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40 대단하지 않되



  책은 높지도 낮지도 않습니다. 사람은 낮지도 높지도 않습니다. 어떠한 일이나 놀이도 낮거나 높을 까닭이 없습니다. 푸른별에서 풀꽃나무가 대수롭다고 할 만합니다만, 풀꽃나무만 대수롭게 바라볼 일은 아니라고 느껴요. 물에서 사는 헤엄이도, 들에서 사는 짐승도, 숲에서 사는 새도 저마다 대수로워요. 책 하나만 놓고서 본다면, 책은 대단하지 않되, 언제나 숲에서 옵니다. 모든 책은 아름드리숲에서 자라던 나무예요. 한낱 종이꾸러미가 아닌, 숲결(숲이라는 결)을 책자락(책이라는 이야기가 흐르는 자락)에서 느끼는 사이에 천천히 눈을 밝히고 마음을 틔우지 싶습니다. 무엇을 얻거나 잘난이가 되려고 손에 쥐는 책이 아닌, 저마다 다르게 숲이라는 숨결을 품은 삶인 줄 가만히 느껴서 푸르게 빛나려고 손에 쥐어 보는 책이지 싶어요. 책을 읽기에 징검다리를 놓습니다. 너랑 나 사이에 새롭게 숨결을 틔우는 이야기를 책 하나로 살며시 잇습니다. 이름난 글님(작가)이나 이름없는 읽님(독자)이 아닌, 수수하게 숲에서 일렁이는 풀꽃나무 같은 너나(글님+읽님)입니다. 우리는 서로 다르게 빛납니다. 우리는 언제나 스스로 즐겁게 깨어납니다. 대단하지 않되, 마음 깊이 흐르는 풀빛을 일깨워 삶빛을 손수 짓도록 속삭이는 책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9.22. 빛깔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남양주 마을책집을 다녀오면서 장만한 어느 그림책은 온통 ‘파랑’을 들려주는데, 책이름은 ‘푸른’으로 적더군요. ‘blue’를 ‘파란’ 아닌 ‘푸른’으로 옮긴 셈인데, 어른책뿐 아니라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이 이렇게 우리말을 잘못 쓰면 어린이는 빛깔말을 비롯해 우리말을 엉성하게 받아들이고 맙니다.


  풀빛이기에 ‘푸르다’입니다. 하늘빛처럼 파랗기에 ‘파랑’입니다. “푸른들에 파란하늘”인데, 잘 가리는 어른이 있으나 못 가리거나 안 가리는 어른이 꽤 많더군요. 안 되겠구나 싶어서 ‘빛깔말 말밑 이야기’를 새롭게 씁니다. 그동안 여러모로 생각한 바도 있고, 말밑찾기(어원연구)로 여러 빛깔말 뿌리를 캐내기도 했는데, 글을 다 여미고 보니 ‘빛깔말을 한자리에서 들려준 글’은 오늘에서야 처음 썼더군요.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오려면 곧 시골버스를 타야 합니다. 읍내를 다녀오고서 ‘푸르다·파랗다’하고 얽혀 어른들이 잘못 쓰는 말버릇을 넌지시 타이르는 글을 하나 더 쓰려고 합니다. 오늘 새벽에는 ‘한글·훈민정음’ 두 가지 이름을 아무렇게나 섞어서 쓰는 적잖은 어른(지식인·교수·학자)를 부드러이 나무라는 글을 새로 추슬렀습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얕은 부스러기(지식)에 기대지 말고, 몇몇 책에 따르지 말아야지요. 삶을 보고 살림을 살피고 사랑을 그리면서 숲빛으로 여밀 노릇입니다. 정 종이책에 기대고 싶다면, 종이책을 100만 자락쯤은 읽기를 바라요.


  저는 열여덟 살부터 마흔일곱 살에 이르도록 100만 자락을 훌쩍 넘을 만큼 온갖 책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100만 자락이 넘는 책을 읽으며 무엇을 깨달았느냐 하면, ‘책을 더 읽거나 더 기댈수록 스스로 바보라는 우물에 갇힌다’입니다. 아이들하고 살림을 함께 짓고, 손수 집안일을 맡아서 노래하고, 부릉이(자동차)가 아닌 두 다리하고 자전거로 움직이지 않으면, 이 삶을 담아낸 말을 제대로 읽거나 느끼거나 알 수 없겠더군요. 그리고, 말글을 다루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서울(도시)이 아닌 시골에서 조용히 보금자리를 일구면서 숲을 품어야 합니다. 우리말도 일본말도 중국말도 영어도 라틴말도 밑뿌리는 다 ‘숲’에서 왔습니다. 숲을 모르거나 등진다면 말하기도 글쓰기도 거짓이나 눈속임이나 겉치레나 허울좋은 껍데기로 그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39 제2의 아무개



  어느 그림책을 처음 본 날 참으로 거북해서 한켠에 밀어놓았고, 여섯 달 만에 다시 들추어 찬찬히 읽었습니다. 이 그림책은 책날개에 “제2의 존 버닝힘, 제2의 퀸틴 블레이크, 영국 그림책 전통을 잇는 작가(그림책연구가 김난령)”라는 말을 새겼어요. 다시 읽어 보아도 쓴웃음이 납니다. 그림책을 싫어하니까 “제2의 아무개”라는 말을 쓰겠지요. 그림책뿐 아니라 글책도 빛꽃책(사진책)도 매한가지입니다. “제2의 아무개”라는 이름을 붙인다면 ‘흉내·시늉·따라하기·베끼기’에 갇혔다는 뜻입니다. 스스로 서지 못한 모습에 “제2의 아무개”란 이름을 붙여요. 생각할 노릇입니다. 똑같은 책이란 없고, 비슷한 책도 없어요. 다 다른 나라에서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이웃을 곁에 두고서 다 다른 어른이자 사람으로서 다 다른 사랑으로 다 다른 삶을 고스란히 실어서 다 다른 이야기로 여미어 내는 다 다른 책입니다. 우리는 서로 어깨동무할 마음이 있는가요? 우리는 서로 손잡고 뛰놀며 웃고 노래할 생각이 있는지요? 힘을 빼야 놉니다. 힘이 들어가면 못 놀아요. 힘을 잔뜩 주면 일도 어그러집니다. 살림·집안일도 힘이 아닌 마음으로 합니다. 아직 스스로 마음을 못 세워 “제2의 아무개”로 맴돌 테지요. 마음을 세우면 ‘나’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38 8000원



  장만해 놓고서 몇 해를 묵힌 그림꽃책(만화책) 《3월의 라이온》 14·15걸음을 2022년 8월에 읽었습니다. 우리말로는 2009년부터 나오는데, 그때 펴냄터에서는 8000원을 붙였습니다. 그무렵 여느 그림꽃책은 3000∼3500원, ‘완전판(두 자락을 하나로 묶은 판)’은 5500∼6000원이었기에 바가지였어요. 이렇게 부풀려도 되나 싶더군요. 도무지 사기 싫어 미적미적했어요. 헌책으로 나오는 날까지 기다리고프더군요. 2022년 4월에 《3월의 라이온》 16걸음이 나왔는데 2009년하고 똑같이 8000원입니다. 요새는 여느 그림꽃책이 4500∼5500원일 만큼 종이값이 오른 터라 《3월의 라이온》이 8000원이어도 안 비싸 보입니다. 그 펴냄터는 왜 2009년에 5000원도 6000원도 아닌 8000원이란 값을 덜컥 붙였을까요? 팔기 싫었을까요? 펴냄터에서 값을 어떻게 하든 사람들이 알아서 따르게 마련이라고 콧대를 높였을까요? 열 몇 해 동안 값을 안 올려서 고마울 수 있지만, 이보다는 종이값 오름결에 맞추어 조금씩 올려도 좋으니, 처음부터 세게 밀지 않기를 빌 뿐입니다. ‘이미 나온 책(구간도서)’은 에누리해야 하지 않느냐고 묻는 분이 있다면, 우리나라는 종이값이 꾸준히 오르기에 ‘에누리 아닌, 조금씩 올려서 책값을 받아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

지난해까지 '네이버 날씨'에서 "구름 영상"을 볼 수 있었으나,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 아니, 없앴다고 해야겠지. 우리나라 기상청에서조차 '구름 영상'을 안 올린다. 그러나 일본이며 세계 여러 나라를 뒤지면 '구름 영상'을 쉽게 찾아볼 뿐 아니라, 어제오늘 지나가는 돌개바람(태풍)을 놓고도 '틀림없는 흐름자국'을 미리 읽거나 엿볼 수 있는 '구름 영상'이 수두룩하다. 


나무가 뽑히기도 할 테고, 자동차가 뒤집어지기도 할 테고, 너울이 치기도 하겠지. 그러나 그런 모습만 보여주면서 사람들한테 두려운 마음을 심으려는 언론통제가 지난 몇 해 사이에 너무 불거졌다.


전남 고흥에서 살아가는 나로서는, 돌개바람이 친다는 어제랑 오늘 새벽에도, 풀벌레가 노래하고 개구리가 노래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아무 일이 없겠다고 느꼈다.


우리나라 기상청이 몇 해 앞서 '중국 슈퍼컴퓨터'를 목돈으로 들였다고 하는데, 왜 그랬을까? 구름 영상을 보고도 날씨를 못 읽는다면, 하늘과 땅을 보고도 날씨를 못 읽겠지.


기상청은 없어도 되고, 날씨방송도 덧없다. 스스로 하늘과 땅을 보면 되고, 정 궁금하면 '구름 영상'을 이웃나라 누리집에서 찾아보면 된다.


우리나라에는 쓸데없는 공무원이 너무 많아, 돈이 엄청나게 샌다.


https://www.windy.com


https://www.ventusky.com


https://www.accuweather.com/en/jp/national/satellite


https://zoom.earth


#숲노래 #기상청 #언론통제 #국가통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