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배기가스 2023.7.21.쇠.



너희는 ‘쇳더미(자동차)’에 너희 몸을 싣거나 짐을 올리고서 달릴 적에 기름(연료) 한 방울조차 쓸 일이 없어. 어떤 기름도 없이, 오직 ‘빛’ 한 줄기로 쇳더미를 움직이면 되거든. 너희 몸이나 집도 빛살에 실어서 가볍게 스윽 어디로든 갈 수 있어. 그저 너희 스스로 빛을 등지고 빛살을 잊기에, 길을 잃고 기름을 써버리지. ‘기름’은 태워 없애는 곳이 아니라, 너희를 살찌우고 살리는 데에 쓰는 ‘기름물(기르는 물)’이야. ‘빛나는 살림물’이지. 살림길에 안 쓰고 쇳더미를 움직이느라 마구 태우니까, 쇳더미(자동차·배·비행기·기차……)에서 ‘죽음김(배기가스)’기 피어나와. 마땅한 일이지. 살리고 기르고 나누면서 즐겁게 빛나며 아름다우려는 삶에 안 쓰는 기름이니, 느닷없이 ‘죽음김’이 푸른별을 뒤덮어. 그런데 풀꽃나무는 너희 사람이 숨막혀 죽지 않기를 바라면서 힘껏 ‘죽음물 치우기’를 한단다. 들숲바다는 한몸이 되어 ‘사람들 죽음물·쓰레기’를 치워주지. 사람들은 사람으로서 얼마나 알까? 아예 모르고, 몰라보고, 등돌리고, 잊지 않니? 기를 숨결을 안 헤아리면서, 나눌 기쁨을 안 보면서, 스스로 빛날 하루를 안 그리면서, 자꾸자꾸 기름을 태우기만 하지 않니? 기름은 푸른별을 이루는 ‘피’이기에 마를 일이 없이 늘 다시 솟아. 그런데 너희 몸을 돌아보렴. 너희 몸에 늘 ‘새피’가 솟아서 흐르기에 너희 넋이 ‘산몸’을 입고서 오늘 이곳에 있어. 새로 솟은 피가 가만히 너희 몸을 돌 틈이 없다면 어찌할까? 너희 몸을 살림길에 안 쓰고 죽임길에 자꾸 굴리면, 너희 몸을 이루는 기름(기름물·피)은 어떤 김을 내놓을까? 푸른별은 언제 쉴 수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온실가스 2023.7.20.나무.



비가 내리면서 고루 씻어. 빗물이기에 어디이든 안 가리고 씻어. 너희는 비처럼 온누리를 씻을 수 있을까? 네가 눈물을 흘리면, 너를 비롯해서 온누리를 씻지. 네가 웃음을 터뜨리면, 너와 함께 온누리를 일으키고. 비랑 눈물은 모두 씻고 털어서 비워. 해랑 웃음은, 이렇게 비운 곳에 새롭게 숨결이 일어나도록 살려. 씻김물인 비랑 눈물이 있기에, 푸른별이 맑고 밝단다. 살림빛인 해랑 웃음이 있으니, 푸른별이 즐겁고 새롭단다. ‘온실가스’란 무엇이겠니? 너희가 눈물·웃음을 잊고서 비·해를 잊는 동안에, 푸른별에 ‘씻음·살림’을 하나도 안 펴고 안 일으키면서 불어나는 ‘갑갑한 김’이 바로 ‘온실가스’야. 비로 안 씻고 해로 안 살리니까, 갑갑할밖에. ‘1회용품·플라스틱 줄이기’로는 온실가스를 없애지도 줄이지도 못 해. 푸른별 어느 곳이든지 비랑 해가 고루 덮을 수 있도록 집·마을·나라·터전을 모조리 갈아엎고서, 들숲바다를 이룰 노릇이란다. ‘비·해’를 바라보면서 받아들이는 마음에 몸으로 하루를 지낼 적에, 너희는 스스로 ‘눈물·웃음’을 되찾고서, 푸른별에 스미거나 끼어든 온갖 부스러기랑 티끌을 털거나 씻어. 억지로는 못 고치고 못 바꿔. ‘과학·기술·지식·진보·교육·종교·문화·예술·정치·경제’로는 온실가스뿐 아니라, 전쟁도 갈등도 그저 부추길 뿐이야. 울고 웃는 하루를 그리고 짓고 누리렴. 비를 반기고 해를 노래하렴. 스스럼없이 울고 웃으렴. 허물없이 춤추고 노래하렴.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스스로 갉는 짓을 끝내고, 네 이야기를 이루고 이을 오늘을 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경력단절 : 혼자 아이를 돌보느라 ‘경력단절’이라 여기는 분이 무척 많은 줄 아는데, 아이를 돌보았대서 ‘경력단절’은 터럭만큼도 안 된다. 오롯이 아이하고 열 해나 스무 해를 살아낸 분을 보라. 미움이나 짜증이나 설움이 아닌, 오직 사랑이란 마음으로 아이하고 열 해에 스무 해에 서른 해에 마흔 해를 살아온 분을 보라. ‘아이돌봄’을 해온 분은, 아이 곁에서 살아온 나날이 늘면 늘수록 솜씨꾼(멀티플레이어·베테랑)으로 거듭난다. 한꺼번에 몇 가지 일쯤 우습지 않게 해내는 솜씨를 보라. 온갖 일을 도맡으면서 지치지 않는 어마어마한 기운을 보라. ‘독박육아·경력단절’이란 있을 수 없다. 아이 곁에서 살아가는 나날은 ‘어디에도 없는 새 경력을 놀랍게 이루어 빛나는 길’이다. 그동안 일구고 쌓아온 모든 살림살이를 아기한테 새롭게 맞추어서 어린이하고 함께 나아가는 어깨동무를 처음부터 다시 익힌 이분, 그러니까 ‘아줌마’는 어떤 일을 맡겨도 훌륭히 해낼 만하다. 그래서 대통령을 비롯하여 국회의원·시도지사군수·장관·부장·팀장·교육감 같은 일자리는 ‘선거 없이 아줌마한테 맡길 일’이라고 본다. 일을 잘하는 사람이 대통령을 맡아야 한다면, ‘여러 아이를 스무 해쯤 돌본 아줌마’가 어울린다. 여러 아이를 스무 해쯤 돌본 아줌마는 일을 어마어마하게 잘할 줄 아는데, 고르게 아름답게 깔끔하게 사랑스럽게 눈부시게 잘한다. 우리나라가 흔들리거나 망가지려 한다면, ‘아줌마 대통령’이나 ‘아줌마 국회의원’이나 ‘아줌마 시도지사’가 아닌 ‘얄딱구리한 정치모리배’가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쥔 탓이라고 여길 만하다. 그리고 ‘군대를 다녀온 돈·이름·힘이 없는 아저씨’는 집안일을 잘할 줄 안다. 집안일은 ‘군대를 다녀온 아저씨’한테 맡기자. 사납고 슬픈 사슬터(감옥)인 군대인데, 이 군대에서 스스로 살림하면서 살아남은 아저씨한테는 ‘오직 사랑으로 보금자리를 일구고 싶다’는 꿈이 싹트게 마련이다. 2010.10.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주례사는 비평인가 : 곰곰이 생각해 본다. ‘주례사 비평’이란 말은 아주 틀렸다. ‘주례사’는 ‘비평’일 수 없고, ‘비평’은 ‘주례사’일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쏟아지는 책에 ‘비평’은 거의 안 실린다. 하나같이 ‘주례사’이다. 그런데 다들 ‘비평’이란 이름을 붙인다. 치켜세우거나 오냐오냐 하는 글이 비평일 수 없다. 주례사일 뿐이다. 꽃잔치(혼례식)이기에 꽃말(주례사)을 하겠지. 새로 나온 책이니 잘되라는 뜻으로 꽃말만 그득그득 담을 수 있겠지. 다만, 책이 나오고 난 뒤에 우리는 ‘이야기(비평)’를 들려주어야 한다. 꽃잔치를 마친 지 한참 지났는데에도 언제까지 오나오냐 할 셈인가? 우리 스스로 ‘좋아하는 글바치’라면 더더욱 따갑게 아프게 이야기를 들려줄 노릇이다. 생각해 보라. 그대가 좋아하는 사람이 벼랑길로 달려가는데 안 말리겠는가? 그대가 좋아하는 글바치가 곤두박질을 하는데 안 붙잡겠는가? 막장으로 치닫는 글바치가 스스로 눈을 번쩍 뜨도록 따갑고 아프게 이야기(비평)를 하는 이들이 사라진다. 사라질 뿐 아니라, 이야기(비평)를 하는 사람을 나무라거나 내치기까지 한다. 이제 온나라가 오냐오냐판이다. ‘서이초·주호민·왕의 DNA’에 ‘고은·신경숙·안희정·신학림·임옥상’ 따위가 어디에서 비롯하고 불거졌겠는가? 바로 이 오냐오냐판을 스스로 일으키고 세운 우리한테서 싹텄다. 2023.10.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살아가는 힘 : “무엇을 믿으며 살아가는가?” 하고 묻는 분이 곧잘 있기에 “아무것도 안 믿고, 나 스스로도 안 믿고, 하늘도 안 믿습니다. 밀어붙이는 길인 믿음은 제가 살아가는 길하고 한참 멀어요.” 하고 대꾸한다. 이러고서 “믿지 않고 생각할 뿐입니다. 생각하면서 헤아릴 뿐입니다. 헤아리다가 돌아보고, 돌아보다가 스스로 걸어갈 오늘 하루는 오직 사랑하는 길일 뿐인 줄 느낍니다. 그리고 이 사랑은 숲빛으로 푸르게 품고 풀면서 할 적에 스스로 살아가는 빛으로 샘솟는구나 하고 알아차립니다.” 하고 보태어 이야기한다. 2010.10.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