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4.20.

숨은책 519


《풀종다리의 노래》

 손석희 글

 역사비평사

 1993.11.20.



  1993년을 견뎠습니다. 새벽 다섯 시 삼십오 분에 첫 버스로 배움터에 갔고, 밤 열한 시 십오 분 막차를 놓치면 집까지 두 시간 남짓 걸었습니다. 막차를 놓쳤대서 투덜대지 않았어요. 거리불빛에 기대어 책을 읽었어요. 배움책으로 가득한 등짐이지만 여느 책을 늘 대여섯 가지씩 챙겼어요. 어린배움터 길잡이로 일하는 아버지는 집에서 쉴 때면 보임틀(텔레비전)을 매우 크게 틀었습니다. 이 모습을 보면서 “난 앞으로 보임틀을 집에 안 두겠어!” 하고 다짐합니다. 열린배움터로 갔으나 스스로 배운다거나 책을 곁에 두는 동무나 윗내기를 못 만납니다. 다들 보임틀에 눈을 박습니다. 동아리 사람들이 크게 튼 보임틀이 못마땅해서 혼자 조용히 헌책집을 떠돕니다. 보임틀에 참목소리는 얼마나 있을까요? 책에는 참목소리가 얼마나 흐를까요? 우리 삶터는 허울을 쓰고 속내를 감춘다고 느꼈습니다. 헌책집에서 만난 책벗이 《풀종다리의 노래》가 좋다고 하기에 들췄으나 시큰둥했어요. 그 뒤 손석희 님이 큰집을 덜컥 장만하든, 중앙일보 종편으로 가든, 박진성 시인한테 안 뉘우치든, 조주빈하고 엮이든 그러려니 싶어요. 풀종다리 노래를 하자면 스스로 들풀이 될 노릇입니다. 두 다리로 골목을 걷고 맨발로 풀밭을 디뎌야겠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길 2021.4.14.

살림꽃 3 밥



깨끗한 밥이 있다. 정갈한 밥이 있다. 몸에 좋은 밥이 있다. 몸을 살찌우는 밥이 있다. 요즘에는 ‘친환경·유기농·무농약·자연’이란 이름이 붙는 밥이 있다. 멋스러운 부엌지기가 차리는 밥이 있고, 맛있다고 널리 이름난 밥이 있다. 아이가 태어나기 앞서부터 곁님이 늘 물었다. “아이들한테 어떤 밥을 먹일 생각이에요? 그대는 스스로 어떤 밥을 먹을 생각이에요?” 손수 심어서 가꾼 다음에 손수 거두고 갈무리하고는 손수 다듬고 지어서 차리는 밥이 가장 낫다고들 말한다. 가만히 고개를 끄덕이다가 더 생각해 본다. 손수 심고 가꾸고 거두고 갈무리하고 다듬고 지어서 차리는 밥이라면 틀림없이 매우 멋지고 훌륭한 밥이리라. 그렇지만 하나가 빠졌지 싶다. 아니, 여럿이 빠졌다고 느낀다. 첫째로는 ‘사랑’이다. 아이들하고 무엇을 먹든 스스로 사랑이 될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둘째로는 ‘웃음’이다. 어떤 밥감을 다스리든 하하호호 깔깔까르르 웃으면서 차릴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셋째로는 ‘수다(이야기)’이다. 밥자리에서 도란도란 이야기가 흐르면서 마음자리에 생각을 심도록 북돋아야지 싶다. 넷째로는 ‘기쁨·즐거움’이다. 기쁘거나 즐겁게 먹는 자리가 아니라면 모두 덧없다. 그래서 ‘좋은밥’ 아닌 ‘사랑밥’을 짓는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길

살림꽃 2 살림꽃



우리는 ‘살림의 여왕’이나 ‘살림의 왕’이 될 까닭이 없다. 왜 임금(왕) 타령을 하나? 우리는 꽃이다. 가시내도 꽃, 사내도 꽃이다. 어른도 꽃, 아이도 꽃이다. 서로 꽃순이 꽃돌이가 되어 살림꽃을 짓자. 쉽게 가자. 아이들이 소꿉을 하면서 어깨너머로 살림을 놀이처럼 받아들이듯, 어른도 소꿉살림부터 천천히 하자. ‘키친·주방’이 아닌 ‘부엌’에서 살림을 하자. ‘제로 웨이스트’가 아닌 ‘쓰레기 없는’ 정갈한 살림길을 가자. 말 한 마디가 무어 대수냐고 따지는 이웃이 있는데, 말조차 못 바꾸면서 살림을 어찌 짓나? 말부터 안 바꾸면 살림을 어찌 가꾸나? 아이들한테 아무 밥이나 먹일 생각이 아니라면, 아이들 곁에서 아무 말 큰잔치를 벌이지 말자. 살림길이란 노래길이요 꿈길이다. 살림길이랑 사랑길이며 삶길이다. 가시내도 배우고 사내도 익힐 길이다. 혼자 할 길이 아닌 어깨동무를 하면서 즐겁게 춤추고 노래할 길이다. 그러니 “우리 다같이 서로 다르면서 즐겁게 아름다운 ‘살림꽃’이 되자”고 얘기하련다. 살림풀이 되어도 좋다. 살림나무로 가도 좋다. 살림숲이라면 참 멋스럽다. 할머니 할아버지는 살림지기가 되어 살림빛을 물려줄 만하다. 우리는 누구나 ‘살림꾼’이란 일 하나를 넉넉히 맡으면서 하늘빛이 된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길

살림꽃 1 기저귀



아기는 똥오줌기저귀를 댄다. 똥오줌기저귀를 대려면 소창을 끊어야 한다. 소창을 끊으려면 모시나 삼이나 솜 같은 풀을 길러서 실을 얻어야 한다. 실을 얻으려면 물레를 잣고 베틀을 밟아야 한다. 베틀을 밟아 천을 얻기에 비로소 알맞게 끊어서 요모조모 살림에 쓴다. 오늘 우리는 모시나 삼이나 솜 같은 풀을 기른 다음에 물레랑 베틀을 다뤄 실이며 천을 얻는 길을 거의 잊거나 잃었다. 가게에 가면 천이야 널렸고, 누리가게에서 손쉽게 소창을 장만한다지만, 아기가 가장 반길 기저귀란 어버이가 땅에 심어서 길러내고 얻은 천조각이지 않을까? 우리가 살림꽃을 피우려 한다면 이 얼거리를 생각할 노릇이다. 모두 스스로 다 해내어도 좋다. 이 가운데 하나를 챙겨도 좋다. 어느 길을 고르든 아기가 가장 반길 길이 무엇인지는 알 노릇이다. 아기가 가장 반기는 길을 알고 나서 ‘오늘 나로서 할 만한 길’을 추스르면 된다. ‘무형광·무표백’을 왜 찾는가? 우리가 스스로 실이랑 천을 얻는다면 ‘형광·표백’을 안 하겠지. 가게에서 사다 쓰니 이런 판이 된다. 아기는 똥오줌기저귀를 댄다면, 어머니하고 딸아이는 핏기저귀를 댄다. 어려운 말로 ‘생리대·정혈대’라 하지 말자. 수수하게 살림꽃을 짓자. 천기저귀를 삶아 해바람에 말리자.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몇 해 만에 '살림꽃 이야기(아버지 육아일기)'를 쓴다.

2017년 12월 7일에 선보인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이란 책을

거의 끝으로

육아일기를 안 썼다.

이제 그만 써도 되리라 여겼다.


'아저씨(남자)가 쓰는 시골 살림글'이 읽히기에는,

또 읽힌 다음에 삶으로 녹아들기에는

아직 멀는지 모른다.


그러나 그러면 어떤가.

새로 쓰면 되지.


새로 쓰는 '살림꽃 이야기'는

짧고 굵게 엮을 생각이다.


글을 매듭짓고서 책으로 낸다면

책이름은 <살림꽃> 세 글씨로 할 생각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