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2.4.22.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8 갓꽃



  고흥에 깃들고서 처음 맞는 봄인 2012년에 유채꽃을 제대로 마주했고, 갓꽃을 새롭게 만났습니다. 시골 어른은 “허허, 서울(도시)에서 살다 온 양반이라 갓꽃도 모르나? 살다 보믄 다 알아. 걱정 말게. 그라믄 유채를 어떻게 먹는지 모르겠네?” 하면서 줄기를 벗겨 속을 먹는다고 알려줍니다. 유채랑 갓도 노랗게 꽃을 피우고, 배추랑 무도 장다리꽃을 피웁니다. 꽃이 없는 푸나무는 없습니다. 모든 푸나무는 꽃이 다르게 생겼고, 결도 빛도 내음도 숨도 다를 뿐입니다. 유채꽃이랑 갓꽃이 어떻게 다른가 하고 갈라내려고 하나부터 열까지 샅샅이 보고 따지고 어림해 보았는데, 오히려 더 갈라내기 어려웠어요. 이러던 어느 해에 큰아이가 “아, 꽃냄새 좋다.” 하고 읊는 말에 귀를 번쩍 떴어요. 그래요, 눈을 감고서 가만히 꽃내음을 맡으면 갓꽃이랑 유채꽃이 다른 결을 바로 알아차릴 만합니다. 꽃내음을 가른 뒤에는 꽃빛이 다른 결을 알아채지요. 이러고서 ‘굳이 왜 갈라야 하는가’를 깨달으면서 노란 봄꽃이 벌나비한테 풀벌레한테 새한테 쥐랑 개구리한테, 그리고 바로 우리한테 어떻게 이바지하며 동무로 어우러지는가를 느끼고 누릴 만합니다. 그저 지켜보면 됩니다. 그냥 바라보면 됩니다. 서두르지 말고 늘 마주하며 함께 놀면 되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2.4.22.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7 모과꽃



  모과꽃 한 송이를 가만히 먹으면 하루 내내 굳이 아무것도 안 먹어도 될 만큼 배가 부를 만합니다. 모과꽃을 먹어 보았나요? 아마 모과꽃을 먹어 본 사람은 드물 테고, 모과나무를 곁에 두는 사람도 드물 테며, 모과꽃이 언제 얼마나 피는가를 아는 사람도 드물 테지요. 모과꽃이 아니어도 뽕꽃이나 감꽃이나 살구꽃이나 포도꽃이나 귤꽃이나 능금꽃을 먹을 만합니다. 그야말로 숱한 꽃은 꽃으로서도 아름다운 밥입니다. ‘많이 먹어야 할 꽃송이’가 아닌 한 송이로 온몸을 사르르 녹이면서 북돋우는 꽃밥이에요. 우리는 밥다운 밥을 멀리하거나 잊기에 지나치게 먹고 만다고 느껴요. 왜 많이 먹는지 생각해 봐요. ‘참다이 먹을것’을 먹을 때까지 우리 몸이 자꾸 밥을 넣어 달라고 비는구나 싶어요. ‘참밥’을 한 모금이나 한 톨만 몸에 가벼이 넣어 주면 즐겁습니다. 참밥 아닌 거짓밥을 잔뜩 몸에 넣으니 몸도 고단하고, 푸른별도 휘청거리며, 온누리가 뒤엉킨다고 느껴요. 책을 더 많이 읽어야 할까요? ‘참책’이 아닌 ‘거짓책’이나 ‘꾸밈책’이나 ‘눈가림책’을 잔뜩 읽는들, 우리 스스로 마음을 틔우거나 생각을 열거나 슬기롭게 빛날까요? 아니겠지요. ‘아무 책이나 많이 읽기’가 아닌 ‘꽃책’을 즐거이 만날 적에 저마다 빛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4.21. 저작권협회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씨는 1994년부터 혼책(독립출판)을 펴내었고, 2004년까지 혼책을 500가지 남짓 내놓아 모두 거저(무상) 나누어 주었습니다. 숲노래 씨가 쓴 글이건, 찍은 사진이건, 돈을 잘 버는 곳이 아니라면 값(저작권사용료)을 바라지 않고 그냥 다 주었습니다. 그런데 ‘돈을 잘 벌거나 멀쩡히 버는 곳’에서 ‘좋은 일에 쓰려고 하는데 좋게 기부해 주십시오’ 하고 바라는 일이 참 흔했고, 이 때문에 그곳하고 싸워야 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이렇게 싸운 곳으로는 연합뉴스·한겨레신문·한겨레21·씨네21·경향신문·네이버·오마이뉴스·진주시청·서울시청·서울시립미술관·부산일보·국립중앙도서관·양철북 출판사 들이 있습니다. 또 수두룩한데, 막상 적어 보려니 그곳 이름이 잘 생각나지 않네요.


  저는 ‘글이건 사진이건 값(저작권사용료)을 1만 원을 내라’고 늘 밝혀 왔으나, ‘1만 원이 없다’고 말하는가 하면 원본사진을 잃어버리고 안 돌려줄 뿐더러 손해배상마저 안 하는 곳이 흔했습니다.


  엊그제 서울마실을 하는 길에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란 곳을 알았고, 그곳에서 일하는 분이 ‘저작권 사용과 얽힌 신탁’을 맡기면 몫(수수료)을 조금 떼고서 걱정없이 다 풀어(해결해) 준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숲노래 씨가 쓴 글이나 찍은 사진은, 개인블로그라든지 개인독자라면 얼마든지 즐겁게 쓰면 될 노릇입니다. 그러나 ‘영업행위를 하는 사업장’이라든지 ‘언론사·출판사·시청·국가기관·공공도서관’이라면 미리 물어보고서 ‘어느 곳에 어떻게 쓰려 한다는 허락’을 받아야 옳겠지요?


  그동안 온갖 곳에 출처조차 없이 퍼진, 또는 함부로 쓰는, ‘일반개인이 아닌 영업행위를 하는 사업장’에서 숲노래 씨 글이나 사진을 더 쓰고 싶다면, 이제는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를 거쳐서 제대로 값(저작물사용료)을 치르고 쓰기를 바랍니다. 값을 1만 원조차 못 치르고, 알려주지도 않으면서 그냥 쓰신 분들 모두, 조용히 지워(삭제) 주시거나, 조형물을 뜯어버려(철거) 주시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누구’라고 더 밝히지는(특정하지는)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권정생 님 사진 

이제 함부로 쓰지 말아 주십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6 허울



  모든 책은 꽃입니다. ‘문학’이란 이름이 붙어야 글꽃이 아닙니다. 어느 갈래로 넣는 책이든 모든 책은 지은이가 삶에서 편 이야기가 꽃처럼 서립니다. 모든 책은 노래입니다. ‘시·동시’란 이름이 붙어야 노래이지 않습니다. 어느 자리에 넣는 책이든 모든 책은 글님이 살림자리에서 일군 이야기가 노래로 흐릅니다. 모든 책은 살림입니다. ‘자기계발’이란 이름이 붙어야 살림이지 않아요. 어느 쪽에 깃드는 책이든 모든 책은 글쓴이가 사랑이라는 숨결로 여민 이야기가 포근히 북돋웁니다. 저는 ‘이름을 아는 분’이 쓴 책이건, ‘이름을 모르는 분’이 쓴 책이건, 손에 쥐어 천천히 펼칠 적에는 ‘이름’을 잊습니다. 오직 줄거리로 스며듭니다. 책은 껍데기로 안 읽고 알맹이로 읽으니까요. 모든 이야기는 허울이 아닌 속살로 맞아들이니까요. 눈속임(사기꾼)은 으레 겉치레를 하거나 잔뜩 꾸밉니다. 돈이 있어 보이거나 이름이 잘나 보이거나 힘이 세 보이는 이들이 눈을 속이려 들어요. 책도 매한가지예요. 빈수레일수록 시끄럽다는 말처럼 줄거리·이야기·알맹이가 허술할수록 허울을 씌우려 합니다. 허접하기에 허울로 갑니다. 헐었기에 허울에 매달립니다. 허름한 속내를 감추려고 허울로 눈가림을 일삼습니다. 이제 눈을 떠 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2.4.17.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5 문재인 세월호



  2022년에 나라지기를 바꿉니다. 나라지기 자리에서 물러나는 분은 《위대한 국민의 나라》하고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란 책을 둘 내놓습니다. 그런데 두 책 어디에도 ‘세월호 속내(진실)’를 그동안 얼마나 밝혔는지는 안 적은 듯합니다. 아무래도 ‘문재인 민주당 다섯 해’에 걸쳐 해마다 4월 16일이면 “세월호 진실 밝히는 게 아이들 온전히 떠나보내는 일”이라고만 말했을 뿐, 정작 아무것도 안 했으니까요. ‘세월호 속내’를 밝히도록 힘쓰라고 사람들이 촛불너울을 일으켰습니다만, 지난 다섯 해 동안 시골 들숲바다에는 햇볕판(태양광패널)·바람개비(해상풍력)가 무시무시하게 박혔습니다. 두멧시골에 때려박은 햇볕판·바람개비로 얻는 전기를 서울·큰고장으로 보내려고 ‘밀양 송전탑’은 저리 가라 할 만큼 또 들숲바다를 파헤치는데 이 대목을 눈여겨보는 환경단체·녹색당·진보정치는 아예 없습니다. 더구나 윤미향은 아직도 국회의원 이름을 가슴에 달고서 “세월호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데요, 그동안 ‘진상규명’을 안 하고 뭘 했을까요? 누구나 글을 쓰고 말을 하고 책을 낼 수 있습니다만, 글·말·책을 제대로 하도록 큰힘을 몰아주었다면, ‘자랑·핑계’가 아닌 ‘일’을 했어야 옳겠지요.


ㅅㄴㄹ

#문재인세월호 #윤미향세월호 #문재인윤미향

#한심한나라 #세월호진실

#위대한국민의나라 #아무도흔들수없는나라












































































나라돈으로 화보집을 이렇게 자주 낸 나라지기는

처음 봤다......


문득 살펴보니

지난 다섯 해 동안 ‘대통령 화보집’이

해마다 나왔다.


깜짝 놀랐다.

그런데 ‘대통령 화보집’이 잘 팔리나 보다

‘대통령 달력’까지 냈으니까.


촛불너울이 박근혜를 끌어내리고서

나라지기를 맡긴 뜻은

‘화보집 + 연설문집’을 나라돈으로 내지 말고,

‘세월호 진실’부터 제대로 파서 밝히고,

윤미향 같은 사람한테서 국회의원 뱃지를 돌려받아

감옥에 보내라는 목소리 아니었을까.


자랑(자화자찬)으로 가득한 다섯 해였기에

이 나라 들숲바다가 얼마나 망가졌는지는

그들 눈에는 하나도 안 보이는구나 싶다.


이런 말을 하거나 글을 쓰면

“윤석열 지지자냐?” 하고 묻는 분이 있는데,

“권력자 어느 누구도 지지할 마음이 없이,

 오직 들숲바다와 어린이를 지지할 뿐입니다.

 그리고 저는 전라남도에 삽니다.”

하고 대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