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슬기 : 어머니다움, 아버지다움, 어버이다움이 무엇일까를 헤아릴 수 있다면, 우리는 슬기롭고 즐겁게 하루를 맞이하겠지. 싱그러운 물살처럼, 이 가을날 가랑잎처럼. 다가올 겨울날 하늘빛처럼. 머잖아 새로 찾아들 봄꽃처럼. 그리고 후끈후끈 골고루 덮는 뙤약볕처럼. 빛나는 넋을 스스로 알아보며 노래하듯 말을 할 줄 알기에 슬기이다. 2023.10.1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노래칸 : 노래를 목청껏 외치면서 짜증을 훅훅 털어낸다고 하는 곳이 많다. 나는 이곳을 1990년 중학교 3학년 무렵에 처음 가 보았다. 동무가 같이 가 보자고 한 해 가까이 보챈 끝에 들어갔는데, 엄청난 소리에 귀가 멍멍했다. 고등학교 적에 몇 걸음을 더 해야 했지만 노래는 안 부르고 귀를 막으면서 ‘언제 이 녀석들이 다 놀고서 나가자고 하려나’ 하고 기다리기만 했다. 고등학교를 마친 1994년부터는 좋든 싫든 노래 몇 가락은 뽑을 줄 알아야 했기에, 노래칸에 있는 노래 가운데 내가 좋아할 만한 노래를 찾아내어 외우기도 했다. 그렇지만 막상 애써 부르고 싶은 노래가 노래칸에는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 두 아이를 낳으면서 노래칸에 갈 일은 없다시피 하고, 시골로 터전을 옮기면서 조용히 바람노래하고 풀노래하고 새노래를 듣는다. 밤에는 별노래를 듣는다. 우리는 누구나 저마다 다른 노래빛이다. 우리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를 들을 줄 알면 굳이 꽉 막히고 캄캄한 곳에 들어박혀서 소리를 지르지 않으리라. 노래는 놀이하는 사람한테서 스스럼없이 웃음눈물로 흘러나온다. 새가 어떻게 노래하는가? 벌레가 어떻게 노래하지? 바람하고 별은 어떻게 노래하나? 오늘날에는 ‘노래’가 아닌 ‘소리장사꾼’만 있다고 느낀다. 귀를 열고서 노래를 들어야 스스로 귀를 틔울 텐데. 2022.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컴퓨터 2023.7.25.불.



너는 수저한테 일을 시키고, 밥솥이며 손전화한테 일을 시키지. 신이며 옷한테 일을 시키고, 싱싱칸(냉장고)한테 일을 시켜. 네가 시키는 모든 일은 스스로 할 만할 뿐 아니라, 여태 스스로 해온 일이지. 그러니 생각해 보렴. 너는 밥그릇이며 붓(연필)이며 비누이며 이불한테 일을 맡길 적에 온마음을 다할 노릇이고, 네 말(맡기는 마음·소리)을 듣고서 따를 모든 살림한테 고맙게 웃으면서 토닥일 줄 알 노릇이야. 셈틀(컴퓨터)도 네가 맡기는 일을 바지런히 하지. 네가 깃드는 집도 그래. 해를 알맞게 가리면서 햇볕이 스미고, 바람을 알맞게 가리면서 바람이 틈새로 스며. 비를 알맞게 가려 주고, 바깥먼지나 바깥소리도 가려 주는 집이야. 너는 신을 얼마나 자주 빨고 말려? 이불은 얼마나 자주 빨고 말리니? 셈틀은 얼마나 오래 쓰고서 쉬라 하니? 쓰고 쉬기를 알맞게 이을 적에 네 살림을 오래 곁에 두겠지. 그리고 어느 때에 이르면 놓아줄 일이야. 곰팡이를 머근은 밥을 내내 그냥 두지는 않지? 구멍난 옷을 기우거나 새로 장만해야겠지. 네가 몸에 걸치는 옷을 언제 빨아야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보고 살피듯, 셈틀도 모든 살림도, 너하고 함께 즐겁게 살아가며 일을 맡도록 차근차근 챙기고, 쉬어야 할 적에 푹 쉬도록 놓아주기를 바라. 네가 잠을 안 잔다고 하더라도, 나비도 나무도 잠을 자야 해. 쉬잖고 말을 한대서 이야기일 수 없잖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힘을 들이다 2023.7.24.달.



누구는 ‘힘들다’고 말을 하더구나, 툴린 말은 아니야. 그이 스스로 “힘이 들고” 싶었으니까. 그런데 누구는 ‘힘들이다’라 말을 하는구나. 사이에 ‘-이-’ 한 마디를 넣으면서 말도 말결도 말씨도 바꾸니, 새롭게 말꽃이 피는 말길로 나아가는구나. 누구는 “힘들다 = 하면 힘들다 = 할수록 힘들다 = 그저 힘들다”라는 굴레를 스스로 말하면서 짓고 누려. 누구는 “힘들이다 = 하려고 힘을 들이다 = 할수록 힘을 늘리다 = 늘 스스로 새로 빛나면서 짓다”라는 살림을 스스로 말하면서 이루고 나눠. 그러면, 너는 너한테 ‘어떤 말’을 ‘어떻게’ 들려주니? 넌 ‘힘들다’라는 말을 일삼니? ‘힘들이다’라는 말을 삼가 모시니? 모든 씨앗은 싹트고 뿌리내려서 숲을 이뤄. 네가 심는 말씨는 어떻게 싹트고 뿌리내려서 네 살림숲을 이루는 바탕으로 가니? ‘씨앗’은 ‘심’어. ‘심다 = 심 = 힘’이야. 심는 씨앗은 ‘힘’을 모습·몸으로 나타내고 움직이도록 북돋우는 빛이야. 그래서 ‘씨앗으로 움트’듯, ‘힘으로 움직’여. 네 넋은 몸을 입고 살기에 ‘움트고 움직일 씨앗·힘’을 바라지. 그리고 네 넋은 그저 ‘빛씨(빛알)’이기에, 오직 빛으로 흐르는 ‘마음’을 펴려 하고, 이 마음은 스스로 ‘기르는’ 밭이기에 ‘기운’이라는 빛을 일으킨단다. 타오르는 힘(씨)이라면, 기르며 자라나는 기운이야. ‘기름’이란다. 흐르는 물이고, 일어나는 ‘바다’이지. 바다요 바탕이고 밭인 마음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그동안 겪은 2023.7.23.해.



비가 내리면서 비우기에,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빚을 자리가 생겨. 비운 곳이기에 빛을 담아. 비우지 않은 곳은 빛이 튕겨나가. 비운 곳에 빗물을 담으니, 어느새 우리가 손을 내밀어서 흙을 만지고, 한 손은 빗물을 담고 한 손은 흙을 다루면서, 누구나 스스로 이루고 싶은 빛을 일구게 마련이야. 하나씩 한단다. 너도 나도 하나씩 하기에, 함께 이루고, 한꺼번에 일구고, 하늘빛을 담아. 너도 나도 쓸데없는 일(경험)은 한 가지조차 없어. ‘그 짓’을 ‘그때’ 했기에, 넌 너대로 ‘비울’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 수 있어. 알아차리렴. 그동안 겪은 모든 일은 이제부터 제대로 들여다볼 ‘어제’이면서, 이제부터 걷는 ‘오늘’이자, 앞으로 빛낼 ‘모레’야. 나쁘거나 슬프거나 아픈 어느 일을 겪었으면, 넌 몸도 마음도 ‘앓’아. 끙끙거리느라 드러눕지. 눈물을 흘리면서 밥도 끊어. 자, 보렴. 먹지 않고 몸을 누여서 오직 삶을 바라보고 꿈을 그리느라 앓기에, 넌 알을 깨뜨리고 나오면서 스스로 알아보는 눈으로 피어나. 알려고 묻고, 물어보면서 안으로 담고, 하나하나 담으려고 삶을 겪고, 겪은 모든 하루로 “나를 이루”니 ‘나이’란다. 나무에 나이테가 생기듯, 너희는 “나를 보고 아는 눈금”인 ‘나이’를 쌓아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