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증보판 창비시선 20
신동엽 지음 / 창비 / 198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는 노래가 되어

[내 사랑 1000권] 3. 신동엽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제가 중학교를 마칠 무렵 대학입시가 바뀌었다며 떠들썩했습니다. 연합고사가 사라지고 수능하고 본고사를 치른다고 했어요. 새로운 대학입시는 제가 고3이 되어 처음으로 치러야 했고, 교사들은 이 새로운 대학입시에 맞추어 예전 입시교육을 통째로 버려야 했어요. 이때에 크게 바뀐 한 가지는 교과서 아닌 책을 읽혀야 한다는 대목입니다. 새로운 대학입시는 교과서 아닌 책에서 보기글을 많이 따오겠다고 했어요.


  2010년대 한복판을 지나면서 2020년대로 접어드는 즈음에는 아무것이 아닐 만하지만, 1990년대 첫무렵으로서는 수능이나 본고사에 김수영이나 신동엽 같은 시인이 남긴 글이 시험문제로 나올 수 있던 일이 혁명과 같습니다. 새 바람이라고 할까요. 노동자 시나 농민 시가 시험문제 보기글로 나올 수 있었고요.


  말장난 같아 보이는 따분한 시가 아닌, 삶을 다루는 시를 새로운 대학입시를 앞두고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교과서에 없는 시를 읽어야 한다는 새 대학입시에 맞추어 김수영이나 신동엽이라는 이름을 처음 듣고서 이분들 시집을 처음으로 손에 쥐어 보았어요.


  1979년에 나온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창작과비평사 펴냄)를 1992년에 읽으며 가슴이 뛰었습니다. 시란, 살아서 숨쉬는 글이네 싶더군요. 시란, 펄떡거리는 춤사위로구나 싶더군요. 시란, 어깨동무하며 노래하는 이야기였네 싶더군요. 시란, 살림살이가 고스란히 묻어나는 사랑이네 싶더군요.


  새로운 대학입시는 학교 울타리에 갇힌 책을 풀어 주었습니다. 그래도 학교에서는 이런 시집을 소지품검사를 앞세워 제 손에서 빼앗고는 불온도서라고 도장을 찍다가, 국어 교사 손을 거쳐 다시 돌려주었어요. 고등학교를 마치고도 신동엽 시집을 으레 들고 다니며 되읽는데, 전투경찰은 불심검문을 한다며 이 시집을 빼앗으며 ‘신동엽 시를 읽는 스무 살 젊은이’를 간첩으로 몰아세운 적도 있습니다.


  자전거 꽁무니에 막걸리병을 꽂고서 시인을 찾아가서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눌 만한 대통령을 바란 노래가 깃든 시집은 참말로 불온도서일까요. 2017.6.13.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펠레의 새 옷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1
엘사 베스코브 글.그림, 정경임 옮김 / 지양어린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옷살림 손수 짓는 기쁨

[내 사랑 1000권] 2. 엘사 베스코브 《펠레의 새 옷》



  저는 어릴 적에 한동안 뜨개질을 배우다가 그만두었습니다. 뜨개질 어느 대목에서 막히면서 넘어서지 못한 탓이기도 하고, 국민학교를 마치고 중학교로 나아가는 길목에서 ‘앞으로 맞이할 대학입시만 생각해야 한다’는 기운이 둘레에 차고 넘친 탓이기도 합니다.


  제가 국민학교를 다니던 1982∼1987년 무렵에는 학교에서 주마다 온갖 ‘실과’ 수업을 했어요. 달마다 학교에서 ‘밥짓기’를 해서 우리 스스로 밥이며 국이며 반찬을 장만해서 먹는 수업을 했어요. 쌀이랑 냄비랑 버너랑 수저까지 스스로 챙겨서 학교로 가져온 뒤에 스스로 밥을 지었지요. 그무렵 열 살 나이에 밥을 압력밥솥으로 지을 줄 모르면 “넌 밥도 못 짓니? 밥을 지을 줄 모르면서 어떻게 밥을 먹니?” 하는 핀잔을 들었습니다. 가시내만 밥을 지을 줄 알 뿐 아니라, 사내도 밥을 지을 줄 알았어요.


  그무렵 실과 수업에서는 톱질도 배웠습니다. 뜨개질도 마땅히 배웠지요. 바느질도 온갖 손놀림을 배웠어요. 비질이나 걸레질을 살뜰히 하는 손길도 배우고, 행주질이나 ‘빨래 삶기’도 배웠고요.


  어릴 적에는 잘 몰랐습니다만, 그때에 배운 ‘실과’란 우리가 쉽게 알 만하면서 늘 쓰는 한국말로 옮기면 ‘살림’이에요. 살림을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치려 했다고 할까요. 학교나 집이나 마을 모두 살림살이를 짓는 나날이었다고 할 만해요. 그때에 학교나 집이나 마을에서 배운 살림 가운데에는 ‘비닐봉지를 깔끔하게 접어서 건사하기’도 있었지요.


  엘사 베스코브 님이 빚은 그림책 《펠레의 새 옷》(지양사 펴냄)은 어린이가 옷을 새로 한 벌 갖고 싶을 적에 무슨 일을 어떻게 하며, 옷 한 벌을 짓기까지 어떤 손길하고 품을 들이는가 하는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돈을 들고 옷집에 가서 이것저것 골라서 갖추는 옷이 아니라, 옷이 될 실이 어디에서 오고, 이 실을 어떻게 얻으며, 실을 얻은 뒤에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를 차근차근 상냥하면서 아름답게 그림으로 펼칩니다. 옷살림을 보여주지요. 아이들이 살림을 손수 짓는 기쁨을 온몸으로 맞아들이도록 이끌어요. 2017.6.9.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새가 온 날 - 치히로 아트북 1, 0세부터 100세까지 함께 읽는 그림책
이와사키 치히로 글 그림 / 프로메테우스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책을 읽는 눈물

[내 사랑 1000권] 1. 이와사키 치히로 《작은 새가 온 날》



  그림책 《작은 새가 온 날》(프로메테우스 펴냄)을 두 손에 처음 쥐던 날을 잊을 수 없습니다. 어느 책이든 제 두 손에 처음 쥐던 날을 잊지 못합니다만, 《작은 새가 온 날》은 마치 제 가슴에 작은 새가 살포시 내려앉아서 노래를 들려주네 하고 느꼈어요. 이 작은 새 노래를 들으면서 눈물이 저절로 볼을 타고 흘렀습니다. 더없이 아름다운 이야기는 가없이 맑게 눈물을 흘리도록 이끌었습니다. 이야기란 이렇구나 하고 깨달았어요. 글이란 그림이란 이렇게 쓰고 그려서 책이란 이렇게 엮는구나 하고 배웠어요.


  작은 새는 어디에서 태어나 어떻게 하늘을 가로지른 뒤에 우리 곁에 찾아올까요. 작은 새는 어디에서 어떤 밥을 먹고서 하늘을 저리도 가볍게 가로지르면서 멋진 날갯짓을 우리한테 보여줄까요. 작은 새는 어떤 사랑을 받고 태어났기에 우리 둘레를 빙빙 날면서 이토록 아름다운 노랫가락을 스스럼없이 들려줄까요.


  그림책 《작은 새가 온 날》을 아이들한테 꼭 물려주고 싶었어요. 이 책이 처음 한국말로 나올 무렵에는 아직 저한테 아이가 없었는데요, 이 그림책을 보고서 문득 생각했지요. 사람들이 서로 사랑을 하며 살림을 새로 지어 아이를 낳는 뜻을 알겠네 하고 생각했어요. 이렇게 아름다운 이야기를 아이한테 물려주면서 아이가 아름답게 자라기를 비는 꿈을 아이 가슴에 씨앗으로 심으면서 어버이로서 기쁨을 누리겠네 하고 생각했습니다.


  이 땅을 가꾸는 바탕은 바로 사랑이라고 넌지시 알려주는 그림책입니다. 다른 어느 것도 없어도 된다고, 작은 새를 볼 줄 알고, 작은 새를 맞이할 줄 알며, 작은 새랑 함께 뛰놀며 노래하면 된다고 하는 삶을 가만히 밝히는 그림책이에요.


  우리 삶자리에 새 한 마리가 있을 적하고 없을 적은 매우 다릅니다. 우리 삶자리에 새가 찾아들 수 있도록 마당을 건사하고 나무를 심어요. 우리 삶자리에 새도 찾아들고 나비도 찾아들 수 있도록 나무를 심을 뿐 아니라 텃밭하고 꽃밭도 가꾸어요. 우리가 스스로 사랑일 적에 삶이 사랑이 되어요. 우리가 스스로 평화일 적에 온누리에 평화가 흘러요. 2017.6.9.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하는 책 1000권



  요즈음 저는 책을 매우 적게 장만해서 매우 적게 읽습니다. 요즈음 저는 한 해에 책을 1500권 즈음 겨우 장만하는 살림이고, 이만큼 읽는 손길입니다. 누가 본다면 한 해에 1000권이나 2000권에 이르는 책을 장만하는 살림이 어떻게 ‘책을 적게 장만하는’ 살림이느냐 하고 따질 만합니다. 한 해에 어떻게 ‘그 많은 책을 읽느냐’ 하고 따질 수도 있을 테고요. 그렇지만 제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았을 적에 이만 한 숫자는 매우 부끄럽습니다. 제가 저한테 부끄러운 숫자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2학년을 다니던 때부터 한 해에 100권이 넘는 책을 사서 읽었습니다. 고등학교를 다니던 때에는 살림돈이 모자라서 ‘사지 못하고 책방에 서서 읽는 책’이 훨씬 많았습니다. 요즈음처럼 도서관이 곳곳에 있지 않던 1990년대 첫무렵이라, 그즈음에는 도서관에서 읽을 만한 책이 드물었어요. 그래서 새책방에 가서는 새로 나온 책을 두어 시간쯤 읽고서 값싼 손바닥책이나 ‘나온 지 오래되어 간기에 찍힌 책값이 눅은’ 책을 한두 권 샀어요. 헌책방에 가서는 나라와 세월을 가로지르는 온갖 책을 예닐곱 시간쯤 들여서 읽다가 책방 문을 닫을 즈음 부랴부랴 너덧 권을 장만해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걷거나 버스를 타면서 읽었어요.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에 들어간 첫 해에는 한 해에 300권이 넘는 책을 장만해서 읽었는데, 이때에도 아직 책을 장만할 돈이 넉넉하지 못해서 날마다 책방에 찾아가서 대여섯 시간씩 서서 읽다가 아쉬움을 삼키고서 내려놓고 만 책들이 참 많습니다. 군대를 다녀오고 대학교를 그만둔 1998년부터는 한 해에 장만하는 책이 천 권을 넘었어요. 한 해에 천 권 넘게 장만해서 읽던 이때에도 ‘꼭 사서 곁에 두고 싶으나 주머니가 가벼워서 눈물을 지은’ 책이 대단히 많습니다. 새로 나오는 책은 장만할 엄두가 안 나서 새책방 점원으로 알바를 하고 도서관에서 책 정리를 하는 알바를 할 적에 낮밥을 거르며 책을 읽거나 일을 마치고 조용히 책을 읽곤 했습니다.


  1999년에 출판사에 영업부 일꾼으로 들어가고부터는 책을 장만하는 숫자가 껑충 뛰어올랐어요. 한 해에 2000권을 가볍게 장만했지요. 2001년에 한국말사전을 새로 짓는 편집장·자료조사부장 일을 맡을 적부터는 한 해에 3000권이 넘는 책을 장만했고요. 2002년부터는 한 해에 장만해서 읽은 책이 5000권이 넘었습니다.


  어느 모로 보면 참 우악스럽게 게걸스럽게 미련스럽게 먹어치우듯이 책을 읽고 장만하고 또 읽고 다시 장만하던 나날이었어요. 출판사에서 하루 일을 마친 뒤에 달려간 곳은 언제나 책방이었습니다. 저녁에 일찍 닫는 책방부터 찾아가서 자정 가까이 문을 닫는 책방까지 두루 누비며 가방이며 두 손이며 책보따리를 잔뜩 이고 들어서 집으로 날랐어요. 한겨울에도 땀을 뻘뻘 흘리면서 책짐을 짊어졌어요.


  이러다가 서울·인천이라는 도시를 떠나 전라남도 고흥이라는 시골에 깃들면서 책을 장만하는 숫자가 크게 줄어서 한 해에 1500권 안팎입니다. 저는 한국말사전을 새로 쓰는 일을 하다 보니 온누리 온갖 갈래 이야기를 스스로 두루 살펴서 알아야 한다고 여겼어요. 이런 책도 읽고 저런 책도 읽으면서 어느 한 군데에서도 지식이 얕으면 안 된다고 여겼습니다. 이러다 보니 날마다 새로 배우려는 몸짓으로 끝없이 책을 장만하고 읽는 삶이었지요.



  이제 저는 제가 그동안 장만해서 읽은 책을 바탕으로 삼아서 “내가 사랑하는 책 1000권” 이야기를 풀어놓아 보려고 합니다. 제 손을 거쳐서 저희 보금자리이자 저희가 가꾸는 ‘도서관학교’에 건사한 몇 만 권에 이르는 책 가운데 꼭 1000권만 갈무리해서 왜 이 책을 사랑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풀어놓으려고 해요.


  “내가 사랑하는 책 1000권” 이야기를 하자는 생각은 인천 중구에 깃든 꿈벗도서관에서 문득 했습니다. 꿈벗도서관에 찾아가서 마을책방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가 있었는데, 이때 어느 분이 “도서관에 어떤 책을 두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추천도서 목록은 많은데 어떤 책을 어떻게 가려서 갖추어야 좋을지 참 어려워요.” 하고 말씀했어요. 이 말씀을 듣고 돌아보니 우리 사회에는 여러 기관이나 단체나 모임이나 출판사나 조합에서 갖가지 ‘추천도서목록’을 내놓는구나 싶더군요.


  숱한 기관이나 단체나 모임이나 출판사나 조합에서 내놓는 추천도서목록이 나쁘다고 여긴 적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수많은 추천도서목록은 좀 틀에 박힌 얼거리이지 싶어요. 즐겁게 읽으며 아름답게 생각을 북돋우도록 돕는 책이 추천도서목록에 들 테지만, ‘책을 추천하는 기관과 비평가와 출판사하고 얽힌 실타래’에서 그다지 홀가분하지 못하다고 느낍니다. 책을 책 그대로 바라보는 눈길이 살짝 아쉽다고 할까요. 책 하나를 놓고서 적어도 1000번은 되읽을 만한 기쁨을 베푸는 책을 갈무리하는 추천도서목록이라기보다는, 몇몇 출판사와 작가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빛깔이 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해요.



  언론사나 단체나 기관에 ‘홍보하려는 책’을 안 보내는 작은 출판사가 제법 있습니다. 어느 독서단체나 출판 관련 단체에 ‘홍보하려는 책’을 보내야 하는지 모르는 작은 출판사도 꽤 있어요. 이러한 출판사에서 내는 아름답거나 알찬 책은 언론사·단체·기관·모임·비평가 손에 닿지 않는 바람에 추천도서목록에 아예 못 끼는 일이 흔합니다.


  이런 모습을 서른 해 가까이 지켜보면서 저 스스로 “내가 사랑하는 책 1000권” 이야기를 펼치자는 생각을 품습니다. 책과 함께 살아온 제 발걸음인데요, 제 곁에서 저를 지켜보며 저한테 기운을 새로 북돋운 책을 1000권만 뽑아서 이 이야기를 펼쳐 보려고 해요. 저는 고흥 시골에서 ‘도서관학교’를 하기에 저희 도서관학교에 건사한 책이기도 하지만, 작은 마을에 작은 도서관을 새로 열려고 하는 이웃님이 있다면, 또 작은 마을에 작은 책방을 새로 지으려고 하는 동무님이 있다면, 이 이웃님하고 동무님한테 “이런 어여쁜 책을 갖추어 보시면 어떠할까요?” 하고 말씀을 여쭈어 보려고 하는 책 1000권이기도 합니다.


  제가 먼저 사랑해서 읽고 되읽은 책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어버이 곁에서 물려받아 새로운 기쁨으로 읽고 거듭 읽은 책입니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철이 드는 걸음에 맞추어 하나하나 새삼스레 맞아들일 책이기도 합니다.


  더 많은 책이 아닌, 사랑스러운 책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더 많은 책이 아닌, 즐거운 책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더 많은 책이 아닌, 고운 책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삶을 사랑하고 살림을 즐기며 생각을 곱게 짓는 길에 동무가 되어 주는 책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베스트셀러 읽기’나 ‘명작 읽기’나 ‘스테디셀러 읽기’나 ‘추천도서 읽기’나 ‘고전 읽기’나 ‘인문책 읽기’는 조용히 내려놓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사랑스러운 책 읽기’랑 ‘즐거운 책 읽기’에다가 ‘고운 책 읽기’로 한 걸음 새롭게 내딛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길을 함께 걸어 보시겠어요? 우리 이 책마실을 느긋하게 같이 해 보시겠어요? 2017.6.9.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