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6.


《스니피와 스내피의 모험》

 완다 가그 글·그림/정경임 옮김, 지양어린이, 2014.7.27.



아침 일찍 택시를 타고서 녹동나루로 간다. 작은아이하고 배를 탄다. 뱃지기(선장)는 칸마다 다니면서 외친다. 손님칸에서는 먹지 말고, 뱃전으로 나와 걸상에 앉아 바람을 쐬며 먹으라 하는데, 이 알림말을 귓등으로 들었는지, 마구 먹고 흘리는 젊은이와 아이들이 많다. 배에서 내려 바닷바람을 맞으며 걷는다. 〈바라나시 책골목〉부터 들른다. 제주 시내버스를 타고 다음 책집으로 가려다가 길을 잘못 든다. 거꾸로 탄 듯싶다. 그러나 이 버스는 길손집 쪽으로 가니, 일찍 짐을 풀자. 아이 도시락을 장만하러 나왔다가 두 아이 등짐을 새로 장만한다. 작은아이 신도 한 켤레 산다. 생각해 보니 고흥에서는 아이 등짐이나 신을 볼 가게가 없다. 작은아이랑 제주에 오기를 잘했구나. 《스니피와 스내피의 모험》은 두 아이(스니피·스내피)가 겪는 하루가 얼마나 아슬아슬하며 재미있는가를 그린다. 가만히 보면 두 아이뿐 아니라 두 어버이도 어릴 적에 아이들처럼 아슬아슬 재미난 하루를 누렸다는 이야기를 넌지시 알려주는 듯싶다. 그래, 오늘날 우리나라 그림책에 빠진 큰 구멍이 놀이라 할 수 있다. 요새 젊은 어버이는 어릴 적에 골목놀이 없이 배움수렁에 갇혀 쳇바퀴를 돌지 않았는가? 앞으로 아이들은 ‘노는 그림책’을 볼 수 있을까?


#SnipyandSnapy #WandaGag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5.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

 구드룬 파우제방 글/신홍민 옮김·김중철 엮음, 웅진닷컴, 1997.4.20.



자전거를 타고 도화면사무소에 간다. ‘청소년증’을 받는다. 처음 청소년증을 물어볼 적에는 ‘조폐공사’에서 내준다고 하기에 “조폐공사에서 왜 청소년증을 내지요?” 하고 되물으니 “그건 저희도 잘 모르지요.” 하던데, 막상 청소년증을 받아서 보니 ‘고흥군’에서 내주네. “군청에서 내주는데 왜 이렇게 오래 걸려야 하지요? 주민등록증이 이렇게 오래 걸리나요?” 하고 물으니 아뭇소리를 않는다. 물어본 사람이 잘못인 듯싶다.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를 되읽었다. 새로 나오는 동화책을 아이들한테 건네고 싶기도 하지만, 아이들 스스로 웬만한 ‘요즘 창작동화’는 너무 뻔하고 재미없어서 건드리지도 않는다. 그래서 큰아이는 아예 손수 글(소설)을 쓰기도 한다. 구드룬 파우제방 님 글이라면 두 아이 모두 반길 만하리라 여기며 되읽어 보았고, 여러모로 이바지하리라 생각한다. 큰아이가 손수 글을 쓰고 만화를 그리듯, 숲노래 씨도 조금 더 기운을 내어 노래꽃(동시)하고 글꽃(동화)을 쓰자고 생각한다. 이미 써 놓은 글꽃을 추슬러서 동화책을 내놓는 길도 이제는 좀 알아보아야겠다. 펴냄터를 알아보지 말고 스스로 내는 길이 가장 나을 수 있으나, 일 하나를 더 벌릴 마음은 없다. 쓰고 짓는 일에 마음을 쓰려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4.


《수경이》

 임길택 글, 우리교육, 1999.12.15.



지난 흙날(토요일)에 전남교육감 앞으로 목소리(민원)를 냈다. 바로 달날(월요일)에 모든 일이 풀렸다. 그러나 고흥 도화면사무소 일꾼하고 도화초등학교 길잡이(교감선생)는 “잘못했습니다”라는 말이 없이 두 달 즈음 미룬 일이 “이제 다 됐다”고만 말한다. 목소리를 안 냈으면 석 달도 넉 달도 기다려야 했겠구나 싶은데, 목소리를 내니 하루 만에 일이 끝났다. 벼슬아치(공무원) 민낯이다. 인천 제물포에서 영등포로 가서 칙폭이를 타고 순천으로 달린다. 〈책방 심다〉를 들른다. 최원형 님이 손님으로 오셨다. 목청이 크시구나. 《곁책》하고 ‘모시나비’란 이름으로 쓴 노래꽃(동시)을 드리고서 시외버스를 타러 일어선다. 고흥 돌아가는 버스에서 푹 잔다. 《수경이》를 되읽고 큰아이한테 건네었다. 어느새 오래된 이야기로 느낄 만하겠구나 싶다. 1999년 무렵에도 “이런 옛날얘기를 요새 아이들한테 어떻게 읽혀?” 같은 소리를 들었다. 난 보리출판사 영업자였지만 우리교육 이 동화책을 둘레에 알리면서 팔거나 건네었는데 몇 사람을 빼고는 다 손사래쳤다. 시골스런 얘기가 요즈음 아이들한테는 안 맞는다고들 하더라. 그런데 난 요즈음 쏟아지는 창작동화나 창작그림책에 손이 안 간다. 다들 서울스런 줄거리에 갇혀버렸기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3.


《그림책은 알고 있지》

 최은영 글, 패트릭, 2021.8.30.



아침 일찍 움직인다. 부천에 새로 연 마을책집 〈빛나는 친구들〉을 찾아간다. 책짐을 바리바리 안고 걷는데 치마돌이(치마 두른 사내)를 처음 보는 듯한 아줌마 할머니가 떠드는 소리가 들린다. 그럴 수 있겠지. 그런데 아줌마 할머니 그대는 ‘바지순이’인걸? “남자가 왜 치마를?” 하고 따지기 앞서 “여자가 왜 바지를?”을 돌아보기를 빈다. 누구나 바지를 꿰기까지 순이(여성)가 얼마나 가시밭길을 걸었는가? 이 나라에서 그동안 순이가 짓밟혀 왔으니 돌이(남성)를 짓밟아도 되지 않는다. 우리가 어른으로 자라기까지 실컷 두들겨맞거나 고달팠기에 아이들을 때리거나 괴롭혀도 될까? 아니다. 우리가 어른으로서 펼 일은 오직 ‘사랑’ 하나이다. 인천 화수동 〈책방 모도〉를 들르고서 오랜만에 언니 얼굴을 본다. 몇 해 만일까. 인천 배다리 〈모갈1호〉하고 〈아벨서점〉에서 책을 산다. 다음달에는 〈삼성서림〉에 들러 책을 사야지. 저녁에는 우리말 이야기꽃을 편다. ‘하늘·한·해’로 열어 ‘이·입·혀’로 마무리했다. 《그림책은 알고 있지》을 읽으며 아쉬웠다. 글쓴이 어린날 수다가 너무 길고, 어른이 되어 펴는 모임 수다도 너무 길다. 막상 ‘그림책은 뭘까?’ 하는 글은 짧고 얕다. 오롯이 그림책으로 스며들면 넉넉할 텐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2.


《스물네 개의 눈동자》

 쓰보이 사카에 글/김난주 옮김, 문예출판사, 2004.7.25.



새벽바람으로 길을 나선다. 서울 〈서울책보고〉에 닿아 ‘헌책집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림(방송)을 찍는다. 오늘은 경기 수원 헌책집을 들려준다. 이러고서 부천으로 건너간다. 〈이지헌북스〉를 들르고서 〈용서점〉으로 간다. 그림책을 사랑하고픈 어린길잡이(초등교사) 이웃님하고 ‘그림책수다’를 편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사람이기에 저마다 다르게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책을 만나서 사랑하면 되는데, 하나를 더 살필 노릇이라고 본다. “널리 팔리는 그림책”이 아닌 “전문가 추천 그림책”이 아닌 “앞으로 이백 해쯤 곁에 둘 만한 그림책”을 스스로 헤아릴 노릇이다. 줄거리를 따지지 말고 이야기를 보면 된다. 아이들한테 가르치려 하지 말고 스스로 느끼면 된다. 《스물네 개의 눈동자》는 여러 판이 있다. 나는 1961년 ‘추식’ 님 옮김판을 맨 먼저 만났고, 북녘 옮김판에 2004년 김난주 옮김판까지 읽었는데, 2004년 옮김판은 매우 창피하다. 옮김이로 이름을 날리는 줄 알지만, 김난주 씨가 옮긴 책에는 사투리가 하나도 없다. 글쓴이 숨결이나 눈빛이 사라진 채 다 똑같은 말씨이다. 그러나 요즘 옮김이 가운데 사투리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이 있을까? 두멧시골 아이들 말씨를 살릴 줄 아는 옮김이는 몇 사람이나 있을까? 슬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