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 에레키테 섬 2 세미콜론 코믹스
츠루타 겐지 지음, 오주원 옮김 / 세미콜론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9.

만화책시렁 630


《모험 에레키테 섬 2》

 츠루타 겐지

 오주원 옮김

 세미콜론

 2018.7.15.



  쑥쑥 올라온다고 해서 ‘쑥’이고, 솔솔 오른다고 해서 ‘솔’입니다. 그렇다고 하루아침에 껑충 오르지는 않아요. 쑥도 솔도 모든 풀꽃나무도 해바람비를 머금은 만큼 느긋이 오릅니다. 하루가 다르게 푸릇푸릇 오른다면, 그만큼 햇볕도 바람도 넉넉하고, 비가 드물어도 이슬이 싱그럽다는 뜻입니다. 아이는 아이대로 날마다 새바람을 맞이하면서 무럭무럭 큽니다. 어른은 어른대로 하루하루 새노래를 부르면서 부쩍부쩍 자랍니다. 마음이 크는 대로 몸이 크고, 마음이 자라는 대로 몸이 넉넉합니다. 《모험 에레키테 섬 2》은 앞선 첫걸음 못지않게 줄거리가 딱히 없습니다. 미끈한 몸매인 아가씨가 날개를 타고 숨은섬에 찾아들고서 골목길을 누비는 그림을 빼곡하게 보여줍니다. 참 허전합니다. 붓솜씨만 보입니다. 옆나라에서 흔히 쓰는 한자말 ‘모험’인데, 우리로 치면 ‘놀이’나 ‘마실’입니다. 그저 놀러다닙니다. 가벼이 드나듭니다. 슬쩍 고갯마루를 넘을 때가 있고, 살며시 뛰어들어 들랑거리기도 합니다. 허허바다 한켠에도 숨은섬이 있을 테고, 너른숲 복판에도 숨은굴이 있어요. 구름도 푸나무도 기나긴 해를 살며 똑같이 돋거나 자란 적이 없습니다. 늘 새로운 들숲바다인데, 어떤 새나 풀벌레도 길그림 하나 없이 호젓이 누빕니다. 틀에 매이니 못 놀고 못 봅니다.


ㅅㄴㄹ


“도착하는 데 3년 걸렸는데 용무는 3시간 만에 끝났네.” (125쪽)


“일은 끝났고, 이제부터는 모험이야. 모험에 필요한 것은 캠프와 식량! 그리고 뭐니 뭐니 해도.” (139쪽)


#つるたけんじ #鶴田謙二 #冒?エレキテ島


+


《모험 에레키테 섬 2》(츠루타 겐지/오주원 옮김, 세미콜론, 2018)


오늘은 여기에서 비바크해야지

→ 오늘은 여기에서 들밤 해야지

→ 오늘은 여기에서 길잠 해야지

→ 오늘은 여기에서 바람살이

16쪽


꽤나 빠른 속도로 흘러간단 말이지, 해류란 참 재미있어

→ 꽤나 빠르게 흘러간단 말이지, 바닷결은 참 재미있어

→ 꽤나 빠르게 흘러간단 말이지, 바다란 참 재미있어

25쪽


이런 데서 전파를 잃어버리면 큰일인데

→ 이런 데서 빛결을 잃어버리면 큰일인데

→ 이런 데서 빛물결 잃어버리면 큰일인데

28쪽


고도를 높이지 말고 그대로 접근했으면 좋았을걸

→ 높이지 말고 그대로 다가갈걸

→ 높이 솟지 말고 그대로 들어설걸

45쪽


소포를 배달하고 싶을 뿐이라고요

→ 꾸러미를 나르고 싶을 뿐이라고요

→ 보따리를 돌리고 싶을 뿐이라고요

46쪽


도착하는 데 3년 걸렸는데 용무는

→ 오는 데 세 해 걸렸는데 볼일은

→ 닿는 데 세 해 걸렸는데 일감은

125쪽


뭐니 뭐니 해도 지도

→ 뭐니 뭐니 해도 길그림

→ 뭐니 뭐니 해도 길짜임

140쪽


이제 비상식량도 바닥났고

→ 이제 곁거리도 바닥났고

→ 이제 밑거리도 바닥났고

17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 창비시선 402
이근화 지음 / 창비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3.8.

노래책시렁 410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

 이근화

 창비

 2016.9.30.



  포근포근 숨결이 깃든 노래로 새봄을 맞이합니다. 지난해하고 올해에는 첫봄 길턱에 비날을 잇습니다. 앞으로도 이즈음이 비날로 길게 이을 수 있으리라 느낍니다. 온나라가 하도 매캐하니까요. 철바람이 바뀌면서 옆나라에서 먼지바람이 날아오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곳곳에서 내뿜는 모진 먼지바람도 대단합니다. 부릉부릉 그만 달리지 않는다면 파란하늘을 잃을 수 있습니다. 날개를 덜 띄우거나 멀리하지 않는다면, 참말로 푸른들까지 잃을 만합니다.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를 읽는데, 오늘날 숱한 글자락도 서울을 닮는구나 싶습니다. 그리 멀잖은 지난날까지만 해도 고장마다 다 다르게 글꽃이 피어났다면, 이제는 그냥그냥 서울글입니다. 낮에도 땅밑이 넓고 훤한 서울이고, 밤에도 여기저기 번쩍거리는 서울입니다. 어디서나 쏟아지는 사람물결이고, 서울곁에서 일자리를 오가면서 고단한 사람바다입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서울에 매이는 삶이자, 온통 서울바라기인 얼개이니, 글 한 줄도 서울노래일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서울은 밥을 먹여 주지 않아요. 서울은 돈벌이가 될는지 몰라도, 해랑 바람이랑 비를 누리는 터전이 아닙니다. 무엇을 머금으면서 글줄을 여밀 적에 스스로 빛날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곧 쓰레기가 될 이 비닐장갑은 / 우주선의 이름 같다 / 이백매인지 아닌지 세어보지 않겠지만 / 미아가 될 우주선의 운명처럼 / 내 손은 이백번씩 / 투명하게 빛날 것이다 (코맥스 200/12쪽)


당신의 입술은 회색 / 쉭쉭 바람 소리가 난다 / 당신의 말은 달콤해 / 내가 스르르 넘어간다 (요양원/22쪽)


+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이근화, 창비, 2016)


버려진 분홍 땡땡이 팬티

→ 버린 배롱빛 물방울 속옷

→ 버린 배롱빛 알록 속옷

8쪽


오늘 나의 산책과 명상에는 무늬가 없다

→ 오늘 나는 무늬가 없이 걷고 고요하다

9쪽


한권의 책이 나를 낳았다

→ 책 하나가 나를 낳았다

14쪽


옥수수알들이 옥수수를 향해 결의하듯이

→ 옥수수알이 옥수수한테 곱새기듯

→ 옥수수알이 옥수수한테 다짐하듯

24쪽


우리의 발걸음이 더 아름다워진 걸까

→ 우리 발걸음이 더 아름다울까

→ 우리 발걸음이 더 아름다운가

30쪽


머리카락이 돋았다 그것도 나의 것이다

→ 머리카락이 돋았다 바로 나이다

35쪽


빗줄기가 알고 있는 당신의 어깨를 내가 모르니까 더 즐거운 것 같다

→ 빗줄기가 아는 그대 어깨를 내가 모르니까 더 즐거운 듯하다

41쪽


누군가의 심장을 뚫지 않아도 좋았다

→ 누구 가슴을 뚫지 않아도 기뻤다

→ 누구 마음을 뚫지 않아도 반가웠다

44쪽


이별을 고하는 한 남자를 만났습니다

→ 헤어지자는 사내를 만났습니다

→ 손을 흔드는 이를 만났습니다

60쪽


비행기에 몸을 싣고 불행의 씨앗들을 날리며

→ 날개에 몸을 싣고 고된 씨앗을 날리며

→ 날개에 몸을 싣고 동티 씨앗을 날리며

103쪽


재가 너의 향기가 되는 죽음 위에 눈사람이 서 있다

→ 재가 네 내음인 죽음에 눈사람이 선다

→ 재가 네 냄새인 죽음에 눈사람이 있다

105쪽


천변은 가지런히 정리가 되었지만

→ 냇가는 가지런히 다듬었지만

→ 물가는 가지런히 손보았지만

11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휴일 6
신조 케이고 지음, 장혜영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8.

책으로 삶읽기 914


《매일 휴일 6》

 신조 케이고

 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12.30.



《매일 휴일 6》(신조 케이고/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에서는 한풀 꺾이면서 쉬어가는 하루를 들려준다. 남이 보기에 잘할는지 모르고, 못하네 싶을 수 있다. 어떤 눈으로 누가 우리를 보든 대수롭지 않다. 남이 잘한다고 여기더라도 스스로 아쉬워하면서 갈고닦을 수 있다. 남이 못한다고 핀잔하더라도 스스로 달래면서 차근차근 나아갈 수 있다. 보아주는 눈은 나쁘지 않되, 돌아보는 눈이 있어야 비로소 일어선다. 보아주기를 바라다가는 늘어진다. 돌아보면서 토닥일 줄 안다면, 한동안 느긋이 쉬고서 새로 기운을 차린다. 모든 하루는 새로 태어난 날이요, 언제나 새록새록 기쁘게 마련이다.


ㅅㄴㄹ


‘그래. 난 소설 외에는 결단력이 전혀 없는 인간이었지.’ (52쪽)


나츠미는 실은 알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나태하게 그린 만화는 조언을 들을 가치조차 없다는 것을. (101쪽)


“그런데 넌 매년 돕고 있나? 어지간히 한가한 모양이구나.” “네, 한가해요―.” “그렇게 한가하면 밥 먹고 갈래?” “그래도 되요? 신난다!” (140쪽)


빛방울만이 반짝이고, 그게 저 멀리까지 보여서 굉장히 아름다웠습니다. (154쪽)


이때 나츠미는 생각했습니다. 쓸데없다고 생각하는 일에 오히려 의미가 있는 게 아닐까 하고. (155쪽)


#ひらやすみ #?造圭伍


+


일의 전말은

→ 일흐름은

→ 앞뒷일은

32쪽


그런 일이 있어 가지고

→ 그런 일이 있어서

37쪽


난 소설 외에는 결단력이 전혀 없는 인간이었지

→ 난 글쓰기 말고는 물렁한 놈이었지

→ 난 글 빼고는 단단하지 못 했지

52쪽


늦잠 자는 중이에요

→ 늦잠 자요

83쪽


그냥 육수만 내서 한 건데

→ 그냥 고깃물만 냈는데

86쪽


의욕도 저하 중입니다

→ 한창 무너집니다

→ 기운이 꺾입니다

→ 힘이 없습니다

87쪽


내 생각에 그건 사족이야

→ 내 생각에 군더더기야

→ 내 생각에 긴소리야

→ 내 생각에 부질없어

95쪽


이렇게 나태하게 그린 만화는 조언을 들을 가치조차 없다는 것을

→ 이렇게 게으르게 낸 그림꽃은 도움말을 들을 값조차 없는 줄을

→ 이런 게으른 그림꽃은 도와줄 말을 들을 만하지도 않는 줄을

10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샤크 레이디 - 해양생물학자 유지니 클라크의 용감한 상어 탐험 세상을 바꾼 소녀 5
제스 키팅 지음, 마르타 알바레스 미구엔스 그림, 정수진 옮김 / 청어람미디어(청어람아이)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8.

그림책시렁 1295


《샤크 레이디》

 제스 키팅 글

 마르타 알바레스 미구엔스 그림

 정수진 옮김

 청어람아이

 2018.8.1.



  어디에서 보느냐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하늘에서 볼 적하고 땅에서 볼 적이 다르고, 개미 눈높이나 나비 눈높이가 다르며, 할미꽃 눈높이하고 소나무 눈높이가 다릅니다. 누가 보느냐에 따라 다 다릅니다. 아이가 볼 적하고 어른이 볼 적이 다릅니다. 곰이 볼 적하고 범이 볼 적이 다릅니다. 돌이 볼 적하고 모래가 볼 적이 달라요. 《샤크 레이디》는 상어(상아리·두루치)라는 바다이웃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상어 삶자리에서 마주하려고 마음을 기울인 사람이 무엇을 보고 느껴서 둘레에 알렸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상어를 알고 싶다면, 우리 스스로 상어로 살아내면 되고, 상어하고 이웃이나 동무로 지낼 노릇입니다. 그러나 숱한 사람들은 상어랑 동무하지 않습니다. 상어한테 애먼 굴레를 씌우거나 멀리합니다. 거꾸로 생각해 봐요. 상어살림으로 사람을 따지거나 잰다면, 사람은 그야말로 바다에서 멍텅구리입니다. 바닷속에서 스스로 숨쉬지 못 하고 잠들지 못 하고 빠르게 가르지 못 하는걸요. 맨몸으로 상어처럼 바다밑으로 깊이 들어갔다가 휙 밖으로 나올 수조차 없는 사람입니다. 나랑 너를 잇는 이웃으로 여길 적에 눈을 뜹니다. 서로 다른 살림을 알아보면서 마음을 틔울 적에 하나씩 알 수 있습니다.


ㅅㄴㄹ


#SharkLady #TheTrueStoryofHowEugenieClarkBecametheOceansMostFearlessScientist

#JessKeating #MartaAlvarezMiguens #EugenieClark


+


《샤크 레이디》(제스 키팅·마르타 알바레스 미구엔스/정수진 옮김, 청어람아이, 2018)


그중에서도 유지나가 제일 좋아하는 물고기를 계속 보고 싶었어요

→ 유지나는 가장 좋아하는 물고기를 두고두고 보고 싶어요

1쪽


상어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건 전부 배우기로 마음먹었어요

→ 상어라면 다 배우기로 마음먹었어요

9쪽


책 속으로 깊이 빠져들었어요

→ 책에 빠져들었어요

→ 책에 파묻혔어요

11쪽


상어에 관해서라면 뭐든지 다 알고 싶었어요

→ 상어라면 뭐든지 알고 싶어요

→ 상어라면 다 알고 싶어요

11쪽


주변 사람들은 이래라저래라 참견하기 시작했어요

→ 둘레에서 이래라저래라했어요

→ 둘레에서 자꾸 끼어들어요

14쪽


난생처음으로 야생 상어를 만났어요

→ 처음으로 바다 상어를 만났어요

19쪽


최소 두 달이 지나서도 기억한다는 사실까지 발견했지요

→ 두 달이 지나서도 떠돌리는 대목까지 알아냈지요

25쪽


유지나의 생각이 맞았어요

→ 유지나 생각이 맞았어요

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등대 소년 조르디 봄봄 아름다운 그림책 22
얀나 카리올리 글, 마리나 마르콜린 그림, 김현좌 옮김 / 봄봄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7.

그림책시렁 1290


《등대 소년 조르디》

 얀나 카리올리 글

 마리나 마르콜린 그림

 김현좌 옮김

 봄봄출판사

 2011.1.5.



  바다에 선 땅을 따로 ‘섬’이라고 합니다. 낟알을 담는 자루도 ‘섬’이고, 디디며 서는 돌도 ‘섬’이라 합니다. 바다에 솟거나 선 땅은 그리 넓지 않다고 여긴다면, 조금 쓸쓸할 수 있습니다. 사람만 동무나 이웃이 아닌 줄 안다면, 새랑 별이랑 바람이랑 헤엄이 모두하고 마음을 나누고 말을 섞습니다. 사람이 북적거리는 서울이어야 동무나 이웃이 많지 않아요. 사람이 많더라도 다들 바쁘거나 고단해서 마음을 나눌 겨를이 없다면, 서울 한복판이 오히려 외딴섬일 만합니다. 《등대 소년 조르디》는 바닷불을 밝히는 곳에서 하루를 조용히 보내는 아이를 보여줍니다. 바닷소리를 언제나 맞아들이다가 문득 글을 적어서 바다에 띄웁니다. 아이가 띄우는 바닷글을 누가 알아보려나요. 이 아이하고 마음으로 바닷글을 나누면서 바다노래를 누릴 동무는 어디에 있을까요. 새는 어디에나 찾아가되, 착한 사람 곁에 살며시 내려앉습니다. 바람은 어디에나 불되, 참한 사람 곁에서 부드러이 춤춥니다. 별빛은 어디에나 드리우되, 차분히 사랑을 그리는 사람 곁으로 스며듭니다. 아이들이 호젓이 해바라기를 하고 하늘바라기를 할 틈을 누리기를 바라요. 풀벌레가 어떤 마음으로 노래를 들려주는지 귀를 기울일 짬이 있다면, 푸릇푸릇 자라게 마련입니다.


#GiordanoderFaro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