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27. 가슴 염통 심장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오늘 새벽 한 시에 어떤 노래꽃(동시)을 새로 쓰면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는데 ‘가슴’이나 ‘가슴아프다’를 써서 어린씨한테 들려주고 싶더군요. 붓을 쥐고 종이를 펴는데 문득 “그런데, 우리말 ‘가슴’은 어떤 말밑(어원)일까?” 하는 생각이 스치더군요. “가슴하고 비슷하지만 다른 ‘염통’은 말밑이 뭘까?“ 하고도 생각합니다.


  두 낱말 ‘가슴·염통’이 어떤 수수께끼를 품었는가 하고 궁금하다고 여긴 지는 꽤 됩니다. 얼추 마흔 해는 되었어요. 그동안 숱한 어른이나 이웃한테 넌지시 여쭙거나 물었는데, 여태 똑똑히 실마리를 풀 말을 들려준 분은 없습니다.


  새벽 두 시에 이르자 속(가슴)이 답답해서 살짝 자리에 누워 눈을 감습니다. 눈을 감고 고요히 꿈길에 접어들자 ‘가슴’은 ‘마음’을 빗댈 적에 쓰는 줄 느끼고, ‘염통’은 우리 몸속에서 핏줄기를 ‘여는’ 곳인 줄 퍼뜩 깨닫습니다. 새벽 세 시부터 글종이(수첩)에 먼저 손으로 말밑그림(어원계통도)을 그립니다. 말밑그림을 얼추 매듭지은 새벽 다섯 시부터 천천히 글을 씁니다. 아침 여덟 시 삼십 분에 이르러 드디어 글을 맺습니다.


  와, 마흔 해를 품고 살아온 두 낱말 밑뿌리를 문득 갈무리해서 맺었군요. 오늘 갈무리한 이 이야기 ‘가슴·염통’을 둘러싼 우리말 참뜻풀이 수다꽃은, 2022년 8월 27일 흙날(토요일), 제주 마을책집 〈노란우산〉에서 11시부터 13시 사이에 풀어내려고 합니다. ‘가슴·염통’을 둘러싼 이웃님은 나중에 ‘우리말 수다꽃’ 자리를 마련해서 불러 주셔요. 두 낱말을 풀어내어 이야기하자면 적어도 두 시간은 들 듯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s://blog.naver.com/hbooklove/222855650903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672A983A1A801D64D71D264FEEF201E046B6&outKey=V122505b67b85774c18135a798247bb9f75b0c8b02d7ebb13c8b65a798247bb9f75b0&width=544&height=306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21. 풀노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해가 지고 밤이 가까운 저녁, 우리 집 마당하고 뒤꼍은 풀노래잔치입니다. 우리 보금숲(보금자리숲)이 풀노래로 잔치를 이루기를 바라면서 신나게 풀밭을 가꾸었어요. 텃밭이 아닌 풀밭으로 가꾸었습니다.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며 들숲바다를 달릴 적에 만난 들꽃씨를 슬쩍 훑어서 뿌리기도 했고, 예전부터 우리 집에서 자라던 들풀이 신나게 자라기를 바라기도 했습니다. 모시만 있기보다는 차조기도 있기를 바라서 차조기씨도 슬쩍 뿌렸더니, 둘이 나란히 꽃을 피우는 8월 끝자락입니다. 엉겅퀴는 아직 올라오지 않으니, 이다음에 뒷골에 올라 엉겅퀴가 씨앗을 맺을 즈음 훑어서 슬쩍 뿌리자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손으로 심고 길러서 먹는 남새로도 몸을 살찌우지만, 들풀 스스로 보금자리 둘레에서 자라는 숨결을 헤아리면서 조금씩 훑거나 그저 냄새를 맡기만 해도 몸을 살지울 만합니다. 굳이 입으로 집어넣어 주어야 ‘풀밥살이(채식생활·비건라이프)’가 되지 않습니다. 입으로 먹기만 해야 몸이 낫는다면, 구태여 숲뜰(수목원)을 걸을 까닭이 없어요. 풀꽃나무는 우리 곁에 있기만 해도 사람한테 푸른바람을 일으켜 이바지하게 마련입니다.


  부엌에서 큰아이하고 함께 그림꽃책(만화책)을 읽는데 여치가 우렁차게 노래를 하는군요. 여치 노랫가락을 별빛하고 담아 볼까 하고 마당에 조용히 내려서니, 우리 집 여치가 그만 노래를 뚝 끊습니다. 쳇 하면서 부엌으로 돌아가니 곧장 다시 노래를 들려주고요. 밤에 큰아이하고 마을을 한 바퀴 걸었는데, 어느새 이 마을에서는 우리 집 빼고는 풀노래가 죄 죽어버린 듯합니다. 풀노래가 없는 시골이라면 쓰러져가는 터전이지 않을까요? 마을논에 몇몇 풀벌레가 겨우 살아남아 나즈막히 노래를 하지만, 올해에는 아직 반딧불이를 못 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36 스승



  스승을 찾아서 떠나는 사람이 많아요. 아름다운 참스승을 기리거나 모시거나 따르는 분이 많습니다. 스승이라는 사람은 누가 시키는 대로 따르지 않습니다. 스승이라면 늘 스스로 나아갑니다. 남을 섣불리 가르치거나 이끌지 않는 스승입니다. 스승은 그야말로 스스럼없이 나아갈 뿐입니다. 사람들이 스승을 저절로 따라가지요. 스스로 배워서 스스로 아는 사람이기에 스스이에요. 남한테서 배운다면 스승이지 않습니다. 스스로 삶을 짓고 스스로 살림을 가꾸고 스스로 사랑을 노래하고 스스로 사람으로 나아가기에 비로소 스승이라는 이름이 피어납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스승한테서 배울 수 있을까요? 스승은 굳이 가르치려 들지 않아요. 스승부터 스스로 천천히 넌지시 가만히 고요히 배웠듯이, 따르려는 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천천히 넌지시 가만히 고요히 배울 수 있는 줄 알아보게 마련이에요. “이끄는 사람”이기에 스승이 아닌, “굳이 이끌지 않으면서 사람들 스스로 나아가도록 부드러이 길을 속삭이는 사람”인 스승입니다. 스스로 배우기에 슬기롭지요. 누구나 스스로 슬기롭도록 알려주는 스승이라고도 하겠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스스로 즐겁게 하루를 그리면 됩니다. 배움터(학교·학원)는 안 다니면 됩니다. 틀이 아닌 길을 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2.8.11.

책하루, 책과 사귀다 135 베스트셀러



  널리 팔린다는 책은 몇 가지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첫째, 팔림새로만 바라보아 ‘잘팔리는책’입니다. 둘째, 날개가 돋힌 듯 팔리고 읽히는 ‘날개책’입니다. 셋째, 돈·이름·힘으로 밀어대어 많이 팔리며 우쭐거리는 ‘자랑책’입니다. 제가 사서 읽는 책 가운데에는 ‘날개책’은 있되, ‘자랑책’은 없습니다. 팔림새로는 책을 안 살피려 합니다. 종이꾸러미에 담은 삶·살림·사랑을 어떤 줄거리로 얹어서 어떤 이야기로 지피려는 생각인가 하는 마음을 읽으려고 사읽을 뿐입니다. 많이 팔려서 날개책이 되기도 하지만, 삶을 가꾸고 살림을 나누며 사랑을 심는 즐겁고 아름다운 마음으로 지은 책을 누리기에 날개책이 되기도 해요. 백만 사람한테 읽혀야 할 책이 아닌, 삶·살림·사랑을 생각하는 마음이 빛나기에 아름답고 즐거울 책입니다. 오늘날 숱한 ‘베스트셀러’는 ‘자랑책’에 가깝고 ‘서울스럽’습니다. 저는 서울도 다른 큰고장(도시)도 바깥일로 이따금 드나들 뿐,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조용히 살림합니다. 사람들이 서울에 그렇게 스스로 몰려서 살고, 잿빛집(아파트)에 그렇게 스스로 빼곡하게 들어차서 엉키듯, “베스트셀러 = 서울스러운 책”일 만합니다. 그래서 저는 ‘날개책·숲빛책’을 읽고 쓰고 나눌 생각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2. 의하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2016년에 외마디 한자말 ‘의하다(依-)’를 어떻게 손질하면 될까 하는 글을 17가지 보기글을 그러모아서 갈무리했습니다. 2022년 여름까지 ‘의하다’를 손질하는 보기글을 56가지 모았습니다. 여섯 해 사이에 39가지를 더 모았는데, 새삼스레 하나씩 되짚자니, 보기글을 더 손보아야겠더군요. 예전에는 이럭저럭 넘어간 다른 얄궂은 말씨가 있으면, 이제는 새삼스레 가다듬을 길을 찾아내기도 하거든요.


우리말 ‘빛’을 어떻게 새로 풀이를 하면 어울릴까 하고 여러 해를 헤아렸으나 기다리고 묵히고 또 기다리고 묵혔어요. 어제 드디어 ‘빛’을 열 가지 뜻풀이를 붙여서 매듭짓습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일곱 가지로만 풀이해 놓는데, 세 가지 쓰임새가 더 있다고 느낍니다.


낱말풀이는 끝없는 길입니다. 지난해에 매듭지었어도 올해에 다시 들여다보면 손보거나 고치거나 보탤 데가 나타납니다. 어제 끝냈어도 오늘 다시 살피면 손질하거나 다듬거나 추스를 곳을 느껴요. ‘실학·실학자·실학사상’ 같은 한문을 어떻게 오늘날 풀어내야 어울릴까 하고 꽤 오래 헤맸는데, 문득 생각하니 ‘살림꽃·살림빛’으로 아우를 수 있겠어요. ‘살림꽃·살림빛’은 ‘가정주부’도 가리키고, ‘고유문화’도 가리키고 ‘언성 히어로·능력자·베테랑’도 가리키고, ‘인간의 가치·인권’도 ‘성장·발달·일취월장’도 두루 가리킬 만한 즐거운 우리말입니다. 뭐, 아직 여느 낱말책에는 없는, 숲노래 씨가 지은 낱말입니다만.


순이(여성)만 가정주부일 수 없고, 이래서도 안 될 노릇이라, 순이돌이 누구나 집안일을 즐겁고 알뜰히 맡을 줄 아는 슬기롭고 어진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뜻을 담을 새말을 찾다가 ‘살림꽃·살림빛’ 같은 낱말을 엮어 보았는데, 이제 이 낱말은 여러모로 쓰임결을 넓혀 곳곳에 새롭게 쓸 만하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