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10.23.

숨은책 560


이 좋은 세상에

 김남주 글

 한길사

 1992.3.25.



  푸른배움터 여섯 해(1988∼1993년)를 돌아보면, 길잡이(교사)는 가위를 챙기고 다니며 머리카락을 재서 잘랐습니다. 이들은 한 손에 몽둥이를 쥐고 다니며 팼습니다. 총칼로 짓밟은 일본이 다스리는 나라도 아닌데 “조선놈은 맞아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배움터에서 몽둥이는 사라졌을까요? 얼핏 사라진 듯 보이지만 참말 사라졌을까요? 작대기·골프채·야구방망이는 치웠어도 셈겨룸(시험)이라는 숨은 몽둥이는 고스란합니다. 1992년에 《이 좋은 세상에》가 나왔다지만, 나온 줄 몰랐습니다. 1994년 2월에 김남주 님이 숨을 거두었다지만, 이때에도 몰랐습니다. “이 좋은 세상에”라는 이름을 붙여 노래를 부른 넋을 돌아봅니다. 1990년대에서 서른 해가 지난 2020년대는 “얼마나 좋은 나라”일까 하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홀가분히 목소리를 낼 수 있나 하고 살피면 아닌 듯합니다. 누구나 꿈을 키우고 사랑을 속삭이는가 하고 헤아리면 아닌 듯합니다. ‘우주개발’을 한다며 전남 고흥 끝자락 나로섬에서 펑펑 쏘아대지만, 정작 고흥 같은 시골은 빠르게 늙고 어린이·젊은이는 빠르게 떠납니다. 제주 헌책집 〈동림당〉에서 김남주 님 손글이 깃든 책을 만났어요. 살살 쓰다듬습니다. 어린이한테 아름다운 나라로 가는 길을 그려 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12.

숨은책 556


《THE NATURE HOUR, Sixth Year·Autumn and winter》

 Lucille Nicol·Samuel M.Levenson·Teressa Kahn 글

 Silver Burdett and com

 1935.



  먼 옛날에는 누구나 ‘사람’이란 이름이었을 텐데, 어느 무렵부터 ‘벼슬’이나 ‘감투’란 이름으로 갈린 자리가 생기고 ‘임금’이란 이름으로 높이는 자리가 불거집니다. 그저 사람일 적에는 나란하게 나아가는 길인 어깨동무였다면, ‘벼슬·감투·임금’으로 가르고 ‘나리’로 올라서는 쪽이 나타나면서 말씨가 확 갈렸구나 싶어요. 힘자리에 선 쪽에서는 밑자리를 이루는 쪽하고 다르게 말하려고 애썼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웃나라에서 쓰는 한문을 받아들여 힘자리 힘말로 삼아요. 밑자리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벼슬·감투·임금’이 옆나라 말씨로 생각을 펴든 말든 수수하게 삶·살림·사랑을 지으면서 삶말·살림말·사랑말을 나눕니다.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길에 《THE NATURE HOUR, Sixth Year·Autumn and winter》 같은 책을 틈나는 대로 목돈을 들여 장만합니다. 우리나라 붓바치는 밑자리에서 삶·살림·사랑을 짓는 수수한 사람들이 늘 마주하는 수수한 풀꽃나무나 풀벌레나 새나 짐승은 거들떠보지 않거든요. 벼슬꾼이나 임금님 딸아들을 가르치려고 중국 한문을 읊을 뿐이었습니다. “숲하루(THE NATURE HOUR)”를 돌아보는 눈빛을 담아 1935년에 태어난 책은 미국 어린이가 숲을 두루 읽고 익히면서 슬기롭게 어른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수한 아이를 숲빛으로 품기에 배움길이요 푸른길이라고 느껴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9.28.

숨은책 559


《한글의 투쟁》

 최현배 글

 정음사

 1958.6.30.



  외솔 어른은 일본글을 안 썼다고 합니다만, 한문을 즐겨썼습니다. 한힌샘 어른에 이어 우리글 밑틀을 다지려고 힘쓰셨습니다만, “영어 말틀(문법)을 살펴 일본말 틀을 세운 뼈대”를 우리글 밑틀에 고스란히 맞춘 첫걸음이자 발판이었습니다. 오늘날 크게 말썽거리인 입음꼴이나 ‘-의’ 말버릇을 북돋우고 말았어요. 이녁이 지은 《우리말본》은 대단한 책이지만, 우리말 길잡이로 삼기에는 알맞지 않습니다. ‘우리말길’하고는 멀거든요. 《한글의 투쟁》은 이녁이 얼마나 힘겨이 싸우면서 한글을 지키려 했는가를 밝히기는 하되, 이 책조차 몸글을 적잖이 한자말로 채웠습니다. 책이름 ‘-의 투쟁’에서 엿보듯 ‘-의’를 거의 아무 데나 붙입니다. 일본글은 안 쓰셨어도 일본말씨 ‘の’를 죄다 ‘-의’로만 바꾼대서 우리말이 되지 않아요. 이 책 끝에는 펴낸곳에서 《우리말본》을 알리는 글을 붙였는데 아찔합니다.


“國文法의 集大成, 學界의 燦爛한 金字塔, 崔鉉培 著, 增補版 菊版 900頁”

“큰숨못쉬고 자라온 한글 學界의 寶典이자 大指針인 本書는 解放后 全民族의 歡呼聲裡에 再刊되었다가 6·25事變으로 紙型이 烏有에歸하매 이번에 全的으로 修訂增補하여 刊行하게되었으니, 곧 先生의 還歷記念 出版이 될 것이다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9.28.

숨은책 558


《朝鮮文字及語學史》

 김윤경 글

 진학출판협회

 1938.1.25.첫./1946.9.30.석벌



  오늘 우리는 아무렇지 않게 ‘한글’이란 이름을 쓰지만, 우리 글씨가 처음 태어난 뒤 오래도록 누구나 못 쓰는 갇히거나 닫힌 글씨였습니다. 누구나 붓종이를 다루거나 만질 수 없을 뿐 아니라, 위아래로 틀을 가르던 지난날이거든요. 비로소 ‘한글’이란 이름을 지은 어른이 나타났으나 ‘조선어학회’라는 이름처럼 모두 한자로 짤 뿐이었어요. ‘한글모임’이나 ‘한글배움터’나 ‘한글나눔집’이 아니던 터라 조선어학회 일로 땀흘린 분이 일군 책은 《朝鮮文字及語學史》입니다. 틀림없이 빛나는 열매인 “우리글 발자취”이지만 우리글로 이야기를 못 펴고 순 한자로 이야기를 펴고 맙니다. 1938년에 첫벌을 낼 적에도, 1946년에 석벌을 새로 낼 적에도 이 틀을 스스로 못 깹니다. “한글 발자취”나 “한말글 발자취”처럼 수수하고 쉽게 이름을 짓는 눈빛이라면, 책이름뿐 아니라 몸글을 한글만 깨치면 누구나 읽고 새기도록 엮었으리라 생각해요. 우리한테 우리말이 있다면, 곁에 어깨동무할 우리글을 나란히 아끼고 가다듬으면서 새롭게 피어나도록 애쓸 적에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아직 굴레를 스스로 못 깬 옛어른을 나무랄 수는 없되,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우리 스스로 새롭게 눈뜨고 마음을 열며 글빛을 여밀 노릇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1.9.26.

숲집놀이터 260. 뛰놀기



우리 집 아이들은 책집마실을 싫어하지는 않으나 아버지가 책집마실을 지나치게 오래한다고 여긴다. 아이들 말을 듣고서 곰곰이 생각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맞다. 나는 책집마실을 끝없이 한다. ‘이제 좀 그만하면 좋겠는데’ 하고 쀼루퉁하도록 책집에 머문다. 그렇지만 모든 책집은 한 바퀴를 돌고 두 바퀴를 돌수록 더욱 새롭게 빛나는걸. 골짜기나 숲에 깃들 적에도 하염없이 머물 수 있고, 바다에서도 가없이 지낼 수 있다. 꼭 책집에서만 오래 지내지는 않는다. 다만 여태까지 살아온 자취를 본다면 서울·큰고장에서 살아남으려고 책집하고 보금자리 둘 사이만 오간 나날이었으니, 이 고리를 깨려고 아이들하고 시골살이를 하는구나 하고 깨닫는다. 큰아이가 태어나 주면서 아주 마땅히 책집마실이 확 줄었고, 작은아이가 태어나 주며 더더욱 책집마실이 크게 줄었다. ‘그래도 자주 많이 다닌다’는 핀잔을 듣는데 눈앞에서 만지작거려야 비로소 살 만한지 아닌지, 또 글님하고 펴낸님이 어떤 마음결이었는가를 느낀다. 2008년부터 두 아이들 힘으로 책집마실을 줄이고 또 줄이는 사이에 마음읽기를 새로 배우고 숲읽기를 새삼스레 익힌다. 이 아이들은 뛰놀 적에 넓고 깊이 스스로 배운다는 대목을 일깨운다. 맞아, 너희가 아름다워. 너희 아버지도 어릴 적에 신바람으로 뛰논 개구쟁이였어. 앞으로도 언제까지나 개구쟁이 눈빛을 건사하며 같이 뛰놀게.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