ‘씻고 치우는 겨울비’가 내려. 부디 하늘땅을 읽고 사랑하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작은학교 2023.12.10.해.



배우는 곳은 커야 할까? 아니면 작아야 할까? 곰곰이 생각해 보겠니? ‘작은배움터’여야 할는지 ‘큰배움터’여야 할는지 네 마음을 가누어 보렴. 네가 사는 푸른별은 더 커야 하니? 더 작아도 되겠니? 너희 집은 커야겠니? 좀 작아야 좋겠니? 돈은 많이 벌어야겠니? 적게 벌거나 안 벌어도 되겠니? “배우는 터전”이라는 ‘배움터’라면, 크든 작든 배우는 터전으로 알차고 알뜰하고 아름다울 노릇이야. 살림터도 일터도 놀이터도 같아. 살림을 하고, 일을 하고, 놀이를 하는 즐겁고 아늑하고 넉넉한 터여야겠지. 배울 터전으로는 제구실을 않고서, 크기만 따진다면, 얼마나 어리석고 엉성할까? 배우고 나누는 길을 헤아리기보다, 크기를 더 들여다보면, 처음부터 엇나가겠지. 어린이는 빨리 자라야 하지 않아. 어린이가 껑충 커야 하지 않아. 더 많이 알아야 하지 않아. 살림짓기하고는 멀면서, 사랑짓기하고는 등지면, 이런 매무새로 아무리 많이 배운들 머릿속은 어지럽고 ‘안 아름다운’ 수렁으로 치닫지. 빨리 해내거나 바로 해낼 적에 안 나빠.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 하면서 ‘왜’ 하는가를 잊거나 모른다면, 쳇바퀴나 뒷걸음으로 갇힌단다. 작은배움터이기에 아름답지 않아. 숲을 품고 들을 마주하고 바다를 끼고 하늘을 마시고 풀꽃나무랑 이웃하고 풀벌레랑 동무하기에 아름답단다. 배울 일을 그리렴. 배울 길을 보렴. 배울 하루를 찾고, 배울 뜻을 생각하렴. 모든 곳이 배움터일 테니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책이라는 2023.12.9.흙.



종이로 묶는다고 다 ‘책’이 아닐 테지? 글이나 그림을 묶기에 모두 ‘책’이지 않겠지? 줄거리가 있는 글·그림·사진을 엮으면 ‘책’일까? 생각해 보렴. 모든 곳에는 ‘오늘 하루’가 있어. 이 ‘오늘’하고 ‘하루’를 맞아들이고 치르기에 ‘삶’이 피어나지. 이 ‘삶’이란 ‘줄거리’야. 살아가는 길을 되새기며 자라는 줄거리란다. 그러나 줄거리(내용·콘텐츠·지식·정보)에서 그치면 쳇바퀴야. 너희가 날마다 내놓는 신문·방송에 영상·영화는 아직 ‘줄거리’일 뿐이란다. 이 줄거리를 많이 알거나 뭉쳐 놓는다면, 그저 무겁게 대롱거리는 ‘혹’이겠지. ‘책’이라는 이름을 붙이려면, 삶을 잇는 길을 열 노릇이야. 어제를 오늘로 잇고 모레로 새로 이어 스스로 일어서는 마음이 있을 적에 ‘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어. 그러니까 ‘이야기’로 가야지. 고이는 말이 아닌, 가두는 말이 아닌,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깨어나는 ‘이야기’로 갈 적에 ‘책’일 수 있어. ‘책’은, 이야기를 담지. 이야기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으로 풀어낼 수 있고, 따로 종이가 아닌 마음에 심는 말씨앗으로 여밀 수 있어. ‘밥을 짓는 살림’과 ‘집을 짓는 일손’과 ‘옷을 짓는 하루’와 ‘새와 만나는 노래’와 ‘흙을 돌보는 손’과 ‘바람을 읽는 눈’도 언제나 책이지. 종이꾸러미만 책이지 않아. 오히려 숱한 종이꾸러미는 사람들 눈길·마음·손길·몸짓을 가두거나 길들이는 굴레나 담벼락이기도 해. 참답게 책이라면, ‘책’은 한결같이 이어가. 종이꾸러미를 불사르건 꽁꽁 숨기건, ‘참답게 책’이라면 누구나 언제나 읽고 배우고 느끼지. 너희가 ‘살덩이’ 아닌 ‘빛’이라는 넋이듯, 너희가 품고 이어가는 책은 ‘빛발’을 이룬단다. 햇빛이나 별빛을 없앨 수 없겠지? 참빛일 적에 비로소 말이요, 이야기요, 책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