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결핍 2023.5.26.쇠.



미워하는 데에서는 싹이 트지 않아. 미워하고 싫어하는데 어떻게 꽃이 필까? 아니, 미움·싫음·시샘·불길일 적에는 씨앗에 싹이 안 날 테니, 풀도 나무도 없이 메마른 허허벌판일 뿐이야. 그저 죽음만 있으니, 싹은커녕 씨앗부터 없고, 풀과 나무가 없고, 벌과 나비가 없고, 풀벌레가 없고, 새가 없고, 지렁이가 없고, 들짐승·숲짐승이 없어. 이처럼 목숨붙이가 죄 없다면, 사람은 태어나거나 자라거나 살아갈 수 있을까? 미워하고 싫어해서 시샘하고 부아나는 마음에는 ‘지음(짓기)’이 없어. ‘써버림(소비)’만 있어. ‘써버림’만 있으니, ‘쓰는 족족 쓰레기’로 바뀌지. ‘써버림’만 있기에, 돈이 아무리 넘쳐도 모자라다고 여기지. 헤프게 쓰든 구두쇠로 아끼든, ‘있는 돈’은 ‘살림살이’가 아닌 ‘써버려서 잿더미로 바뀔 쓰레기’인 줄 미리 느끼면서 걱정하고 두려워한단다. ‘사랑’이 없기에 ‘지음’을 모르니, 돈을 엄청나게 벌어도 ‘돈벌이’를 못 멈추고 안 그쳐. 이제 돈·이름·힘은 그만 쳐다보고서 ‘살림·삶·사랑’을 바라보고 품는 ‘숲’으로 나아갈 노릇이지만, ‘돈맛·돈멋’에 ‘이름맛·이름멋’에 ‘힘맛·힘멋’을 본 무리는 그만 제풀에 겉치레와 허울에 사로잡힌단다. 이들 무리는 우쭐우쭐 큰소리를 치고 막말(욕)에 막짓(폭력·전쟁)을 일삼아. 스스로 가둔 굴레이기에 스스로 벗으면 되지만, 오히려 더 틀어쥐면서 발목을 잡는단다. ‘모자라다·없다’고 여기는 마음을 가리키는 한자말 ‘결핍’이지. 보렴! 모자라거나 없다면서 ‘모자라다·없다’라고 말하지 못 하고 ‘결핍’ 같은 말을 데려오는, 이 모자란 짓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부처 2023.5.27.흙.



기다리는데 안 온다면 어떻게 느껴? 설레니? 두근거리니? 왜 늦나 싶어 짜증나니? 늦는구나 싶어 걱정하니? 다른 일을 하면서 느긋이 기다리니? 더 기다리지 않고 먼저 찾아가니? 너는 어느 길이건 다 갈 수 있어. 네가 가는 길은 네 마음을 다스리는 길이면서, 네 마음을 살리는 길이자, 네 마음에 사랑을 심는 길이지. 다만, 네 길은 네가 스스로 보고 느끼고 찾아서 갈 노릇이야. 남들이 가니까 따라간다면, 넌 네 마음을 다스리지도 살리지도 사랑을 짓지도 못 하고, 그저 남들한테 휩쓸려서 휘둘리다가 너(나·참나)를 잊지. ‘부처’라는 이름으로 선 사람은 모든 길을 스스로 갔어. 늘 ‘남’이 아닌 ‘이웃’을 만났고, ‘이웃’한테서 ‘참나’를 바라보고 느끼면서 스스로 다시 세우고 닦고 가다듬어서 마음을 사랑으로 일구려 했단다. 부처는 일부러 가시밭길을 가지 않았어. 배워서 살리고 사랑할 때인 줄 느끼면 ‘가싯길’이나 ‘꽃길’이라는 겉모습이 아닌 ‘길’이라는 속모습만 보고 느끼고 받아들여서, 속으로 녹이고 풀어서, 이웃 누구하고나 기꺼이 나누는 사랑을 지었지. 너는 어디에 있니? 너는 어디로 가니? 너는 무엇을 하니? 너는 누구를 보니? 너는 무엇을 말하니? 네 사랑은 어디에 있니? 모든 사람은 같아서, 모든 사람은 부처가 했듯이 사랑을 깨달아서 펼 수 있어. 모든 사람은 다르기에, 모든 사람은 부처라는 이웃을 만나면서 스스로 사랑으로 피어나는 숨결을 새롭게 펴고 노래할 수 있어. 네가 있는 곳으로 다가오거나 찾아오는 이웃을 사랑으로 바라보렴. 네가 가는 곳에서 스치거나 만나는 이웃한테 사랑을 이야기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귀먹다 2023.5.16.불.



말귀를 알아먹지 못 한다고 할 적에 ‘귀먹다’라 하더구나. 밖에서 보자면 ‘귀먹다’일 테고, 그쪽에서 보자면 ‘귀막다’이겠지. 속으로 받아들이려고 하기에 ‘머금다’일 텐데, 속을 가꾸려는 빛을 잊고 그저 웅크리기만 하는 ‘막다’로 기울어. ‘귀막은·귀먹은’ 몸이라면 어떤 소리도 말도 노래도 스밀 길이 없겠지. 드나들 틈이 없으니, ‘막은·먹은’ 몸짓에는 노래뿐 아니라 놀이가 없고, 싹트거나 움트면서 깨어나려는 눈빛도 없게 마련이야. 귀를 막는다면 입을 열까? 듣는 마음이 없다면 트는 마음이 없으면서 들려주는 마음도 없겠지. 오가거나 흐르지 않으니, 잇거나 있지 않아. ‘있지 않은’ 마음이고 몸이니, 어느새 입을 닫고, 이윽고 눈을 감는단다. 안 듣고 안 밝히고 안 보면서 굴을 파더군. 굴을 파서 굴레에 갇히겠구나. ‘막고·닫고·감고’라는 세모습이 하나로 모이면, ‘받는(받아들이는)’ 길이 없어. 빛을 받지 않고, 숨을 받지 않겠지. 받아들이는 마음·말·소리·노래가 없을 적에는 어느새 기운(빛)이 메마르면서 뻣뻣하고 굳어버리지. 물빛이 없어 딱딱하게 바뀌면, 아주 작은 것이 닿아도 퍽 깨지면서 흩어져. 처음에는 얼핏 작게 ‘귀먹다·귀막다’였을 테지만, 차츰 ‘귀멀다·눈멀다’로 이어가고, ‘귀멎다·눈멎다·숨멎다’로 나아간단다. 둘레에서 나는 소리를 성가시거나 귀찮다고 느끼면서, 어느새 ‘먹고·막고·닫고·멀고·멎어’서 죽음길로 흘러간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멋과 맛 2023.5.18.나무.



멋있게 보이고 싶니? 맛있게 보이고 싶니? 멋있게 주거나 떠나고 싶니? 맛있게 차리거나 먹고 싶어? 멋·맛은 안 나빠. 그러나 멋·맛은 수렁이나 굴레이기 좋아. 멋을 자꾸 차리려 들면, ‘멋을 내는 마음’이 된단다. 그저 멋에만 마음을 기울이다가 눈빛도 숨빛도 살림빛도 사랑빛도 잊어. 멋을 머슴처럼 붙잡기에 먼저 멎어버려. 맛없게 먹을 까닭이 없지만, 맛있게 먹어야 하지 않아. 그저 마주하고 맞이하면서 마음을 맑게 북돋우려는 하루이면 돼. 맛을 자꾸 찾으니 망가진단다. 맛이란, ‘지음’이 아닌 ‘만듦’이야. 멋차림처럼 맛차림이고, 멋·맛은 속으로 빛나는 사랑이 아닌, 겉몸·겉옷을 붙잡는 굴레란다. 왜 ‘머저리’나 ‘멍청이’라 하겠니? 멈출 줄 모르거든. ‘멋대가리 없다’고 싫어하는 이들이 많더구나. 그런데 ‘멋대가리’는 없어도 돼. 먼저 보이려고 하는 멋·맛은 눈을 홀려서 마음빛을 빼앗거든. 일부러 ‘멋없게·맛없게’ 하지는 마. 그저 ‘온마음·온몸’으로 나서서 하면 돼. 네 온마음으로 빛내고, 네 온몸으로 사랑하렴. 네 온넋을 들여서 짓고, 네 온숨을 기울여서 쓰렴. ‘온마음·온몸’으로 할 적에는 스스로 빛나면서 늘 새롭게 피어나지. ‘멋부림·맛내기’로 할 적에는 스스로 빛을 잊고 잃으면서 자꾸자꾸 기운빠진단다. 사랑일 적에는 살리고, 사랑이 아닐 적에는 죽어. 사랑으로 바라보면 ‘먼저’도 ‘나중’도 없어. 사랑이 아닌 눈이기에 ‘멋·먼저’에 얽매여. 너를 보렴. 눈을 밝히렴. 눈치가 아닌 눈송이처럼 날고, 눈꽃처럼 피고, 잎눈처럼 가볍게 떠오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친절 2023.5.19.쇠.



누구한테나 곱게 말할 수 있을까? 혼잣말부터 곱고, 내가 너를 곱게 여기면, 넌 누구한테나 곱게 말한단다. 혼잣말에 가시가 돋거나, 네가 너부터 아끼지 않으면, 넌 스스로 너부터 찌르지. 누구한테나 살갑게 굴 수 있을까? 혼자 일할 적부터 사근사근 다루고, 무엇이든 살살 다가가고 살며시 만지는 매무새에, 부드럽게 네 몸을 스스로 쓰다듬고 풀어주면, 넌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나 살갑지. 혼자 있다고 뒹굴거나 뒤집거나 함부로 하면, 네 손에 닿는 것마다 거칠게 부리려 하면, 넌 스스로 너부터 겉치레이지. 빛을 누가 받는지 안 가리고 안 따지며 스스로 환하게 피어나기에, ‘해’는 온누리를 따뜻하게 감싼단다. 이른바 ‘친절’이라고 하는 말은 ‘해다움’이야. ‘하늘빛’다움이지. 그러니 둘레를 보렴. 해맑은 마음인 사람은 스스로 따뜻하고, 말로도 눈짓으로도 몸짓으로도 햇씨를 심는단다. 해맑은 마음이 아니거나 없는 사람은 스스로 차갑고 뾰족하고, 말로도 눈짓으로도 몸짓으로도 미움씨에 시샘씨에 불씨를 왕창 심어.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씨앗을 심을 적에 으레 한 톨을 심지. 하나를 그려서 하나에 오롯이 마음을 기울여 사랑을 담거든. 스스로 사랑이 아니기에 온갖 씨를 마구 흩뿌린단다. 또는 온갖 곳뿐 아니라 한 곳에 무더기로 쏟아붓기까지 하더구나. 나무 한 그루가 자라는 아늑한 집을 그려서 나무씨 하나를 심으니, 천천히 자라는 동안 새가 내려앉고, 벌나비가 찾아오고, 풀벌레에 지렁이가 깃들고, 갖은 풀꽃씨가 날아와서 피고, 이러다가 새가 똥으로 심은 다른 나무가 자라서 숲을 이룬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