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21년 9월 15일부터

마음수다를 씁니다.

이 마음수다는

‘소설’이라고 하겠습니다.

믿거나 말거나입니다.

‘소설’이거든요.

날마다 하루 한 바닥씩

옮겨적으라는

마음소리를 듣고서

그야말로 바지런히

옮겨적는 나날입니다.

“숲노래 소설”이란 이름을 붙여 봅니다.

“글수다”란 이름도 붙입니다.

다시 말씀을 여쭙지만

‘소설’입니다.

.

.

숲노래 소설


“어제는 어떠했니?” “응? 어제?” “그래, 어제이지, 뭐 다른 날이니?” “아, 네가 목소리로 찾아온 어제?” “그래.” “그게, 글쎄, 뭐라고 말을 못 하겠는데,” “뭐, 아직 모를 수 있고, 앞으로도 모를 수 있어. 그러나 네 생각하기에 따라 달라.” “…….” “네가 안 하기로 생각하면 안 할 테고, 네가 못 한다고 생각하면 못 하겠지. 네가 하기로 생각하면 바로 그곳부터 할 테고, 네가 즐겁다고 노래하면 언제나 그곳부터 춤추고 노래하는 하루를 열지.”  “…….”


2021.9.16.나무.


두 가지를 물어본다. “네 아이가 무엇을 영 못하는구나 싶으면 넌 아이한테 무슨 말을 어떻게 하겠는가?”하고 “네 아이를 언제까지 어떤 눈빛·마음·몸짓·말씨로 지켜보거나 기다리겠는가?”를.


이렇게 묻더니 “너는 네가 영 못하는구나 싶을 적에 너 스스로 무슨 말을 어떻게 하겠는가?” 하고 묻더니 “너는 너 스스로 언제까지 어떤 눈빛·마음·몸짓·말씨로 너를 지켜보거나 기다리겠는가?” 하고 더 묻는다. 모두 네 가지이지만, 곰곰이 보면 한 가지를 묻는다고 느끼지만 도무지 아무 말을 못하고서 멍하다.


우리 아이나 곁님이 무엇을 영 못한다면 억지로 이끌거나 가르칠 수 없을 뿐 아니라, 다른 길을 가 보라고 얘기하겠구나 싶고, 그래도 스스로 더 해보고 싶다 하면 스무 해이든 마흔 해이든 백 해이든 이백 해이든 즈믄 해이든 그저 즐거이 지켜보고 기다리겠구나 싶다.


그런데 아이들하고 곁님이 아닌 나라면? 나는 나를 차분히 지켜보면서 기다릴 줄 알까? 나 스스로 부드럽거나 상냥히 다독일 줄 알까? 더 느긋이 천천히 해보라고 스스로 마음한테 속삭일 줄 알까? 누가 나한테 무엇을 왜 아직 못 하거나 안 하느냐고 물을 적에 ‘남’이나 ‘아이들’이나 ‘곁님’한테 말하듯 ‘나’한테 말할 줄 알까?


꿈에서 만난 사람은 자꾸자꾸 묻다가 빙그레 웃는다. 이 네 가지이자 한 가지 물음을 얼른 얘기하지 않아도 되고, 잊어도 된다고 덧붙인다. 마지막에 덧붙인 말대로, 이 꿈이야기는 꿈에서 깨고 곧바로 거의 잊었다. 떠올리려 해도 영 안 떠올랐다. 이러다가 붓을 쥐니 비로소 새벽녘 어지럽던 꿈모습을 조금 옮길 수 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지난 2021년 9월 15일부터

마음수다를 씁니다.

이 마음수다는

‘소설’이라고 하겠습니다.

믿거나 말거나입니다.

‘소설’이거든요.

날마다 하루 한 바닥씩

옮겨적으라는

마음소리를 듣고서

그야말로 바지런히

옮겨적는 나날입니다.

“숲노래 소설”이란 이름을 붙여 봅니다.

“글수다”란 이름도 붙입니다.

다시 말씀을 여쭙지만

‘소설’입니다.

.

.

숲노래 소설


꿈자리에서 겪은 일이 생생하다. 꿈자리를 되새기자니 마음에 어떤 소리가 들린다. “잘 봤니? 잘 봤으면 옮겨 봐.” “어. 누구?” “누구냐고? 내가 누구인지 궁금해 하기보다는 네가 누구인지 궁금해 할 노릇 아닐까?” “어? 어? 어.” “네가 꿈에서 겪고 보고 듣고 느낀 모두를 그대로 옮기렴.” “그래, 알았어. 그럴게.” “자, 오늘부터 하루에 한 가지씩 이야기를 보여주거나 들려줄 테니 마음을 기울여서 받아적으렴.”


글수다 2021.9.15.물.


어느 곳에서 돌봄이(의사)라는 일을 한다. 꿈으로 간 몸을 입던 나는 “내가 이런 일도 했나?” 하고 생각한다. 끝없이 사람들이 몰려든다. “자, 다 나았습니다.” 하고 알려주지만, 돌봄터(병원)에 들어온 사람은 안 나가려고 한다. “나갔다가 또 아프면요?” “이제 안 아픕니다.” “또 아플 텐데요.” “그때에는 여기 바로 오시기보다 스스로 몸을 다스려 보세요. 여기 오가느라 힘들고 돈도 많이 쓰시잖아요? 집에서 느긋이 풀꽃을 쓰다듬고 하늘과 해를 보시면 튼튼합니다.” “아녜요. 여기가 가장 좋아요.”


돌봄터에는 이런 사람이 가득하다. 이런 사람들은 나라에서 돌봄삯(병원비·치료비)을 다 대주니 ‘돈걱정’은 안 한다. 그러나 ‘몸생각’도 안 하고, ‘스스로 살아가는 길’을 생각하지 않는다. 스스로 왜 태어나서 무엇을 하고 싶은가를 생각하지 않기에, 배움터(학교)를 오래오래 다니고, 일터(회사)를 오래오래 다니며 길든 탓에 ‘남이 시키는 대로’ 따라간다. ‘돈과 일자리를 주는 남’이 하는 말은 고분고분 듣되, 마음에서 퍼지는 빛살은 바라보지 않는다.


나라(정부)는 돌봄터를 더 크게 자꾸 짓는다. 젊은이는 돌봄이(의사)가 되면 돈 잘 벌고 좋다고 여긴다. ‘나라에서 시키는 일’을 하는 사람이 가득하다. 스스로 삶을 생각하고 지으면서 제 빛을 찾거나 보려는 사람을 찾을 길이 없다.


이런 판이고 보니, 사람들은 ‘내 이야기’를 다 잊거나 할 줄 모른다. ‘남이 꾸며서 우습게 보여주는 이야기(연속극·영화·공연)’에 넋이 빠진다. 보임틀(TV·영상)에 넋을 잃고 빠져들면서 이 이야기만 한다. 그러면 나는 이 일 ‘돌봄이’를 그만둘 수 있는가? 나부터 이 쳇바퀴를 스스로 내려놓고서 떠날 수 있는가?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25.

숨은책 562


《增補 內鮮書簡文範》

 大山 壽 엮음

 三中堂書店

 1944.2.28.



  일본바라기(친일부역)를 하던 이들 발자취는 1945년 뒤로 감쪽같이 사라졌을까요, 감추었을까요? 알면서 모르는 척했을까요, 없는 듯이 눈가림이었을까요? ‘반민특위’가 있었으나 잘못값을 치른 이는 없다시피 합니다. 돈바치·이름바치·글바치는 저마다 요모조모 빠져나갔을 뿐 아니라, 따르는 이(추종자·제자)를 잔뜩 키워서 감싸거나 치켜세웠어요. ‘大山 壽’라는 사람이 쓰고 엮었다는 《增補 內鮮書簡文範》은 ‘내선일체 글쓰기’를 알려줍니다. 어떻게 글을 쓰거나 말을 해야 일본 우두머리를 섬기는 매무새인지 들려주고, 일본스러운 몸차림을 차근차근 알려줍니다. ‘大山 壽’은 “국경의 밤”이란 노래를 쓴 김동환(1901∼1958)이란 사람이 고친 이름(창씨개명)이요, ‘三中堂書店’은 서재수(徐載壽)라는 사람이 1931년에 열고, 뒷날 ‘삼중당’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京城府鐘路區寬勳町一二三番地’에 있었다는 그곳에서 어떤 책을 냈는지, 또 이곳에서 1945년 뒤에 어떤 책으로 돈을 벌었는지 안 궁금해요. 다만, 글꾼 몇몇뿐 아니라, 글을 책으로 묶은 숱한 책마을 일꾼도 일본바라기를 함께했고 돈·이름·힘을 함께 누렸습니다. 이들 가운데 잘잘못을 환히 밝히거나 뉘우친 사람이 몇쯤 있었는지도 그닥 궁금하진 않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25.

숨은책 561


《現行朝鮮語法》

 鄭國采 글

 宮田一志 펴냄

 宮田大光堂 1926.12.25.



  1917년에 한힌샘 님이 편 ‘한글모죽보기’를 550사람 즈음 들었고, 이때 함께 들은 정국채 씨는 1926년에 《現行朝鮮語法》을 일본글로 써내는데, “전라남도 광주 금계1리 133번지”에 살면서 썼고, “光州 弓町六五番地”에 있는, 일본사람이 꾸리는 출판사에서 펴냅니다. 책 앞자락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장(李軫鎬)이 ‘訓民八週丙寅’란 글씨를, 전라남도지사(石鎭衡)가 ‘言海指針’란 글씨를 남겨요. 첫머리는 조선총독부 ‘視學官’이라는 현헌(玄櫶)이라는 사람이 쓰는데, 이때 ‘시학관’은 오늘날 ‘교육감’입니다. 현헌 씨는 경성고등보통학교·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교유(敎諭)를 하다가 1921년부터 조선총독부 시학관을 맡는데, 이이 아들 현영섭(창씨개명 天野道夫아마노 미치오)은 “내선일체를 위해선 조선말을 완전히 없애버려야 한다”고 외쳤다지요. 어떤 이는 홀로서기(독립)를 꿈꾸며 한글을 익히고, 어떤 이는 일본바라기(친일부역·내선일체)를 꾀하려고 조선글을 일본사람한테 가르칩니다. 그나저나 《現行朝鮮語法》은 ‘カケハシ書店’에서 팔린 자국이 있어요. “山口市 下立小路(혼슈 야마구치시 오리타테에おりたてえ)”에 있던 작은 책집이라는데, 조선사람이 사서 읽었습니다. 글 하나를 놓고 다 다른 삶과 길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10.23.

숨은책 557


《物質觀の歷史, 化學史の中心として》

 スヴェドベリ-

 田中 實 옮김

 白水社

 1941.1.17.첫./1952.12.25.넉벌.



  열린책숲(공공도서관)에서 새책을 들일 적에 마을책집한테 맡기곤 합니다. 서로 이바지하는 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들인 책을 열 해·스무 해 뒤에는, 또 서른 해·마흔 해 뒤에는 어떻게 할까요? ‘도서관·십진분류법’을 비롯해서 온갖 말씨는 일본사람이 한자로 지었습니다. ‘수서(收書)’도 일본 한자말 가운데 하나예요. 책을 들이거나 맞추거나 차리는 일이라면 우리말로 ‘책들임·책맞춤·책차림’으로 옮길 만합니다. 책을 가를 적에는 ‘책가름·책갈래’로 옮길 만하고요. 《物質觀の歷史, 化學史の中心として》는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1961.6.13. 8314” 같은 글씨가 적힌 채 들어왔다가 2020년 무렵 버린 책입니다. 빌린이가 아무도 없이 예순 해를 살다가 책숲(도서관)을 떠나야 했는데, 문득 살피니, “外國圖書, 株式會社 文耕書林. 서울 忠武路 八口. 電話 2.8855番. 賣上카-드 No.3575 ¥280”라 적힌 쪽종이가 그대로 있습니다. 국민대 도서관에서 이 쪽종이를 떼어냈다면 1961년에 어느 마을책집에서 책을 사들였는지 안 남았을 테지만, 이 쪽종이가 남아서 서울 충무로에 있던 〈문경서림〉 자취를 읽고, 책들임 흐름을 살핍니다. 줄거리뿐 아니라 손자취로 함께 읽는 책입니다. 모든 자취에는 우리 삶이 깃듭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