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바라본 한국
 [따순 손길 기다리는 사진책 34] 이강(李剛), 《韓國》(保育社,1971)

 


  남북녘이 살아가는 땅떵어리에서 오른쪽에 있는 바다를 가리켜 ‘동해’라 말한다지만, 러시아나 일본에서 바라볼 때에도 이 바다가 ‘동해’가 될 만할까 궁금합니다. 지구별에 남북녘 살아가는 땅덩어리만 있다 한다면, ‘동해’뿐 아니라 ‘서해’나 ‘남해’라는 이름을 지도책에 척 하니 적바림할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지구별이라는 테두리에서 바라볼 때에도 ‘동해’라는 이름을 쓸 만할까 궁금합니다. 이와 마찬가지인데, 일본에서는 ‘일본해’라 이름을 붙인다는데, 먼먼 옛날, 곧 서기 500년이나 서기 1000년에는, 기원전 500년이나 2000년 즈음에는 일본땅에서 이 바다를 어떤 이름으로 가리켰을까 궁금합니다. 한겨레한테는 ‘동해’였다면 일본겨레한테는 어떤 바다였을까요. 한겨레는 남북녘 땅덩어리 아래쪽 바다를 두고 ‘남해’라 말하지만, 정작 남북녘 땅덩어리 아래쪽 바다는 ‘남해’라기보다 ‘태평양’이에요. 이쪽 바다를 가리킬 이름을 옳게 붙이자면 ‘남해’ 아닌 ‘제주해(제주바다)’쯤 되어야 알맞지 않으랴 싶어요. 그러고 보면, 한겨레한테는 오른쪽이요 일본겨레한테는 왼쪽이라 할 바다는 ‘울릉바다’라고도 할 만하겠지요. 널따란 바다 한복판에 울릉섬이 꽤 크게 솟았으니까요.


  1930년에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이강(李剛) 님이 엮은 사진책 《韓國》(保育社,1971)을 읽습니다. 베트남전쟁 취재도 했다는 이강 님이라 하는데, 이분이 어떤 사람인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보육사 빛깔책(保育社 color books)’ 가운데 하나로 《韓國》을 내놓은 만큼, 한국 이야기에 눈길을 두는 분인 줄 헤아릴 수 있습니다. 1966년에는 《これが新しい世界だ “KOREA”》를 엮기도 했다고 해요. 《これが新しい世界だ》는 ‘世界情報社’라는 곳에서 서른두 권으로 내놓은 ‘세계여행 전집’이랄지 ‘세계 이야기 전집’과 같은 책인데, 이 가운데 이강 님이 “한국(KOREA)”을 맡았다는군요. 어쩌면 재일조선인 이강 님일 수 있으나, 이 대목조차 오늘날에는 발자국을 찾기 힘듭니다.


  사진책 《韓國》을 찬찬히 읽습니다. 겉에는 “カラ-ガイド”라는 말이 적힙니다. 보육사 빛깔책은 빛깔사진과 그림자사진을 두 쪽마다 갈마들어 넣습니다. 1960∼70년대에 이처럼 빛깔사진을 듬뿍 넣은 작은 사진책을 구경하기는 쉽지 않았으리라 봅니다. 더구나 퍽 값싸게 장만해서 알차게 즐길 만한 책은 퍽 적었겠지요.

 

 

 

 

 


  사진책 《韓國》에 실린 사진은 ‘일본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한국’입니다.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한국이 아닙니다. 일본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한국을 담아내어 ‘일본에서 한국으로 찾아갈 사람한테 길잡이가 되도록’ 엮습니다. 한국을 찾아간 일본사람이 ‘한국에서 으레 보거나 마주하거나 겪거나 부대낄 모습’을 꾸밈없이 담습니다.


  예나 이제나 거의 비슷하다 할 텐데, 1971년이든 2011년이든, 또 앞으로 2051년이 되든,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한국 바깥에 보여주는 한국 모습’이라 한다면 어떠할까요. 아마, 사진책 《韓國》에 나오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보여주려고는 안 하겠지요. 관광지라든지 ‘아름다운 자연’을 찍는 사진은 《韓國》에도 있습니다만, 《韓國》에는 아름다운 자연이나 관광지만 나오지 않아요. ‘도심에서 30분만 나오면 김포공항 언저리에서도 소가 끄는 수레’를 볼 수 있다면서, 한국을 보여주는 사진 가운데 하나로 소가 끄는 수레를 ‘자동차로 꽉 찬 서울 도심’ 사진이랑 나란히 보여줍니다. 비가 오는 날 우산을 파는 사내아이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놀이공원에서 풍선을 파는 아저씨 모습을 사진으로 담습니다. 갓난쟁이를 업은 아주머니가 살아가는 ‘풀로 이은 지붕’이 가득한 시골마을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냇가에서 빨래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습니다. 손으로 모내기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온돌’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는 풀집 가득한 시골마을에서 굴뚝에 연기가 솔솔 피어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연탄을 나르는 아이 모습이랑 도리깨질을 하는 할매 할배 모습을 보여줍니다. 고무신을 꿴 아이들 모습하고 나룻배 모습을 보여줍니다. 참말, 한국사람 살아가는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꾸민 모습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눈부신 경제발전’ 모습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이른바, 공장 굴뚝을 보여주지 않아요. 새마을운동이니 무어니 하면서, ‘한국 정부에서 한국을 알리려고 나라밖에 보여준다’는 사진책을 들여다보면, 경부고속도로 죽 뻗은 길이라든지, 새로 지은 우람한 공장이라든지, 서울에 번듯번듯 높직하게 세운 건물과 아파트라든지, 예쁘장해 보인다는 놀이공원이라든지, 온통 이런 모습들을 ‘한국 정부가 뽐내려’ 하는데, 사진책 《韓國》에는 ‘한국 정부가 뽐내고 싶어 하는 모습’은 한 가지도 안 실립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가 사진책 《韓國》을 보았으면 거북하게 여겼겠구나 싶어요. 왜 더 ‘발전된 신흥공업국’다운 모습을 안 보여주느냐고, 설악산이나 오대산이나 한라산 사진을 잔뜩 보여주지 못하느냐고 따질 만하구나 싶어요.


  사진책 《韓國》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여느 사람들 살림살이를 살짝 들여다봅니다. 설악산에 갈 겨를에 여느 도시 여느 골목을 걷는다든지, 여느 시골 여느 고샅을 걷습니다. 더 깊이 파고들지는 못하나, 여느 사람들 살림집 사이를 걷습니다. 수수한 사람들 수수한 살림새와 함께, 한겨레가 먼 옛날부터 이룬 예쁜 문화가 무엇인가 하고 보여줍니다. 박물관과 경주를 돌아다니면서 이곳에 깃든 문화재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사진책 《韓國》은 ‘여느 일본사람이라면 담아낼 수 없을’ 모습을 담아내어 보여주기에 이쁘장합니다. 우스꽝스러운 극장 간판을 보여줍니다. 부산 바닷가에서 발가벗고 노는 사내아이를 보여줍니다. 서울 을지로 한옥집을 보여주되, 눈 가득 내린 날 마당에 자전거가 선 모습을 보여줍니다. 밥집이나 멋집도 보여주지만, 여느 저잣거리 모습을 찬찬히 보여줘요.


  서울 골프장, 이화여대, 청계천 고가도로 밑 길장사, 얼어붙은 한강에서 얼음을 지치는 아이들 사진을 가만히 바라보면서 자그마한 책을 덮습니다. 이제, 거꾸로 생각을 해 봅니다. 1971년 무렵, 한국에서 일본을 찾아간 누군가 있을 적에, ‘한국에서 일본을 바라보며 사진을 찍어 보여준다’ 한다면, 어떠한 모습을 얼마나 어떻게 담아서 보여주었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2011년 오늘날 한국사람은 일본을 찾아가서 어떠한 모습을 즐겁게 누리면서 어떠한 사진을 찍는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앞으로 2051년쯤 된다면 이때에는 한국사람이 어떤 눈길로 이웃 일본을 바라볼는지 생각해 봅니다.

 


  그나저나, 1971년, 2011년, 2051년, 이렇게 여든 해에 걸쳐 어느 한 나라를 살핀다 할 적에, 우리들은 우리 스스로 우리 마을과 보금자리와 나라와 이웃을 어느 만큼 속속들이 살피면서 어느 만큼 사랑스레 껴안을까 헤아려 봅니다. 한겨레 스스로 바라보는 한겨레는 어떤 모습일까요. 한겨레 스스로 이웃나라한테 보여주고픈 한겨레 이야기는 어떤 모습인가요. 한겨레는 한겨레 스스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야기’를 꾸밈없이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으로 알뜰살뜰 담는다고 말할 만한가요.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 삶터를 사진으로 못 담고 말아, 이렇게 이웃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한국 삶터를 담은 사진으로 ‘이 나라 사람들 발자국을 돌아보’아야 하지는 않나 궁금합니다. (4345.7.14.흙.ㅎㄲㅅㄱ)

 

(사진책 읽는 즐거움 .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책과 도서관 (도서관일기 2012.7.1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사진잡지 《월간 사진》에서 연락이 왔다. 다음달에 창간 마흔여섯 돌이라 하면서, 특집기사를 낸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사진을 즐기다’라는 꼭지가 있어, 나한테도 몇 가지를 여쭌다고 한다. 사진책을 읽는 즐거움, 가장 좋아하는 사진책 하나, 사진책을 읽는 버릇, 사진책을 잘 갖춘 책방, 사진책이란 무엇인가, 하고 다섯 가지를 여쭌다. 어느 하나 쉬 말하기 어려운 물음이다. 모두들 퍽 길게 적을 만한 물음이다. 그러나 짤막하게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하니까 여러모로 간추려서 적어 본다. 새벽에 바지런히 글을 쓰서 누리편지를 띄운다. 아침에 아이들과 서재도서관으로 간다. 잡지 기사에 사진을 함께 싣는다 하기에, 가장 좋아하는 사진책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야 한다. 이렁저렁 도서관 청소를 하고 나서 책 사진을 찍는다. 책 사진을 찍는 김에 오랜만에 ‘사진책 자리’도 사진으로 찍는다. 이제 도서관 바닥에 자질구레한 것이 거의 없는 터라, 어디에서 어떻게 찍어도 퍽 그림이 된다고 느낀다. 책꽂이 벽에 붙인 사진도 좋은 그림이 된다. 사진이 그림이 된다.


  집으로 돌아와 누리편지를 다시 보낸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나는 내 책으로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2007년부터 오늘 이때까지 달삯을 꼬박꼬박 치르면서 ‘사진책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벌이가 마땅하지 않으면서 달삯을 치르기란 벅찬 일이라 할 만하지만, 이곳 ‘사진책 서재도서관’이 씩씩하고 튼튼하게 이어가기를 바라는 사람들 따순 손길에 힘입어 오늘 하루도 즐겁게 지킬 수 있다. 나라에서나 지역정부에서나 내 서재도서관을 도운 적은 없다. 아마, 나라나 지역정부에서 생각이 있었으면, ‘국립 사진도서관’이나 ‘시립(또는 군립) 사진도서관’을 세우지 않았을까. 꼭 번듯한 건물로 세워야 할 ‘사진도서관’ 또는 ‘사진책도서관’은 아니다. 자그마한 골목집 하나를 알맞춤한 값으로 사들여서 예쁘게 꾸미면 된다. 나라에서도 지역정부에서도 이 같은 일을 안 하니까, 나는 내 힘으로 이 일을 한다. 사진과 사진책을 사랑하고 싶은 이라면, 전남 고흥이 퍽 먼 시골로 느낀다 하더라도 스스럼없이 찾아오리라. 책과 사진을 누리면서 좋은 숲과 시골과 자연을 나란히 누리리라.


  사람은 책만 볼 수 없다. 사람이 책을 보자면, 책이 태어나는 밑바탕이 되는 숲을 함께 보아야 한다. 숲을 느끼며 책을 볼 때에 비로소 삶도 사랑도 사람도 슬기롭게 깨달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박풀 책읽기

 


  수박은 열매이기 앞서 풀이다. 참외도 오이도 당근도 모두 참외풀, 오이풀, 당근풀이다. 작은 씨앗 하나에서 비롯하기에, 참외씨 없이는 참외가 없고, 당근씨 없이는 당근이 없으며, 오이씨 없이는 오이가 없다. 큼지막해서 십 킬로그램이 넘어가기도 하는 수박 또한 아주 작아 한 그램조차 안 되는 씨앗이 있어야 태어날 수 있다.


  마당 텃밭 한켠에서 수박풀이 돋는다. 수박씨를 심은 적은 없지만, 수박씨를 몇 차례 뿌린 적 있는데, 이 가운데 하나가 싹을 틔운다. 수박풀은 씩씩하게 잘 자라다가 그만 시들시들하고 만다. 왜 그러한가 하고 들여다보니 줄기가 비틀렸다. 왜 비틀렸지? 아이들이 놀다가 그만 수박풀을 잡아당겨서 끊어질랑 말랑 되었을까. 어머니와 아버지가 풀을 뽑듯 아이들이 수박풀도 뽑으려고 하다가 잘 안 뽑히니까 비틀다가 줄기가 그만 달랑달랑 되었을까.


  수박풀이 씩씩하게 자라나 수박꽃을 피우고 수박꽃이 찬찬히 여물어 수박열매 되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었는데, 이 수박풀은 그만 시들어 죽을 듯하다. 가느다란 줄기가 다시 힘을 내어 살아날 수 있을까. 수박풀은 끈질기면서 힘찬 기운을 뽐내어 새롭게 잎사귀를 뻗고 줄기를 이을 수 있을까. (4345.7.12.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jy 2012-07-12 18:50   좋아요 0 | URL
그렇죠, 풀이죠^^ 전혀 생각도 못했네요~~

숲노래 2012-07-13 09:19   좋아요 0 | URL
모두 좋은 풀이에요
 


 무릎에 얹은 책

 


  작은 아이가 다리에 그림책을 얹고 읽는다. 작은 아이한테 그림책은 무척 큰 책이다. 다리를 곧게 펴고 앉아 그림책을 얹으면 허벅지부터 무릎까지 책으로 덮인다. 나무로 빚은 종이책이 아이 살결에 닿는다. 나무내음과 나무빛이 서린 책이 아이 살갗에 닿는다. 나무로 둘러싸인 시골마을에서 푸른 숨을 마시는 아이는, 나무한테서 목숨을 얻어 빚은 종이책을 두 손으로 만지작거리면서 이야기를 읽는다. (4345.7.12.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수에서 책읽기

 


  네 식구 함께 여수로 마실을 갑니다. 도시사람이 자주 찾는다 하는 여수바다는 어떠할까 궁금하기도 하지만, 우리 식구한테는 다른 무엇보다 여수에 한 군데 씩씩하게 뿌리내려 책살림 일구는 헌책방 〈형설책방(형설서점)〉이 궁금합니다. 여수시가 여수다운 삶터 빛을 곱게 돌보도록 생각밭을 일구는 헌책방 〈형설책방〉은 어떠한 이야기로 책삶을 나누는가 궁금합니다.


  고흥 도화 동백마을에서 군내버스를 타고 이십 분쯤 달려 읍내로 나옵니다. 읍내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한 시간 사십 분 남짓 달립니다. 한 시간 훌쩍 넘는 시외버스에서 두 아이와 옆지기가 죽을 동 살 동합니다. 나는 아무 말을 안 했지만 나도 속이 메스껍습니다. 시골에서 조용히 살다가 이웃 가까운 도시로 나오는 마실길만 하더라도 참 고단하다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여수 버스역에서 내린 다음 택시로 갈아탑니다. 택시삯 3900원을 들여 여수경찰서와 여수등기소 사이 헌책방으로 찾아갑니다. 택시 일꾼은 ‘여수에 한 군데 있는’ 헌책방을 모릅니다. 그래도, 여수 버스역 앞에 있는 관광안내소에서 일하는 할아버지는 ‘여수에 한 군데 있는’ 헌책방을 잘 압니다.


  택시는 엑스포를 펼친다는 곳 옆을 끼고 달립니다. 퍽 먼발치에서도 우람하게 지은 건물이 보입니다. 아주 많은 사람들은 저 우람한 건물에 들어가서 무언가 구경하려고 몇 시간이고 줄을 선다고 합니다. 아마 구경거리가 많으니까 저곳으로 찾아가겠지요.


  택시를 타고 달리는 짧은 길이지만, 여수시에서는 이웃 다른 도시에서와는 좀 다른 빛깔을 느낍니다. 여수하고 이웃한 순천이나 광양하고만 대더라도, 여수 시내에서는 푸른 빛깔이 꽤 짙습니다. 가까이에 숲이 있고, 곁에 숲이 있으며, 둘레에 숲이 있습니다. 여수도 순천도 갯벌이나 바닷가에 온갖 건물과 아파트와 시설을 때려지으면서 관광산업을 북돋우려 똑같이 애쓰기는 하지만, 여수에는 아직 건물이나 아파트나 시설에 덜 밀리거나 안 밀린 숲이 제법 있습니다.


  나무숲이 있기에 이곳 여수에서 책숲을 돌보는 일꾼 두 분이 땀흘릴 만하겠구나 싶습니다. 풀숲이 있어 이곳 여수에서 이야기숲을 꿈꾸는 일꾼 두 분이 책손을 기다릴 만하겠구나 싶습니다.


  여수 길그림에는 여수 헌책방이 적히지 않습니다. 가만히 보면, 여수 길그림에는 여수 헌책방뿐 아니라 여수 새책방도 안 적힙니다. 관광길그림이건 이런저런 길그림이건 책방을 하나하나 적바림하지 않습니다. 부산에서 내는 관광길그림에는 보수동 헌책방골목을 그려 넣지만, 부산 시내 곳곳에 있는 헌책방을 알뜰히 그려 넣지는 않아요. 서울에서도 인천에서도 대구에서도 광주에서도 대전에서도 길그림에 헌책방이건 새책방이건 제대로 그려 넣지 않아요.


  그렇지만, 책방 일꾼은 스스로 책사랑을 빛내며 예쁜 책길을 걷습니다. 나와 내 살붙이들은 책사랑이 빛나는 책길을 함께 걷습니다. (4345.7.11.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