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꽃 책읽기

 


  두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태우고 발포 바닷가로 가는 길에 꽃을 본다. 길에서 피고 지는 가을꽃이다. 바야흐로 가을에 접어드니, 여느 사람들은 가을날 지는 노랗거나 붉은 가랑잎을 떠올릴까. 그렇지만 이 가을에 길섶이나 풀섶에 예쁘장하게 피고 지는 조그마한 꽃이 많다. 예나 이제나 적잖은 이들은 살살이꽃(코스모스)을 두고 가을을 말하곤 하는데, 관청에서 씨앗을 잔뜩 뿌려 길가에 나풀거리는 살살이꽃이 길에서 길꽃처럼 피기도 하지만, 누가 씨앗을 뿌리지 않았어도 바람에 날리고 들짐승 털에 붙어 옮기며 천천히 자리를 넓히는 들풀이 조그마한 꽃을 피우기도 한다. 관광지라면 관청 공무원이 ‘자활 근로 일꾼’을 일삯 몇 만 원에 부려 코스모스를 뺀 다른 길꽃은 모조리 뽑거나 베지 않았을까. 관광지 아닌 여느 시골이라 온갖 들꽃이 길가에서 흐드러지며 서로 어여쁜 길꽃잔치를 벌인다. 어느 마을 어귀를 보니, 길가를 따라 관청에서 길게 심었음직한 동백나무 둘레로 마을 할머니가 심었음직한 호박이 노랗고 커다란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관청에서 뭘 하지 않아도, 마을은 할머니들이 지켜 주신다니까요. (4345.9.15.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복을 입는 책읽기

 


  이른아침에 어머니가 동생하고 마을걷기를 하러 나가니, 큰아이가 저도 데리고 가라며 달려 나가는데, 굳이 한복을 입고 나가려 한다. 걷고 들어와서 입어도 될 테지만, 아이는 아이대로 스스로 느끼기에 더 고운 옷을 입고 싶다.


  할머니가 한 벌 사 주고, 마을 이웃 할머니한테서 손주 한복 작아진 것을 한 벌 얻었다. 아이는 이 옷을 명절에만 입는 옷으로 묵히고 싶지 않다. 명절날 신나게 입어 땀으로 옴팡 젖은 옷을 빨아서 널면, 다 마르기 무섭게 큰아이 스스로 걷어서 입는다. 이렇게 달포 가까이 한복입기를 하는데, ‘이제 그 옷은 그만 입고 다른 옷도 좀 입지?’ 하는 마음으로 빨래가 다 마르고 아이가 눈치를 못 챌 적에 슬그머니 종이가방에 담아 옷장 한쪽에 모신다. 아버지는 모르는 척 아뭇소리를 않는다.


  이렇게 해서 아이가 한복을 잊고 한동안 지나가는데, 얼마쯤 지나면 새삼스레 “내 한벅(한복) 어디 있어? 내 예쁜 치마 어디 있어? 할머니가 사 준 내 예쁜 치마 어디 있어? 나 예쁜 치마 입고 싶어.” 하면서 조잘조잘 노래를 부른다. 이 노래를 듣고도 모르는 척할 수 없기에 옷장에서 종이가방을 꺼내어 아이한테 내민다. “네가 입고 싶다 했으니까, 이제는 스스로 입어 봐.”


  일본에서 살아가는 한겨레 이야기를 다룬 다큐영화를 보다가 새삼스레 떠올린다. 그러고 보면, 일본에서든 중국에서든, 또 북녘에서든, 가시내는 으레 ‘치마저고리’를 입는다. 사내는 ‘서양 차린옷’을 으레 입지만, 가시내한테는 ‘고운 겨레옷’이라 일컬으며 치마저고리를 입도록 한다. 오직 남녘에서만 가시내도 사내도 겨레옷이든 한국옷이든 한복이든 입으려 하지 않는다. 워낙 내 나라 옷을 나 스스로 안 입으려 하는 남녘이기에, ‘생활한복’이라는 이름을 달고 새로운 옷이 나온다.


  그런데, ‘생활한복’이란 무엇일까? 언제부터 한복이 ‘살아가며(생활)’ 입는 옷이 아니라 명절에만 예쁘게 보이라 입는 옷이 되었고, 이 때문에 굳이 ‘살아가며’ 입는다는 한복이 따로 나왔을까?


  그리 멀잖은 옛날, 이 땅 사람들 누구나 아주 마땅하면서 어여쁘게 한복을 입었다. 한겨레 누구나 한복을 입던 지난날, 한겨레가 입던 옷을 가리키는 이름은 ‘한복’이 아니었으리라 느낀다. 한겨레 바깥에서 살아가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바라보기에 ‘한복’이지, 이 땅 사람들로는 그저 ‘옷’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2000년대 오늘날 이 땅 사람들이 입는 ‘여느 옷’이 바로 ‘한복’이다. 한겨레가 오늘 입는 옷이 바로 한복이지, 다른 옷이 한복이 아니다. 이리하여, ‘한옥’도 없다. 한겨레가 살아가는 집은 그저 ‘집’일 뿐 한옥이 될 수 없다. 한겨레가 먹는 밥 또한 ‘한식’이 아니라 ‘밥’일 뿐이다.


  생각해 보라. 앞으로 천 해가 지나 3000년대가 되면, 3000년대를 살아갈 이 땅 뒷사람은 2000년대 ‘한겨레 옷 문화’를 어떻게 말하겠는가. 바로 오늘 우리가 입는 여느 옷이 곧바로 ‘한복’인 셈이다.


  생활한복이란 없다. 한복도 없다. 그저 옷이다. 일본에서 살아가는 한겨레는 ‘한복’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치마저고리’라고 말한다. 옳다. 치마저고리를 입으니 ‘치마저고리’라 말한다. 그러니까, 우리 아이도 ‘한복’을 입는다 말할 수 없다. 우리 큰아이도 ‘치마저고리’를 입는 셈이다. 그러면 우리 작은아이가 제 옷을 입는다 할 때에는 ‘색동옷’이 될까, 아니면 ‘바지저고리’가 될까. (4345.9.1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읽기
― 천천히 알아보며 즐긴다

 


  나는 2000년부터 해마다 부산을 찾아갑니다. 부산에 아는 얼굴이 여럿 있기도 하지만, 아는 얼굴을 보러 찾아가는 부산은 아닙니다. 부산에는 골목골목 어여쁜 헌책방이 있기도 하고, 보수동에는 헌책방골목이 있습니다. 나는 보수동에 있는 헌책방골목을 비롯해서, 골목골목 깃든 어여쁜 헌책방을 누리고 싶은 마음으로 부산을 찾아갑니다.


  해마다 한 차례나 두 차례 찾아가면서 사진을 조금씩 찍습니다. 한 해에 필름사진 백오십 장에서 이백 장 즈음? 어느새 열 해 남짓 부산 나들이를 하니까 필름사진이 이천 장 즈음 모입니다. 나로서는 뜻한 일은 아니었으나 열 해 남짓 사진을 찍으며 이런저런 달라진 모습을 느낍니다. 어느 헌책방은 간판이 바뀌고, 어느 헌책방은 문을 닫습니다. 어느 헌책방은 새로 문을 열고, 헌책방마다 일꾼들 매무새가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해마다 나이를 먹으니까요.


  자리를 옮기는 헌책방을 봅니다. 어느 헌책방 할배는 그만 숨을 거둡니다. 어느 헌책방은 책꽂이를 바꾸고, 어느 헌책방은 새 일꾼이 들어옵니다. 이쪽 헌책방에서 여느 일꾼으로 일하다가 저쪽 골목에서 씩씩하게 새 가게를 차려 사장님이 된 분을 만납니다. 헌책방골목 이름이 차츰 널리 알려지면서 부산시청인지 중구청에서 골목 거님돌을 새로 깔아 줍니다. 이동안 보수동 한켠에 ‘헌책방 빌딩’이 하나 서며, 헌책방골목을 기리는 전시관이 생깁니다.


  누구라도 스스로 좋아하는 무엇 하나를 사진으로 찍을 때에는 열 해이든 스무 해이든, 또 서른 해이든 마흔 해이든 줄기차게 찍기 마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면서 여러 가지 모습을 보겠지요. 빛을 보고 그림자를 보겠지요. 맑은 날을 보고 흐린 날을 보겠지요. 웃는 얼굴과 우는 얼굴을 보겠지요.


  아이들 자라나는 흐름을 찍는 여느 어버이도 다큐멘터리 사진쟁이라고 느낍니다. 스스로 좋아하는 사진감 하나를 씩씩하게 사진으로 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진가’, 곧 ‘사진쟁이’라는 이름을 얻을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올해에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에서 사진잔치를 열며 붙일 사진을 고르다가, 2009년에 찍은 사진 한 장 오래도록 들여다봅니다. 그예 문을 닫은 헌책방 간판을 떼는 사진입니다. 옛 헌책방 한 곳 문을 닫으며 퍽 오랫동안 빈자리가 되었는데, 이 텅 빈 곳에 젊은 분이 새 헌책방을 열었어요. 그래서 나는 옛 헌책방 모습과 헐린 모습과 새 헌책방 모습을 여러 해에 걸쳐 몇 장씩 찍습니다. (4345.9.13.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사진책 읽는 즐거움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가을 책읽기

 


  한가위가 다가오는 한가을이 되는구나 싶다. 꼿꼿이 서며 드센 비바람을 이긴 들판 나락은 차츰 고개를 숙인다. 어떤 비와 바람이 찾아들더라도 꼿꼿이 서던 볏포기였는데, 따사롭게 내리쬐는 햇살에 알맹이가 튼튼히 여물며 비로소 고부장하게 고개를 숙인다.


  마을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가을콩을 거두어 말리고 터느라 부산하다. 할머니와 할아버지 허리는 한가을 볏포기처럼 고부장하다. 일흔을 넘길 무렵까지는 반듯하고, 여든을 넘길 무렵부터는 한결같이 고부장한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경운기도 타고 오토바이도 탄다. 지팡이를 짚고 천천히 걷는다. 잔치에 가거나 읍내에 갈 적에는 고운 옷에 고운 신을 신지만, 들일을 할 적에는 모두들 맨발이거나 낡은 고무신을 신는다.


  일하는 사람한테는 맵시나는 매끄러운 옷이 거추장할 테지. 그렇지만, 도시에서 일하는 사람은 하나같이 맵시나는 매끄러운 옷을 걸친다. 뾰족구두를 신고 가죽구두를 신는다. 도시에서 일하는 사람은 구두가 반짝반짝 빛나도록 하며, 옷에 흙이고 먼지이고 한 점조차 안 묻히려고 한다.


  우리들은 저마다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일까. 손에 흙을 안 묻히고도 밥을 먹을 수 있을까. 손에 물을 안 묻히고도 살림을 일굴 수 있을까. 몸에 햇살을 받아들이지 않고도 사랑을 할 수 있을까. 마음에 가을바람 들바람 멧바람 바닷바람 잔뜩 맞아들이지 않고도 꿈을 꿀 수 있을까. (4345.9.1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추꽃 나비 책읽기

 


  여름을 떠나 보내는 바람이 산들산들 싱그럽고 시원합니다. 텃밭에 부추꽃이 흐드러지고, 흐드러진 부추꽃 사이사이 노니는 나비들이 춤춥니다. 마음껏 춤추고 마음껏 밥먹고 마음껏 노래하며 이 가을을 즐기렴, 예쁜 나비들아. (4345.9.13.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9-14 21:50   좋아요 0 | URL
ㅎㅎ 나비를 찍으셨네요.DSLR이신가요?? 움직이는 것은 똑딱이는 좀 힘들지요^^

숲노래 2012-09-15 03:01   좋아요 0 | URL
뭘로 찍어도 다 잘 찍을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