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89 ㄴ



  ‘ㄴ’을 넣어 말을 잇습니다. “나는 말꽃이다”처럼 “떠난 사람”이나 “먹는 풀”이나 “그러면 어때?”나 “즐기곤 하다”같이 이야기를 받칩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충고를 들었어요”처럼 얄궂게 옮김말씨로 쓰는 분이 부쩍 늘어납니다. 우리말씨로 하자면 “사람들한테서 여러 이야기를 들었어요”나 “사람들이 여러모로 도움말을 들려줬어요”나 “사람들이 온갖 말을 들려주었어요”입니다. ‘-한테서’로 붙일 토씨를 ‘-한테’로 잘못 붙이는 분도 수두룩합니다. “간단한 음식을 만들다”나 “엄청난 노력의 결과”처럼 ‘ㄴ’붙이 얄궂은 말씨를 쉽게 찾아보는데, “밥을 가볍게 차리다”나 “엄청나게 애쓴 보람”으로 손볼 노릇입니다. 겉으로는 우리글 같아도 속으로는 우리글하고 동떨어진 셈인데,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익힐 틈이 없이 너무 바쁘고 힘들게 살기에, 얄궂게 쓰면서도 얄궂은 줄 못 느껴요. 바쁘면 쉬 지나치고, 쉬 지나치면 넋이며 삶을 줄줄이 놓치고, 이러다가 말빛을 까맣게 잊어 ‘무늬만 한글’입니다. 우리말은 토씨나 말끝 하나로 뜻·결·속내·빛·생각·삶을 다르게 드러냅니다. 영어처럼 쓰는 옮김말씨는 미국스러운 빛을 드러낸다기보다, 기둥·뼈대·바탕이 죄 안 섰다는 소리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88 그렇구나



  고삭부리로 어린 날을 살아온 터라 ‘좋고 나쁘고’를 생각할 겨를이 없는 하루였습니다. 툭하면 앓거나 아프고, 웬만한 먹을거리는 몸에 안 받아 한참 배앓이를 하거나 게웠습니다. 흔히 말하는 ‘좋은밥’은 저한테 안 좋기 일쑤였고 ‘나쁜밥’이라 일컫더라도 저한테 안 나빴습니다. 어릴 적하고 싸움판(군대)에서 겪은 노리개질(성폭력)은 잊고픈 멍울이었으나, 마흔다섯 살을 넘던 어느 날 “이런 일조차 모두 삶길”인 줄 넌지시 느꼈습니다. 이 길은 나쁠까요? 저 살림은 좋을까요? 이 말은 나쁜가요? 저 말은 좋은가요? 모든 삶이며 길에는 뜻이 있고, 모든 낱말에도 뜻이 있습니다. 그냥 살아내는 하루가 아니고, 그냥 태어난 말이 아닙니다. 우리 스스로 새롭게 맞이하면서 스스로 생각하고 슬기롭게 지을 사랑을 들려주는 삶이자 말입니다. 말꽃(사전)을 짓고 엮으면서 으레 외치는 “그렇구나.”입니다. 말밑을 캐며, 말풀이를 마치며, 보기글을 보태며, 비슷한말을 가르며, 겹말이나 얄궂말(순화대상용어)을 손질하며, 누가 옳거나 틀린 말을 하지 않는다고 느껴요. 좋은말도 나쁜말도 아니라고 여겨요. 반가이 배우고, 새롭게 살아가며, 슬기로이 사랑하는 신바람나는 하루를 그리면서 말빛을 깨닫고 사람빛을 알아가는구나 싶어요.


ㅅㄴㄹ


어릴 적에 겪은 노리개질을 털어놓으면서

멍울을 씻는 순이가 늘어납니다.

꽤 많은 돌이도 순이 못지않게

어릴 적을 비롯해 군대에서

노리개질로 마음이며 몸에

생채기랑 멍울이 생깁니다.


아직 숱한 돌이는 이녁 생채기랑 멍울을

그대로 품기만 하고서 말을 못 하기 일쑤라고 봅니다.


모든 아픈이 마음에

멍울이 아닌 꽃망울이

피어나기를 바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5.26.

나는 말꽃이다 87 먹은 대로 눈다



  으레 “먹은 대로 눈다”고 말합니다만, “밥을 먹은 대로 똥을 눈다”기보다는 “스스로 생각하며 먹은 대로 똥을 눈다”고 해야 알맞으리라 느낍니다. 왜냐하면 잔칫밥(진수성찬)을 차린 곳에서 먹었기에 ‘잔칫밥 똥’을 누지는 않거든요. 거북한 자리에 있으면 ‘거북하다는 생각을 심은 마음’ 그대로 똥을 눕니다. 으리으리한 밥차림이었어도 ‘거북한 기운이 온몸을 억누르거나 다스리’면서 ‘거북똥’을 눠요. 이와 달리 김치나 빵 한 조각을 먹었을 뿐이어도 즐겁고 반가우며 사랑스레 수다꽃을 피운 자리를 누린 뒤에는 ‘김치 한 조각 똥’이 아닌 ‘즐겁고 반가우며 사랑스레 수다꽃을 피운 기운이 스민 똥’을 눕니다. 아이들이 신바람으로 뛰놀 적에는 ‘신바람똥’을 눠요. 그리고 신바람으로 뛰논 아이들은 ‘신바람말’이 샘솟습니다. 아주 훌륭하다는 낱말책(사전)을 달달 외운다 한들, 스스로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나아가도록 말씨앗을 생각씨앗으로 심지 않았다면 ‘아름말’도 ‘사랑말’도 아닌 ‘겉발림말’이나 ‘치레말’이나 ‘꾸밈말’이나 ‘허울말’에 ‘거짓말’을 할 뿐입니다. ‘좋은말’을 가려써야 하지 않습니다. 생각부터 스스로 사랑으로 돌보면서 ‘사랑말’을 쓸 적에 비로소 사랑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86 까칠하다



  아직 우리나라 낱말책은 우리말을 아끼거나 돌보거나 보듬거나 사랑하거나 추스르지 않습니다. 중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뿐 아니라 온갖 바깥말을 안 거르고 싣기까지 합니다. 이 탓에 여느 우리말뿐 아니라 오랜 우리말이나 새로운 우리말에 뜻이나 보기글이나 말밑을 찬찬히 짚는 일을 아예 안 하다시피 하지요. ‘까칠하다’란 낱말을 “야위거나 메말라 살갗이나 털이 윤기가 없고 조금 거칠다”쯤으로만 풀이하지만, 사람들은 말씨나 마음씨나 매무새를 가리키는 자리에 널리 써요. 그러니까 새롭게 널리 쓰는 결을 우리나라 낱말책이 여태 안 담는 셈입니다. 이처럼 허술하거나 모자라거나 아쉬운 대목을 그러려니 지나칠 수 있습니다. ‘그런 일은 꾼(전문가)이 할 일 아닌가? 수수한 우리가 어떻게 따지나?’ 하고 여기는 분이 있습니다만, 낱말책은 바로 수수한 우리가 수수하게 쓰는 말씨를 차곡차곡 담아서 결하고 뜻을 살필 뿐 아니라, 새롭게 살리도록 잇는 징검돌 노릇을 해야 알맞습니다. 아쉽거나 안타까울 적에 곧장 따지거나 나무라거나 짚을 줄 알기에 ‘까칠’합니다. ‘좋은 게 좋다’고 얼렁뚱땅 넘어가려는 몸짓을 끊기에 ‘까칠’합니다. 어질고 참하고 슬기롭고 사랑스럽고 즐겁게 나아가기를 꿈꾸기에 ‘까칠’히 굽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2022.5.17.

나는 말꽃이다 85 순이돌이



  둘레(사회)에서 쓰는 말은 ‘옳지도 안 옳지도 않다’고 느낍니다. 그저 둘레말(사회용어)이에요. ‘좋지도 나쁘지도 않’아요. 언제나 둘레말이기만 합니다. ‘남녀’란 낱말은 한자로 가리키는 둘레말입니다. 이 한자말을 쓰면 “한자로 두 사람을 가리키는 터전이나 살림”을 느낄 테지요. 그냥그냥 쓸 수도 있으나, 이 말씨를 그대로 따라갈 적에는 ‘한자가 없이 누구나 수수하게 우리말을 주고받으며 생각을 펴고 가꾸고 물려받던 나날’에는 어떤 말씨로 어떻게 이웃으로 지내며 사랑을 속삭였는가 하는 대목을 놓칩니다. ‘남녀·선남선녀·장삼이사’는 ‘한자로 삶을 그리던 옛사람이 지은 말’입니다.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우리 살림을 돌아보면서 ‘오늘 우리 삶으로 지을 말’을 나눌 수 있어요. 한때 ‘공순이·공돌이’라며 수수한 일꾼을 얕보는 이 나라였는데, ‘책순이·책돌이’라든지 ‘숲순이·숲돌이’라든지 ‘놀이순이·놀이돌이’처럼 사랑을 담아 살려쓸 만합니다. ‘사랑순이·사랑돌이’도 어울려요. 수수하게 숲을 품는 슬기로운 빛이라 ‘순이(여성)’요, 동글동글 돌보는 동무 숨빛을 품는 빛이라 ‘돌이(남성)’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