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8.


《어떤, 낱말》

 아거 글, KONG, 2019.10.1.



아침에 인천에서 불수레(지옥철)를 타고서 서울로 건너온다. 서른 해쯤 앞서 겪던 불수레에 대면 2022년 불수레는 귀엽다만, 불수레는 엇비슷하게 불수레이다. 밀고 밟고 새치기하고 장난이 아니다. 아침저녁으로 불수레에 몸을 싣는 사이에 불같이 버럭거리거나 마음을 활활 불사르기 쉬우리라. 또는 옆사람을 밀고 밟고 새치기하는 물결에 길들기 쉽겠지. 이러다가 숲빛을 잊고 들빛을 잃으며 꽃빛이란 마치 처음부터 사람한테 없었다고 여기기 쉬울 테고. 철수와영희 펴냄터(출판사) 일꾼 두 분을 만나고서 헌책집 〈숨어있는 책〉으로 건너간다. 우리말꽃을 여미는 길에 이바지할 책을 한가득 장만한다. 의정부로 새삼스레 불수레(지옥철)를 타고 달린다. 불수레에서 손에 책을 쥔 사람은 나 혼자. 서울을 벗어나자니 한갓지다. 《어떤, 낱말》을 읽었다. 글님이 이녁 삶을 차근차근 옮긴 이야기가 수수하다고 느끼면서도, 군데군데 끼어드는 멋말(멋부리는 말씨)이 걸린다. 굳이 글치레를 해야 할까? ‘안분지족(安分知足)·안하무인(眼下無人)·조변석개(朝變夕改)’처럼 한자를 티나도록 쓰는 겉글로 무슨 삶을 밝힐까. 중국말도 일본말도 미국말도 아닌, ‘남말’이 아닌 ‘나말(나를 보는 말)’인, ‘우리말’로는 삶을 옮길 수 없는가.


안분지족(安分知足) 따위는 개나 물어가라지

→ 아늑 따위는 개나 물어가라지

→ 느긋 따위는 개나 물어가라지


안하무인(眼下無人)이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속담을 이들은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 거드럭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옛말을 하나도 모를 듯하다

→ 우쭐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삶말을 통 모를 듯하다


마음에 부는 바람은 조변석개(朝變夕改)에 천변만화(千變萬化)다

→ 마음에 부는 바람은 늘 바뀐다

→ 마음에 부는 바람은 춤춘다

→ 마음에 부는 바람은 출렁거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7.


《그림책에 흔들리다》

 김미자 글, 낮은산, 2016.5.10.



안산에서 내려 수인선을 타고 인천으로 간다. 안산 곳곳은 잿빛터(아파트단지) 사이에 푸른숲(녹지·공원)을 마련해 놓았다. 훌륭하구나. 잿마을(도시)이 시들지 않도록 이렇게 마음을 기울일 줄 알아야, 잿사람(도시인)도 숨을 쉴 수 있을 테지. 인천시청 앞을 지나며 마을책집 〈그루터기〉로 간다. 고흥군청이 인천시청보다 훨씬 크네. 전남 민낯이다. 적잖은 ‘전남 시골 군청’은 인천시청뿐 아니라 고양시청보다 크고, 전남도청보다 크기까지 하다. 미쳤지. 인천 배다리 〈집현전〉하고 〈아벨서점〉을 들르고서, 〈나비날다〉에서 ‘우리말 참뜻풀이 수다꽃’을 편다. 오늘날 서울(도시)하고 대면 나즈막한 시골에서 피어난 우리말이다. 일본말이나 미국말도 처음에는 다 그곳 시골에서 태어났다. 꼭 시골에서 살아야 한다고는 여기지 않되, 서울에서 살든 시골에서 살든 우리가 마음을 담는 말이란, 뿌리가 시골이요 숲인 줄 알 노릇이다. 《그림책에 흔들리다》를 읽었다. 그림책에 무엇이 흔들리셨을까? 그동안 길들거나 갇힌 굴레가 그림책을 읽는 동안 흔들렸을까? ‘동화 읽는 엄마’ 모임이 많다만 ‘동화 읽는 아빠’ 모임은 없다시피 하다. 순이는 흔들리며 깨어나려 하지만, 돌이는 잿빛(시멘트)처럼 굳으며 깨어날 생각이 아직 얕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6.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

 신이현 글, 더숲, 2022.5.27.



고흥읍내를 걷다 보면, 읍내 큰길조차 담배꽁초하고 쓰레기가 수북하다. 고무신으로 걸으며 이 시골사람들이 얼마나 엉터리인지 새삼스레 느낀다. 고흥살이 열두 해를 돌아본다. 고흥군수나 벼슬꾼(공무원) 가운데 읍내 길이라도 걸어다닌 이가 있을까? 면장이나 면소재지 벼슬꾼 가운데 마을길이나 논두렁을 걸어다니는 이가 있는가? 군수도 벼슬꾼도 군의원·도의원도 길을 걷는 꼴을 본 적이 없다. 길바닥이고 골목이고 마을 곳곳이고 온통 쓰레기밭으로 내팽개치면서 그들은 뭘 하려나? 며칠 동안 가라앉던 풀벌레 노랫소리가 오늘 다시 우렁차다.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을 재미있게 읽었다. 글을 재미있게 쓸 줄 아는구나 싶기도 하고, 흙지기로 살아가려는 프랑스 아저씨가 얼핏 무뚝뚝할는지 모르나 스스로 삶빛을 지을 줄 아는 마음이기에 이 같은 이야기책을 여미기도 하겠구나 싶다. 다만, 글멋을 안 부려도 되지 않을까?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이란 책이름뿐 아니라, 몸글(본물)을 보면 토씨만 우리말이기 일쑤이다. “푸르게 사는 길”은 겉멋이 아니다. 삶을 푸르게 가꾸는 하루는 오롯이 풀빛을 품으면서 푸근하고 푸지게 푸른바람을 펴는 길이라고 본다. 시골에서 살며 시골말이 없다면, 시골이란 뭘까 모르겠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5.


《正音文庫 59 우파니샤드》

 박석일 옮김, 정음사, 1976.1.10.



오늘 하루도 고즈넉이 흐른다. 집안일을 하고 말꽃짓기를 한다. 바람을 쐬고 빨래를 말린다. 밥을 짓고 물을 마신다. 책을 읽고 등허리를 편다. 햇볕을 머금고 풀꽃나무를 쓰다듬는다. 구름을 보다가 밤에 찾아들 별빛을 그린다. 《正音文庫 59 우파니샤드》를 새삼스레 읽었다. 《우파니샤드》는 여태 여러 판으로 장만해서 읽었다. 누구나 스스로 어질게 살아갈 길을 비추는 옛이야기라 할 텐데, 우리 터전에서는 우리 살림살이에 걸맞게 갈무리한 어떤 옛이야기가 있을까? ‘오늘이야기’이든 ‘옛이야기’이든 가르침(훈계·교육)일 수 없다. 이야기는 그저 ‘이야기’이다. 우리말 뿌리를 헤아리면 ‘이야기 = 잇는 말·마음’이다. 주거니받거니 흐를 적에는 ‘잇는’ 마음으로 생각을 말에 담을 뿐이니, 가르치거나 배우는 일하고는 멀다. 한자말 ‘대화·소통·의사소통’을 써도 안 나쁘지만, 그런 한자말에는 우리 삶뿌리가 없다. 우리 삶뿌리는 우리말에 깃든다. 아주 작고 흔한 낱말에 감도는 숨빛을 읽어낼 적에, 스스로 일어서는 길을 스스로 찾고, 아이를 사랑하면서 어버이로서 사람답게 피어나는 길을 스스로 깨닫는다. 아이를 가르쳐야 할 까닭이 없다. 아이하고 이야기를 하면, 아이도 어버이도 어느새 새롭게 배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4.


《COWA!》

 토리야마 아키라 글·그림/이승원 옮김, 대원씨아이, 2022.7.31.



작은아이하고 다섯돌(오목)을 놓는다. 이기든 지든 무엇이 대수로울까. 눈을 틔우면 되고 눈길을 열면 넉넉하다. 암사마귀가 알을 잔뜩 밴 채 마당에서 허우적거리기에 작은아이더러 앵두나무 곁으로 옮겨 주라 했다. 나는 어릴 적에 으레 해보았으니 아이들이 손수 숨결을 느끼면서 옮기는 동안 손끝으로 삶빛을 맞아들여 주기를 바랄 뿐이다. 《COWA!》를 읽었다. 아이들한테도 건네주었다. ‘여러 사람’이 한마을을 이루면서 살아가고, ‘여러 사람’ 아이들이 같은 배움터를 다니면서 어울리면서, 서로 맺고 푸는 줄거리를 들려준다. 이런 그림꽃(만화)을 먼저 그려내었기에 나중에 《드래곤볼》을 그릴 수 있었구나. 《드래곤볼》이나 몇몇 그림꽃에는 응큼질을 섞지만, 《COWA!》는 응큼질을 안 섞었다. 그래, 이렇게 응큼질 없이 얼마든지 그릴 수 있잖은가? 구태여 응큼질을 넣어야 눈길을 받거나 이쁨을 받지 않는다. 서로 따사롭게 느낄 손길이 아니라면 모두 응큼질이다. 함께 손을 맞잡고 나아갈 새길이 아니라면 다 응큼짓이다. 머리에 뿔이 나도 사람이고, 피를 빨아먹어도 사람이고, 박쥐랑 비슷한 날개가 있어도 사람이고, 덩치가 우람나무만 해도 사람이다. 몸집이 작건 힘이 여리건 누구나 사람이다. 사람빛을 보기에 아름답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