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

 하야카와 유미 글/류순미 옮김, 열매하나, 2021.5.1.



한낮 가을볕을 쬔다. 마당에 서서 쬐고, 바깥마루에 누워서 쬔다. 살짝 땀이 돋는다. 처마 밑으로 깊이 들어오는 볕살을 보면, 한가을을 지나 겨울로 가는구나 싶다. 감은 눈이 온통 새하얗게 부서지는 기운을 느낄 즈음 일어선다. 풀꽃나무는 이렇게 햇볕을 머금으면서 튼튼할 수 있구나. 사람도 고요하면서 차분히 햇볕을 머금을 적에는 아프거나 앓을 일이 없을 텐데. 저녁에 자전거로 면소재지 우체국을 다녀온다. 맨손으로 자전거를 달리지만 시원하다.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을 읽었다. 내가 어릴 적에 둘레 어른들은 ‘이것으로·저것으로·그것으로’처럼 말하지 않았고, 그리 말하지 않는다고 일깨웠다. 요새는 이렇게 수수한 우리말씨를 짚는 어른이 없을까? 짚어 주어도 못 느끼거나 안 배울까? 우리말로 하자면 “이만하면 넉넉한 삶”이거나 “이처럼 아늑한 살림”이거나 “이대로 즐거운 나날”이다. 어느덧 삶짓기로 말을 물려주거나 가르칠 어른이 사라진 판이라 할 만하니, 오늘날 쏟아지는 책 가운데 우리말씨를 살리는 글을 아예 못 본다. 보임틀(텔레비전)을 멀리하면서 글을 모르고 살던 할머니가 입으로 들려주던 말에서 겨우 우리말다운 우리말을 엿본다. 우리는 이대로 좋으니 스스로 새롭게 배울 마음이 없을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1.


《나의 끝 거창》

 신용목 글, 현대문학, 2019.3.25.



이를 닦거나 빨래를 할 적에 쓰는 잿물(E.M.)을 내려면 해소금(천일염)이 있어야 한다. 잿물에 쓸 해소금이 떨어져서 저잣마실을 간다. 시골버스에서 하루쓰기를 하고 노래쓰기를 한다. 눈을 감고서 그윽히 하늘바라기를 한다. 읍내를 걸으며 구름바라기를 하고 바람결을 읽는다. 숲노래 씨는 여태 민소매에 깡똥바지로 다닌다. 추울 일도 까닭도 없으니. 《나의 끝 거창》을 흔들흔들 시골버스에서 읽는다. 다들 ‘노동운동·사회운동·환경운동’으로 바쁘고, ‘문학활동’으로 더 바쁘구나 싶다. ‘운동·활동’ 같은 일본스런 한자말은 언제부터 이 땅에 퍼졌을까? 예전부터 들꽃사람은 ‘일’을 했고 ‘놀이’를 했고 ‘두레’를 했고 ‘길쌈’을 했고 ‘이야기’를 했다. 들풀사람은 ‘살림’을 했고 ‘사랑’을 했고 ‘노래’를 했다. 큼직한(거창한) 이름은 오히려 허울이 될 뿐이고, 이윽고 허물로 치닫더라. 큰이름을 치우자. 삶자리에서 동무를 만나고 이웃하고 어울리면서 짝꿍하고 보금자리를 일구어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자. 아이한테는 글이 아닌 말을 들려주면서 함께 새로 배우자. 아이한테는 배움터가 아닌 숲을 펼쳐 보이면서 나란히 풀꽃나무랑 어깨동무를 하자. 대단한(대의명분) 것이 아닌, 작고 수수한 꽃을 보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0.31.


《세계 최초의 곤충화가 마리아 메리안》

 한해숙 글·이현정 그림, 두레아이들, 2022.3.10.



기름을 넣는다. 기름값 45만 원이 나온다. ‘1500×300’이다. 숲노래 씨 같은 ‘가난살이(차상위계층)’한테는 ‘난방비 도시가스 지원’이 있다지만, 시골에 무슨 ‘도시가스’가 있는가? 시골사람한테는 기름값을 줄 노릇이나, 이 틀(복지제도)은 열 몇 해가 지나도 안 바뀐다. 다들 서울만 알고 서울만 쳐다본다. 기름값을 치르고서 헤아리자니, 이제 시골사람은 몇 안 남고, 기름을 때는 살림집도 적다. 요새는 시골 읍내나 면소재지까지 도시가스가 들어가는 판이니 더더구나 ‘도시가스 안 쓰는 작은 살림집’은 알지 못 하기도 하겠지. 《세계 최초의 곤충화가 마리아 메리안》을 읽는데 너무 낯간지럽다. 글쓴이는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님을 ‘사이언스 아티스트의 선구자’라고 치켜세우는데, ‘사이언스 아티스트’는 뭐고 ‘-의 선구자’는 뭘까? 숲노래 씨는 이웃나라에서 낸 메리안 님 그림책을 장만하면서 아이들하고 나누는 책살림을 하고, 메리안 님을 기리는 노래꽃(동시)을 쓰기도 했지만, ‘풀벌레 사랑이’라는 수수한 그림길에 ‘아티스트(예술가)’라는 이름을 안 붙이기를 바란다. ‘아티스트’에 ‘사이언스’가 아니라면 돌아볼 값어치가 없을까? 들숲바다를 품으면서 풀꽃나무를 사랑한 손끝을 다시 바라보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0.30.


《꼴찌 강아지》

 프랭크 애시 글·그림/김서정 옮김, 마루벌, 2008.1.26.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이웃마을에 사는 어린씨를 만난다. 내리기 앞서 노래꽃을 슥슥 옮겨적어서 건넨다. 오늘은 아이들 몫으로 붕어빵을 장만하려고 생각한다. 어제 서울 한복판은 죽음판이었다고 한다. 틀(경찰·시스템)이 없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아무리 틀이 훌륭해도 마음이 없다면 모두 덧없다. 틀(대학입시)이 있기에 배움수렁(입시지옥)이 있는가? 틀(법)이 있어도 검은돈을 빼돌릴 뿐 아니라 돌라먹는 판은 왜 그대로일까? 왜 북새통에 몰려들어야 할까 하고 따질 수는 없되, 안타까운 죽음을 슬퍼하되, 잊지 말아야 할 대목을 잊지 말아야지 싶다. 우리는 왜 숲길하고 등지면서 붐빔길 서울 한복판에 몰려야 할까? 우리는 왜 시골이며 숲에서 조용하고 한갓지면서 도란도란 수다꽃을 피우는 마음으로 나아가지 않는가? 나비는 북새통에서 고치를 틀지 않는다. 아기는 고요하며 포근한 어버이 사랑을 받는 곳에서 태어나 세이레를 어둠빛을 머금으면서 햇빛을 천천히 받아들인다. 그림책 《꼴찌 강아지》는 2008년에 처음 나왔다가 이내 사라졌고, 2015년에 새로 나왔다가 또 사라졌다. ‘꼴찌’랑 ‘꼬마·꽃’은 말밑이 같다. ‘으뜸·첫째·서울’이 아니라, ‘꼴찌·꼬마·꽃’을 사랑하는 길로 거듭나야지 싶다.


#TheLasyPuppy #FrankAsch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0.29.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

 이상각 글, 유리창, 2013.9.25.



아침에 한자말 ‘문제·문제적’을 매듭짓는다. 숨을 돌린다. 낱말책에조차 없는 일본 한자말 ‘하원(下園)’을 언제까지 써야 할까 헤아려 본다. 우리 집 아이들은 배움터도 어린이집도 안 다녔으니 이런 말을 쓸 일조차 없었는데, ‘등원·하원’ 모두 그냥 일본말이다. 우리는 오른쪽으로 걸으면서 ‘오른걷기’나 ‘오른길’이라 말을 못 하고 ‘우측통행’이라는 일본스런 한자말을 아직 쓴다. 밤별도 밝고 풀벌레노래가 그윽하다. 그러나 이 별빛하고 풀노래를 품는 이웃은 아직 적은 듯싶다.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을 읽었다. 책이름에 ‘주시경’은 넣되 주시경 이야기는 적다. 그래도 ‘제자들’ 이야기는 어느 만큼 적어낸 듯싶다. 군데군데 ‘틀린’ 대목이 있으나, 이쯤이면 잘 썼다고 본다. 누구나 틀릴 수 있으니, 틀리게 쓴 대목이 있어서 나쁘거나 잘못이라고 여기지는 않는다. 나중에 바로잡을 줄 알면 되고, 새록새록 배워서 가다듬으면 넉넉하다. 아이가 우리말을 익히는 길도 매한가지이다. 아이들은 맞건 틀리건 즐겁게 쓴다. 둘레 어른이 상냥하게 짚어 주거나 슬며시 보여주면 아이들은 이내 깨닫고서 새로 꽃피운다. 옛어른이 스스로 이름을 ‘한힌샘’으로 바꾼 뜻을 읽는다면, 줄거리뿐 아니라 글결도 추스를 일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