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컵라면 2023.5.21.해.



네가 집에 있으면, 집에 갖춘 살림을 다루어 하루를 누리지. 네가 집에 없으면, 길에서 가볍게 바로바로 누릴 살림을 살필 테고, 집에서는 느긋이 차리고 누리고 치운다면, 길에서는 얼른 써서 덮어. 길에서는 바로 치우기보다는 나중에 치우자고 여기면서 네가 갈 곳과 할 일을 살핀단다. 집에서 ‘컵라면’을 먹는 사람도 있을 텐데, ‘집’이 ‘살림하는’ 곳이 아니라 ‘머물다 떠나는’ 곳이기 때문이야. ‘컵라면’은 오래오래 건사할 그릇에 담아서 느긋이 끓여서 누리는 밥살림이 아니지. 얼른 끓여서 얼른 먹고는 얼른 버리려는 먹을거리야. 불을 땔 수 없다든지, 느긋할 수 없는 데에서 오래 머물려면 ‘컵라면’이 이바지할 수 있어. 생각해 보렴. 바쁠 뿐 아니라 아슬아슬한 데에서 무엇을 어느 만큼 챙기거나 살피겠니? 바쁘며 아슬한 자리를 걱정없이 보낼 작은힘을 얻자고 여기겠지. 그런데 너희는 왜 바쁘거나 아슬한 곳을 자꾸 만들까? 길에서 무엇을 하더라도 왜 얼른 해치우듯 보내고 지나가면서 버리는 쳇바퀴를 되풀이할까? ‘라면’이 더 좋지 않고, ‘컵라면’이 더 나쁘지 않아. 집밥·집빵이 더 낫지 않아. 바라보고 다루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를 살리거나 죽인단다. 사랑으로 바라보기에 라면도 컵라면도 사랑을 듬뿍 담아서 웃음씨앗으로 퍼져. 사랑을 그리지 않기에, 손수 심고 가꾸고 갈무리하고 짓고 나누지만, 갑갑하게 고일 수 있어. 해는 사람들이 왁자지껄해도 똑같이 내리쬐는구나. 바람은 사람들이 마구 떠들어도 부드러이 맑게 부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하품 2023.5.28.해.



졸릴 적에 ‘하품’이 나온다고 여기지. ‘졸립다’고 할 적에는, 이제 잠들어 몸을 쉬어야 할 때를 넘겼다는 뜻이야. 자는 사람은 하품을 안 하겠지. 느긋이 푹 쉬는 사람은 ‘몸에 기운이 새로 오르는’ 데에 온마음을 쏟으니, 하품을 할 일이 없어. 잠을 미루거나 쉬지 않는 탓에 하품이 나오지. ‘하품’을 하면 어때? 입을 크게 벌리고서 ‘네 몸에 깃들거나 찌든 부스러기 같은 찌끄러기’를 앙 하고 털면서, 곧바로 ‘바깥숨을 크고 시원하게 확 받아들이’지 않니? ‘하품’이란 “큰 바람갈이”야. 네 몸을 움직이는 기운이 바람빛을 확 갈면서, ‘아직 잘 수도 쉴 수도 없는 몸’이 좀더 움직이도록 서둘러 기운을 끌어올리는 일이지. 하품이 잦다면 그만큼 몸이 지쳐서 쓰러질 판이라는 뜻이야. 문득 하품을 그친다면, 한동안 몸을 움직일 기운이 조금 모였다는 뜻이지. 그러나 하품이 그쳤다고 해서 몸을 섣불리 부리지 말아야겠지. 제대로 자거나 쉴 수 있을 때까지 부지런히 네 바깥일을 마치고서 드러누울 노릇이야. 재미없거나 따분하기에 하품이 나온다고도 여기는데, ‘그다지 안 하고 싶은 낯선 일’을 마주하면서 문득 ‘아! 여태까지 실컷 노느라 쉬어야 하는 줄 잊었네!’ 하고 알아차린 셈이라 여길 만해. 참으로 네 몸을 다시 살피면서 가누어야 한다고 알려주면서 조금씩 새빛(새기운)을 불어넣는 ‘하품’이란다. 하품을 마치고서 기운을 차렸으면, ‘하하’ 크게 웃을 일을 해봐. 웃고 울 적에도 너는 찌꺼기를 털면서 기운을 살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주의력 2023.5.29.달.



자꾸 ‘딴청’을 한다고 여기는 눈이 있어. ‘하라는 대로 안 하’기에 ‘따라오라는 대로 안 따라오’기에 ‘딴청’이라 여기지. 그런데 거꾸로 볼 수 있을까? 자리를 바꿔 보렴. ‘네가 보기에 딴청’인 저 사람은 참말 ‘딴청’일까? 저 사람은 저 사람대로 스스로 마음이 가는 길로 마음을 기울여서 즐기는 눈짓·몸짓이지 않아? ‘딴청(주의력 결핍)’을 하는 까닭을 살펴봐. 누구나 한꺼번에 여러 가지를 두루 한단다. 너는 나를 보면서 내 말을 듣는구나. 이러면서 숨을 쉬네. 이러는 네 몸에 바람이 돌고 피가 도는구나. 네가 아까 마신 물도 네 몸 구석구석으로 퍼지고, 네가 아침에 먹은 밥을 속에서 삭이느라 바쁘네. 네 몸뚱이는 반듯하게 서느라 힘을 쓰고, 네 머리는 ‘들은 이야기를 받아들여서 알’려고 쉬잖고 반짝여. 넌 으레 ‘한 가지만 한다’고 여길는지 모르지만, 넌 언제나 한꺼번에 ‘숱하게 다른 온갖 일’을 하면서 느끼고 받아들이고 살아간단다. ‘딴청(주의력 결핍)’이란 무엇일까? 네가 늘 ‘온것(모든일)’을 한꺼번에 두루 두 하는데, 정작 너 스스로 이런 네 몸·삶을 바라보지 않거나 느끼지 않는 일이야말로 ‘딴청’이 아닐까? 네가 네 ‘몸흐름·마음빛·머리’를 네 넋으로 하나하나 짚으면서 바라보고 받아들인다면, 너는 네 꿈(머리로 지어 마음에 심은 생각빛씨앗)을 늘 그때그때 일구면서 이루고 잇는단다. ‘네 삶’에 ‘네 넋’을 담으면서 맞이하는 하루가 아닐 적에 ‘딴청’이라고 가리켜야 알맞아. 무엇보다도 네 귀는 늘 다 듣고, 네 살갗은 다 느끼고, 네 눈도 다 본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닿는 2023.5.30.불.



어디에 닿는지 가만히 보면, 너하고 다른 곳에 닿지. 그런데 네가 닿는 데는 너하고 다르지만 닮았어. 너는 너하고 아주 다른 곳에는 다가가지 않더구나. 다르다고 여겨 처음부터 그곳을 쳐내거나 자르지. 다르다고 느끼니 아예 안 쳐다보곤 해. 네가 다다르는 곳이란 ‘다르지 않은’ 곳이지. ‘다르되 닮은 곳에 닿으’려고 네 하루를 다스리고, 네가 스스로 닿은 곳에서 이모저모 담으려고 네 마음을 다루지. 네가 바라는 길은 어디일까? 너는 무엇을 담기에 네 넋을 달랠까? 자꾸자꾸 담다가 어느새 담벼락처럼 쌓지는 않니? 네가 담처럼 높이 담은 것을 둘레에 나눌 마음이 없느라, 어느새 네 기운이 차츰 닳지는 않니? 담기만 하느라 담벼락을 높이니, 너는 스스로 닳아빠지면서 어느새 눈코귀입에 머리까지 닫더구나. 무엇 때문에 자꾸 담아야 할까? 네 마음은 어떻게 다독여야 할까? 담벼락으로 닫아걸었으니 다가오는 사람이 없겠지. 그런데 보렴. 네가 바라는 것은 ‘다’ 네 마음에 진작 있어. 네가 마음에서 스스로 키워서 꺼낼 생각을 안 했을 뿐이야. 네 손길이 닿으면서 피어나. 네 눈빛이 닿으면서 깨어나. 네 발길이 닿으면서 일어나. 네 사랑이 닿으면서 살아나. 네 몸이 단단해야 한다면, 튼튼하기를 바란다면 돌멩이가 되겠니? 닫아걸지 말고 달려 봐. 신나게 달리면 스스로 달콤빛을 알아보거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전멸 2023.5.31.물.



너희가 바라보지 않더라도 풀이 돋고 꽃이 피고 나무가 큰다고 여길 수 있어. 아니, 너희가 안 보고 안 느끼더라도 풀꽃나무는 저절로 자란다고 보면서 아예 잊을 수 있어. 아니, 풀꽃나무가 어찌 있거나 숲이 어떠한지 그냥 모르거나 잊을 수 있어. 개구리에 두꺼비가 왜 줄거나 사라질까? 맹꽁이에 도마뱀이 왜 자취를 감출까? ‘이름을 붙이고서 곁에 둔 사람들’이 어느새 잊는걸. 이름을 붙여서 부를 만큼 마음을 기울이고 나누더니, 이제는 이름을 잊거나 처음부터 모르는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니, 풀꽃나무·숲·개구리·맹꽁이에 새·곰·토끼·이리 삶터를 모두 밀어내거나 짓밟거나 들쑤신단다. 어느 나무가 “내 땅이오!” 하며 ‘땅문서’를 내미니? 너희는 이 별에 금을 긋고서 돈으로 사고팔 뿐 아니라, 나무를 값을 매겨 사고팔더구나. 그런데, 목숨을 사고팔아도 될까? 너희 땅이니 아니니 금을 긋고 다투며 돈에 홀려도 될까? 이름을 잊고 생각을 버리니, 너희 곁에서 숱한 숨결이 싹쓸이(전멸)로 떠난단다. 잘 봐. 너희는 나무이름을 잊고서 자동차이름·폭탄이름을 알더라. 너희는 ‘개구리·이름·풀’ 이름을 등지고서 ‘정치꾼·연예인’ 이름을 아는구나. 흙은 모르면서 인터넷을 들여다보는구나. 바람을 모르면서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은 머리에 담는구나. 별빛이 흐르는 길을 잊어가면, 사람은 별누리(은하계)에서 잊혀가겠지. 풀씨가 날아가는 길을 망가뜨리면, 사람도 이내 무너지겠지. 해를 반기기에 해님이라는 숨결이 너희 온몸을 감돌면서 누구나 아름답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