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7.31.

숨은책 733


《普通敎育 提要地理學通論》

 山崎直方

 東京開成館

 1915.4.10.첫/1921.12.2.6벌



  ‘중학교·사범학교’에서 배움책(교과서)으로 삼았다고 하는 《普通敎育 提要地理學通論》은 우리나라에 언제쯤 들어왔으려나 어림해 봅니다. 제가 우리나라 헌책집에서 만난 판은 “定價 金六拾壹錢”이되 “大正十五年度臨時定價 金壹圓四錢”이라 찍히고, 다시 “昭和二年度臨時定價 金壹圓0四錢”이라 찍힙니다. 1921년에 찍었으되 1927년 무렵에 퍽 에누리한 값으로 팔린 듯싶으니, 일본이 한창 총칼을 앞세워 짓밟던 무렵 ‘조선 어린이’뿐 아니라 ‘조선 어른’도 조선말 아닌 일본말로 온누리(세계) 땅살림을 바라보고 익혔겠구나 싶습니다. 1915년에 일본에서 낸 책에 적힌 일본 한자말은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고스란히 씁니다. 배움길(학문)로만 본다면 영어나 독일말이나 일본말이 대수롭지 않습니다만, 스스로 배우고 아이들한테 물려줄 살림을 헤아린다면, 1945년부터 차근차근 우리 눈길로 살펴서 우리 말결로 풀어내는 생각을 지을 노릇이었을 텐데 싶어요. 이른 때도 늦는 때도 없는걸요. 마음을 다스려 스스로 나서며 갈고닦는 때만 있습니다. 흙살림을 짓는 수수한 사람들은 배움턱을 넘은 일이 없어도 땅을 만지며 땅을 익히고 알았다면, 배움길을 오래 걸은 사람들은 이 땅을 어떤 말로 바라보는 삶이었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7.31.

숨은책 732


《菓子》

 최경주·엄옥금 엮음

 수학사

 1966.12.5.



  아기였을 무렵에는 ‘까까’라는 이름을 듣고, 어느 만큼 자라면 ‘과자’라는 이름을 듣는데, ‘과자’가 한자말인 줄은 한참 뒤에 알았어요. 1982∼87년 무렵에 누가 ‘과자’라 하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은 이 한자말을 못 알아듣거나 달갑잖이 여기면서 ‘주전부리’라 하셨고, ‘튀밥’이나 ‘뻥튀기’라 하는 분도 많았습니다. 이제는 ‘주전부리’나 ‘튀밥’ 같은 이름을 혀에 얹는 어른을 만나기 어렵습니다. ‘군것’이란 이름조차 잘 안 쓰는 듯합니다. 여러 말씨를 헤아리면 ‘과자’는 몇몇만 쓰던 한자말이요, ‘튀밥·군것·주전부리’에서 삶결을 엿볼 만하고, 오늘날에는 ‘바삭이’나 ‘곁밥’처럼 새말을 지을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菓子》는 집에서 바삭하게 굽거나 튀기는 곁밥을 어떻게 마련해서 아이들한테 내놓을 만한가를 들려줍니다. 먼 옛날에는 높은이한테 바치는 주전부리였다면, 오늘날에는 아이들한테 내주고 어른도 함께 즐기는 곁밥입니다. 1966년에 나온 책 사이에 “李奉子 요리강습회” 종이가 깃듭니다. ‘김치저육과리·감자투김·보리가루로루케익·생선비나스투김·계란쏘세이지과리’ 같은 이름에서 이무렵 어머니들 말결을 살몃 느낍니다. 같이 누리고 함께 맛보며 느긋이 이야기를 펴는 살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2.7.29.

아무튼, 내멋대로 20 손수건


내가 손수건을 처음 챙긴 때라면 여덟 살이다. 어린배움터(국민학교)에 들어갈 적에 왼가슴에 손수건을 옷핀으로 집어 놓아야 했다. 우리 어머니가 처음으로 내 왼가슴에 손수건을 집어 주던 일이 떠오른다. 한 해 내내 이렇게 하고서 다녔으며, 두걸음(2학년)으로 들어선 뒤에는 비로소 떼었다. 배움터에서 ‘언니’가 되었으니, ‘첫걸음(1학년) 동생’들이 왼가슴에 옷핀을 잘 집지 못하면 도와주고, 이 손수건으로 콧물도 닦아 주었다. 이러고서 너덧걸음(4∼5학년)에 이르도록 손수건은 챙기기도 하고 잊기도 했는데, 열한두 살 무렵이던 어느 날, 동무가 책을 읽는 매무새가 낯설고 재미있어 한참 들여다보았다. 땀을 많이 흘리고 살짝 토실한 동무인데, 처음 책꽂이에서 오른손으로 빼내고는 왼손에 미리 챙긴 손수건에 책을 받쳐서 살살 넘기더라. “우와, 책을 저렇게 읽는 사람이 다 있네!” 하고 속으로 생각했고, 더 지켜보았다. 자리에 앉으려고 움직일 적에는 ‘손수건으로 책을 받쳐서 쥔 채 가슴에 붙여서 천천히 걷’더라. 자리에 앉은 뒤에는 왼쪽에 손수건을 놓고는 틈틈이 손을 닦는, 그러니까 손땀을 닦는 듯싶었고, 오른손 두어 손가락으로 책등 위쪽을 살며시 건드려서 가만히 밑으로 훑듯 가볍게 넘긴다. 이 아이가 책을 넘길 적에는 소리가 안난다. 더구나 책을 눌러서 펼쳐놓지 않는다. 책 가운데가 좁 씹히듯 좁아도 그대로 둔 채 읽는다. 한참 쳐다보는 눈길을 느꼈는지 동무가 문득 고개를 들고는 “어? 왜? 너도 이 책 읽고 싶어? 재미있어. 그런데 나는 아직 다 읽으려면 좀 멀었는데 어떡하지?” 하고 말한다. “아니야. 난 그 책을 읽고 싶은 생각이 아니고, 네가 손수건을 챙겨서 땀을 닦아 주고 읽는 모습이라든지, 책종이를 소리도 안 나게 살살 넘기는 모습을 지켜보느라 그랬어. 넌 늘 손수건을 챙겨서 읽니?” “내가 땀이 많이 나잖아. 게다가 손에도 땀이 많이 나니, 늘 손수건을 챙겨. 안 그러면 책에 내 땀하고 손때가 묻잖아.” “너보다 땀이 많이 나는 아이들도 그냥 읽던걸. 유난하게 구는 셈 아냐?” “유난하다고? 그렇지만 나 혼자 읽는 책이 아니잖아. 내가 산 내 책이더라도 집에서도 이렇게 읽어. 난 내가 좋아하는 책을 오래오래 깨끗하게 읽고 싶거든.” “어, 그렇구나. 그런데 책을 안 펼쳐서 그렇게 모아서 읽으면 읽기에 안 좋지 않아?” “응? 책을 눌러서 펴면 책이 다치고 구겨지잖아. 게다가 튿어질 수 있어. 책을 오래오래 읽으려면 가운데가 좀 좁더라도 고개를 움직이면서 읽으면 돼. 고개는 움직이면 그만이지만, 책을 눌러서 펼치면 책은 그날로 망가져.” “대단하다. 넌 어디에서 이런 길을 배웠어? 누가 가르쳐 줬어?” “어, 집에서 어른들이 안 가르쳐 주나? 우리 집에서는 다 그러는데?” “엥, 누가 집에서 가르쳐 주니? 책을 던지는 어른들도 많고, 냄비 받침으로도 잘만 쓰잖아?” “책을 어떻게 냄비 받침으로 쓰니? 냄비 받침은 신문종이로 써야지.” “아무튼 고마워. 너한테서 책을 쥐는 길을 배웠네. 나도 앞으로는 손수건을 챙겨서 읽어야겠다.” “그래, 너도 그렇게 해봐. 다른 아이들이 그렇게 안 하더라도, 한 사람이라도 책을 아껴서 돌보면, 책은 오래오래 가고, 무엇보다도 책이 우리들을 좋아해 주는 줄 느낄 수 있어.” “에? 설마?” “네가 책을 아끼고 돌봐주면 책이 기뻐하면서 반짝반짝 빛난다니까.” “음, 거짓말 같은데.” “나중에 너도 느낄 날이 있을 테지.” “그럴까?” “그럼.” 내가 어린배움터를 다니던 1982∼1987년에는 배움책숲(학교도서관)이 없었고, 낡은 칸에 ‘학급문고’ 비슷하게 있었고, 다 낡아빠진 책투성이였는데, 이런 데에서도 동무는 하나하나 아끼고 돌봐주었다. 이날 뒤로 ‘책쥠새’를 곰곰이 생각했고, 낮거나 높은 데에 꽂힌 책을 비롯해 빽빽하게 꽂히거나 느슨하게 놓은 책시렁마다 책을 안 다치도록 살피는 길을 스스로 하나하나 챙기는 매무새를 익혀 나갔다. 책숲(도서관)하고 책집(새책집·헌책집) 어디에서나 늘 한손에는 손수건을 쥔 차림새로 책을 만지고 살핀다. 나 혼자 읽거나 보는 책이 아니니.


ㅅㄴㄹ


‘책숲마실을 할 적마다 늘 챙기는 손수건’ 이야기를 글로 갈무리해야겠다고 여겨서 썼는데, 이럭저럭 쓰고 보니, 이 글을 나중에 동화로 바꾸어야겠구나 싶다. 책과 책집과 책숲을 아우르는 이야기로 삼으면 어울리겠구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7.24.

숨은책 731


《한국조류분포목록》

 원병오 엮음

 임업시험장

 1969.5.1.



  혼자서 우리말을 익히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여미는 길을 걷던 1994년 언저리에 《쇠찌르레기》를 읽고서, 남북으로 갈린 채 살지만 새바라기라는 길을 가는 한마음을 잇는 날갯짓을 만났어요. 이때부터 원병오 님이 쓰거나 엮은 책(새 도감)을 하나하나 찾아내어 읽으려 했습니다. 《한국조류분포목록》은 1969년에 낸 ‘새이름 꾸러미’이니, 1969년 무렵까지 나라 곳곳에서 어떤 새를 만났나 하는 실마리를 엿볼 만합니다. 이무렵만 해도 서울에서 제비를 비롯한 온갖 새를 어렵잖이 만났다고 합니다. 서울 어린이도 아직 새랑 동무하던 1969년 즈음이에요. 저는 인천에서 1987년까지 제비하고 박쥐를 보았습니다만, 1988년부터는 배움수렁에 갇히느라 새바라기를 할 겨를은 없었어요. 2022년 6월에 인천 신포시장에 갔다가 기스락에서 제비집을 보았어요. 숱한 새는 아무리 매캐하거나 망가진 큰고장·서울이어도 조용조용 깃들며 노래를 베푸는구나 싶습니다. 새가 떠나면 사람도 죽고, 새가 찾아오면 사람도 살 만한 터전입니다. 그런데 책끝에 군더더기가 붙는군요.


“백년 뒤에나 열매를 맺는 나무를 심어 무엇합니까?” 하는 아들의 말에 그의 아버지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더 지체할 수 없구나. 지금 당장 그 나무를 심어라.” 1966.1.18. 대통령 연두교서에서. (179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7.24.

숨은책 730


《全斗煥 육성증언》

 전두환 이야기

 김성익 엮음

 조선일보사

 1992.10.24.



  총칼로 사람들을 짓밟고 휘어잡으려고 하던 우두머리 가운데 하나인 전두환(1931∼2021) 씨는 이 땅을 떠났으나, 그이가 남긴 말은 《全斗煥 육성증언, 5공 청와대 통치 기록 담당자가 공개하는 격동기 대통령의 생생한 현장 실토》 같은 책에 ‘생생하게’ 남습니다. 나라지기(대통령)에서 물러난 이들,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씨가 했던 일·말·이야기는 숨기지(비공개) 말고 몽땅 드러내야 합니다. 그들은 우리 돈(세금)을 받고서 일했거든요. 그들을 둘러싼 쭉정이랑 허수아비도 나란히 솎아낼 노릇입니다.

.

.

윤재근 씨 : 중·고등학교 때부터 그런(순수문학) 작품을 접하도록 느긋하게 덜 몰아부쳐야 되는데 아침 7시에 나가서 밤 10시에 오니 그게 안 됩니다.


정한모 씨 : 국민학교 학예회를 성대하고 하고 국민학교부터 실정에 맞게 정서 교육을 해서 시나 노래를 하고 싶도록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서정주 씨 : 빈부 격차가 심한 사회의 가난한 애들이, 딱한 걸 도와준다는 인도적 감상주의에 빠져 집안 형편이 곤란하면 불쑥 치밀어 엉뚱한 짓을 합니다. 배후에 반드시 뭐가 있습니다.


전숙희 씨 : 100중 중 5%가 문제입니다. 겁내고 걱정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만 워낙 소리가 크니 걱정은 해야 합니다. (104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