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배움빛 2022.6.11.

숲집놀이터 272. 시사상식



  우리 집 아이들은 ‘설민석·용선생·박시백’ 같은 이름을 내건 책을 하나도 안 읽는다. 나부터 이런 책은 거들떠보지를 않는다. 마침종이(졸업장)를 거머쥘 생각이 없으니 부스러기(지식·정보)를 다룬 책은 덧없다. 모든 부스러기는 마침종이랑 맞물리고, 이 마침종이는 벼슬자리(공무원 임용)하고 큰일터(대기업 취직)로 나아가자면 거느려야 할 이야기일 테지. 아이들은 부스러기(시사상식)를 알아야 하지 않는다. 어른도 부스러기를 머리에 담을 까닭이 없다. 아이어른은 함께 ‘삶을 사랑으로 짓는 살림빛’을 노래하고 웃고 이야기하고 춤추면서 즐겁게 누리고 나누면 넉넉하다. 모든 부스러기는 다 다른 사람을 똑같은 틀에 맞추거나 가두려 한다. 모든 ‘삶·사랑·살림’은 다 다른 사람이 언제나 다르면서 새롭게 어깨동무하는 길을 스스로 밝히는 실마리이다. 부스러기를 잔뜩 끌어안기에 겉치레에 얽매인다. ‘삶·사랑·살림’을 품으니 삶을 사랑하는 살림말을 수수하게 쓰면서 서로서로 생각을 맑고 밝게 가꾼다. 서울에 빼곡하게 모여서 더 빠르고 크고 세게 돈·이름·힘을 다투어야 하는 자리이기에 부스러기(지식·정보·시사상식)를 높이 친다. 저마다 보금자리를 손수 일구는 숲에 깃드는 어질고 참한 어버이에 신나고 재미난 아이로 살아가는 길이라면 ‘삶·사랑·살림’을 온마음으로 돌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배움빛 2022.6.11.

숲집놀이터 271. 보던 책만



  어릴 적에 어머니나 둘레 어른한테서 익히 들은 꾸지람 가운데 하나는 “왜 보던 책만 자꾸 보니?”이다. 나로서는 굳이 ‘새로운 책’을 들여다볼 마음이 없으니 ‘보던 책’을 다시 본다고 할 텐데, ‘보던 책’을 다시 쥘 적에는 ‘예전에 읽은 책을 또 본다’가 아닌, ‘언제나 새삼스레 즐겁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운 책’을 기쁘게 손에 쥐어 ‘새빛’을 누린다고 느낀다. 아이도 어른도 온갖 책을 더 많이 읽어야 하지는 않는다. 개미를 하루 내내 바라보아도 즐겁다. 나무 한 그루를 하루 내내 안아도 즐겁다. 가랑잎이 구르는 춤사위를 하루 내내 지켜보아도 즐겁다. 새끼를 먹이고 돌보는 제비를 하루 내내 살펴보아도 즐겁다. 하늘을 적시는 구름을 하루 내내 쳐다보아도 즐겁다. 풀을 베는 낫질로 하루를 보내어도 즐겁다. 종알종알 쉬잖고 수다꽃인 아이 곁에서 하루 내내 같이 춤추고 뛰놀아도 즐겁다. 스스로 마음을 살찌우는 일손을 붙잡으면 하루 내내 안 쉬어도 즐겁다. 이 마음으로 살아왔고 자라왔으니, 나는 우리말꽃(국어사전)이란 꾸러미를 엮느라 예닐곱 시간을 꼼짝않고 앉아서 뜻풀이를 추스르고 말결을 가누고 말밑을 캐내면서 지치거나 힘든 적이 없다. “아, 이제 하나를 마쳤구나!” 하고 기지개를 켜다가 하루(시간)가 훅 지나간 줄 알고서 빙긋 웃을 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임계장 이야기 - 63세 임시 계약직 노인장의 노동 일지 우리시대의 논리 27
조정진 지음 / 후마니타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716


《임계장 이야기》

 조정진 글

 후마니타스

 2020.3.30.첫/2020.6.10.5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에 있는 사람은 가난·배고픔을 모릅니다. 등이 따습고 배부른걸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고서야 비로소 ‘아, 가난·배고픔이 이렇구나?’ 하고 느낍니다. 《임계장 이야기》를 처음 책집에서 들출 적에 어쩐지 거북했습니다.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지만, 아이들 대학등록금 맞추고 연금 제대로 받을 때까지, 몇 해 동안 조금 몸을 굴리자’는 생각이 짙은 채 적바림한 사잇일(비정규직) 발자취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사람’하고는 너무 먼 구경하는 눈길로 옮긴 ‘인문학 보고서’이거든요. 다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어도 이처럼 사잇일을 하며 발자취를 남긴 이는 드뭅니다. 틀림없이 뜻깊고 값진 책입니다. 이러구러 글쓴이는 2020년 3월에 책을 내며 글삯을 꽤 벌었고 곳곳에 책수다(강연)를 다녔다지요. 이러다 2020년 5월에 응큼질(성추행)을 일으켰고 이해 10월이 되도록 뉘우치는 빛 하나 없이 책을 실컷 팔고 책수다만 잘 다녔고요. 펴냄터는 2022년에서야 ‘품절’시킨 듯한데, 아직 아무도 뉘우침글을 밝히지도 않고, 글바치(기자)는 벙긋도 안 합니다. 참으로 창피합니다.


“내가 전에 다니던 공기업을 세상 사람들은 ‘신의 직장’이라 불렀다. 나는 그 말이 월급은 많고 하는 일은 적다고 비난하는 소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퇴직 후 경비원 일을 해보니 신의 직장이라는 표현은 과장이 아니었다.” (21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672


《나라건지는 교육》

 최현배 글

 정음사

 1975.12.10.



  우리말 ‘열’은 셈으로 치면 ‘10’을 나타내면서, ‘열다’란 낱말을 밝히는 말밑입니다. ‘우리말 ‘온’은 ‘100’을 나타내면서 ‘온누리·온마음·온통’처럼 ‘모두’를 가리키는 말밑이에요. ‘1,000(천)’은 ‘즈믄’이요, ‘10,000(만)’은 ‘잘’이며, ‘100,000,000(억)’은 ‘골’입니다. ‘즈믄’은 ‘즐겁다’에서 말빛을 잇고, ‘잘’은 ‘잘하다’ 같은 데에서 말결을 엿보고, ‘골’은 ‘골머리’에서는 ‘뇌(腦)’를 가리키고 ‘골백번·골짜기·고루·곱다’ 같은 데에서 실마리를 찾습니다. 《나라건지는 교육》은 1963년에 처음 나왔고, 1975년에 손바닥책 “정음문고 101”가 되어 새로 나옵니다. 1960년으로 접어들 무렵 우리나라 배움판이 너무 끔찍하게 배움수렁(입시지옥)에 갇혀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한숨을 짙게 담은 이 책에서는 ‘국민학교 배움수렁’을 다룹니다. 지난날에는 ‘국민학교·중학교’에 들어가는 배움수렁이 훨씬 모질었다지요. 나라를 건지려면 아이들을 책상맡에 앉혀 셈겨룸(시험)을 시키는 짓을 멈출 노릇이지만, 이 대목을 걱정하는 어른이 매우 적습니다. 아이살리기를 미룬다면 나라살리기는 꿈도 못 꿀 테지요.


“아아, 거룩하다. 베스달로찌이는 골 해의 빛이요, 잘 사람의 거울이로다. 1962.2.27. 노고 산방에서 외솔 최 현배 적음”(169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6.9.

숨은책 651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스폴딩 글

 강흥수 옮김

 선경도서출판사

 1985.3.2.



  어릴 적에 그렇게 자주 앓고 쉽게 드러누웠습니다. 우리 언니는 저더러 꾀앓이를 한다고 나무랐지만, ‘겉으로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다르게’ 마련인데, 튼튼몸인 사람은 도무지 못 알아봅니다. 겉으로 멀쩡하다고 해서 억지로 버티다가 쓰러진 적이 제법 있습니다. 싸움판(군대)에서도 끝끝내 버티다가 꼭 하루 쓰러진 적이 있어요. 쓰러지며 바로 넋이 나가기도 하지만, 넋은 있는 채 거품만 물기도 하지요. 고삭부리인 몸으로 앓아눕거나 쓰러질 적에 “난 왜 이렇게 여린 몸이지?” 하고 마음에 대고 물으면 문득 “그럼 넌 뭘 바라니?” 하는 소리가 들려요. “나한테 초능력이 있어서, 안 아픈 몸에 쏟아지는 돈이 있으면 좋겠어.” 하고 대꾸하면 “그래? 그러면 안 아프고서 돈이 많은 다음엔?” 하고 되묻더군요. “어, 어, 안 아프고 돈이 많으면, 그다음엔, 뭘 하지?” “훗, 네가 스스로 찾아보렴.”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같은 책을 찾아서 읽을 줄은 몰랐으나, ‘초인·초능력자’를 배울 뜻이 아닌, 왜 이 별에 이 몸으로 태어나 이렇게 살아가는가를 스스로 배우고 싶습니다. 이 책은 2004·2020년에 다시 나오는데, ‘엄청난 솜씨’를 배우라는 줄거리가 아닌, 우리가 스스로 잊은 마음을 새롭게 찾으라고 속삭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