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판단력 2023.6.8.나무.



‘생각’을 하기에 살아가. ‘헤아리’기에 꿈을 그려. ‘살피’기에 오늘 이곳을 알아. ‘가려보기(가리다)’를 하면서 차근차근 짚고, ‘따지’기에 마음에 드는지 안 드는지 느끼지. 그런데 ‘판단’이란, 여러 길 가운데 ‘가림·따짐’ 사이란다. 가리려는 마음에 따지려는 마음이 섞이는 ‘판단’이기에, 옳은지 그른지 가리거나, 좋거나 나쁜지 따지려는 길인데, 으레 ‘굴레·수렁·덫’이 되어 너희 마음을 사로잡지. “판단하려 들기에 돌을 던지거나 감싸안는”단다. 너희가 ‘생각’한다면 모두 살리는 길을 알아차리고 찾는데, ‘판단(가림·따짐)’을 하려고 드니, ‘살림’이 아닌 ‘금긋기(구분·편파)’를 하고, ‘죽임(파벌·취향)’으로 달리더구나. 알고 싶으면 ‘알아’야지. ‘알아’가려고 한다면, ‘생각’하는 길을 가면서 ‘살림’을 품는단다. 생각이 아니라 ‘따지’거나 ‘가리’려 하면, 자꾸 긋고(금긋고) 재기(높낮이 재기) 때문에 그만 살림을 등지는 길로 치달아. 무엇이 옳거나 그를까? 너희가 보는 쪽에서 왼쪽·오른쪽이라지만, 너희가 마주보는 곳에서는 오른쪽·왼쪽이야. ‘따짐·가림(판단)’은 겉·허울을 이리저리 긋고 재는 길인 터라 ‘겉읽기(사실)’를 하겠어도, ‘속읽기(진실)’하고 멀지. “판단하지 마라 = 긋지 마라/재지 마라”야. 그러니까 “판단하지 마라 = 긋거나 재지 말고 생각하라”는 뜻이야. 생각을 하기에 네가 스스로 살고, 네 둘레를 살려. 긋거나 재기에 너부터 마음·몸이 죽고, 네 둘레를 죽여. 씨(씨앗)를 심어야 ‘알’고 ‘살’지. ‘판단력’이 아닌 ‘생각씨’를 심으렴. ㅅㄴㄹ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털어서 2023.4.7.쇠.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 없다’고 하지만, 참말로 먼지 안 나는 사람이 있어. 탈탈 털리는데 먼지 탓이 아닌 미운털이라 털리기도 하지. 너랑 네 둘레를 봐. 네 마음에 드는 사람을 네가 ‘털’까? 네가 좋아하는 사람이 저지른 잘못이나 말썽을 탈탈 털어서 깨끗하게 거듭나도록 거들거나 돕거나 이끄니? ‘네가 좋아하는 사람’은 네가 ‘잘못·말썽을 탈탈 털’ 적에 반기거나 고마워하거나 웃니? 아니면 “이놈이 무슨 괘씸하고 건방진 짓을 하느냐!”고 따지니? 너는 “좋음·싫음”을 안 보고 안 따지고 안 가리면서 털 수 있을 텐데, 네 둘레에서는 ‘네가 안 좋아하는 놈’만 턴다고 여기기 쉬워. 너는 ‘네가 좋아하는 사람’은 넘어가고 ‘네가 안 좋아하는 사람’만 털는지 몰라. 넌 이불을 날마다 터니? 먼지를 자주 털거나 치우니? 네 몸에 붙거나 묻은 먼지를 털고 싶어? 안 털고 싶어? 네 몸에 먼지가 붙거나 묻거나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먼지구덩이에서 뒹구니? ‘먼지털이’를 틈틈이·꾸준히·자주 하면서 몸이며 마음을 가볍거나 개운하거나 깨끗하게 돌보고 싶니? 털어서 먼지가 나기에 나쁘지 않아. ‘털어낼 먼지가 있을’ 뿐이야. 이불을 털면서 ‘나쁜 기운을 없앤’다고 여길 까닭이 없어. ‘먼지가 아닌 햇살·바람을 머금는’ 길을 가려 할 뿐이지. 털어서 먼지가 안 나기에 좋지 않아. ‘털어낼 먼지가 없을’ 뿐이지. 먼지는 있되 꿈을 키우고 가꾸면서 차근차근 스스로 털 수 있어. 먼지는 없되 꿈도 없는 채 멀뚱멀뚱 하루를 흘리기도 하더구나. 때로는 먼지털이에 푹 빠져서 먼지알갱이를 세느라 넋을 잃더구나. 2023.4.7.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빗질 2023.4.14.쇠.



손가락으로 머리카락을 빗을 만해. 그런데 손가락은 다섯이고 좀 굵지. ‘손가락빗질’은 성기게 마련이야. 머리카락을 빗으면 반드르르하는 빛이 나. 가지런히 찰랑이는 머리카락은 햇살을 튕기고 바람을 가려 줘. 그래서 머리카락을 고르려는 ‘참빗’을 깎아서 찬찬히 빗어. 손바닥으로 먼지를 쓸 만해. 그런데 손바닥으로 바닥·마당을 쓸다 보면 꽤 힘들기도 하고, 미처 못 쓴 먼지나 부스러기가 있고, 자칫 손이 찔리거나 긁혀서 다쳐. 그렇기에 자루에 잎줄기를 묶어 ‘비(빗자루)’로 삼지. 집 안팎을 ‘비질(비쓸기)’을 하며 먼지도 치우고 힘도 적게 들고 깔끔하며 즐거워. 집 안팎은 비질을 받아서 반짝반짝해. 서두르지 마. 빗질을 서두르면 어찌 될까? 비가 갑자기 쏟아지면 ‘씻음’이 아닌 ‘무너뜨림’이지. 빗자루질도 참빗질도 서둘러 마구 하면 외려 더 헝클어지고 머리가 아파. 빗질을 세게 해도 그렇지. 세찬 빗줄기는 다 부순단다. 세찬 빗자루질·참빗질도 ‘정갈·깔끔’하고는 아주 멀어. 그리고 빗질이 뜸하거나 없으면 다 먼지구덩이에 더럼구덩판이 되겠지. 들도 숲도 바다도 ‘빗질’이 있어야 할 노릇이야. ‘들빗질·숲빗질·바다빗질’에 ‘살림빗질·마을빗질·마음빗질’을 할 노릇이지. 다만 서두르지 마. ‘틈(시간·공간)이 없는 일’이란 없어. 바쁘다고? 아니야. ‘시간이 없고, 자리가 없다’고 여기는 네 마음이 있을 뿐이야. 틈이 적으니 사랑을 못 보니? 자리가 좁으니 얘기를 못 하니? 아니란다. 네가 마음에 사랑을 두지 않아서 아직 배울 마음틈을 마련하지 않았을 뿐이야. ‘틈’이 아닌 ‘꿈’을 빗질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흥 2023.4.15.흙.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기에, 또는 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기울이기에, 너는 꿈씨앗을 이제부터 마음에 ‘심’겠다고 여기면서 움직이지. 네가 보고 그리고 움직이고 겪는 모든 곳에서 꿈을 ‘심다’ 보면, 어느새 네 꿈씨앗에 싹이 트고 뿌리가 내려서 줄기가 오르지. 풀줄기이든 나무줄기이든 물줄기하고 같아. 비가 와서 샘을 이루어야 물줄기가 뻗지. 바람이 불어 바다를 움직이기에 물줄기가 춤추는 ‘물결·물살’을 이룬단다. 물줄기가 흐르듯 풀줄기·나무줄기가 오르는 모습으로 네 꿈이 자랄 적에 네 등줄기를 곧게 펴고 하늘을 똑바로 보며 가슴을 활짝 편단다. 바야흐로 꽃줄기(꽃대)도 오를 텐데, 이처럼 싹·뿌리에 이어 줄기가 자라기에 ‘신(신명·신바람)’이 난단다. 너는 신나서 더더욱 꿈을 싣고 심으며 달릴 테니 어느새 심(힘)이 나고, 기운까지 차오르게 마련이야. 보렴. 넌 기쁘게 꿈을 꾸고, 뛰고, 놀고, 노래하고, 춤추는구나. 흐드러지는 하루를 고이 누리면서 고스란히 피어나지. 흠뻑 빗물에 젖듯 흐뭇하고, 물줄기 흐름을 살피면서, 네 꿈을 차근차근 가다듬는단다. 이렇게 나아가는 길에 너는 무엇을 받아들이겠니? 흐르는 물줄기처럼 흠뻑 적시며 흐드러지는 흐뭇한 웃음꽃으로 가겠니? 흥흥 콧방귀를 흘리면서 흘끔흘끔 기웃거리다가 이리 기우뚱 저리 기우듬 비틀비틀하다가 자빠지거나 쓰러지겠니? 흥건히 적시며 흐르는 빛줄기라면 늘 새롭게 자라면서 기운이 넘친단다. 또 흥! 자꾸 흥! 거푸 흥! 고개를 돌리기에 그만 흘려듣거나 흔들려서 다 흘려버리고 말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까불 2023.5.22.달.



뭘 모르거나 잘못 안다면 까불겠지. ‘키’라는 살림이 있는데, 낟알을 ‘키’로 까부른단다. 절구로 빻아서 ‘겨’를 벗기는데, ‘벗긴 겨’가 바람에 날아가라면서 ‘키’를 까부르지. 가벼운 ‘겉(껍질)’은 묵직히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아. 바람에 휩쓸려 흩어진단다. 까부는 사람은 스스로 넋·얼이 안 섰어. 이들은 둘레에서 떠드는 대로 우르르 몰리면서 시끄러워. 시끄러운 사람들을 봐. 하나같이 가볍단다. 마음과 몸을 가벼이 다스리기에 날개를 펼쳐 바람을 타고서 하늘을 날아다녀. 서로 무겁지 않도록 부드러이 쉽게 나누려는 말이 ‘수다’란다. 그런데 ‘까불까불’ 굴거나 말할 적에는 마음에 깃들거나 스미지 않고 그저 시끄럽거나 어지럽게 날리지. 날뛰거나 널뒤는 ‘말·짓’이 ‘까불’이야. 스스로 설 줄 모르는 채 ‘나는(날아다니는·나다운) 흉내’인 까불이란다. ‘까불꾼’은 마치 하늘을 나는 흉내를 내지만, 흉내로 어찌 바람을 읽거나 알겠니? ‘가벼움’이란, “나아갈 수 있도록 별빛이라는 꿈을 스스로 가득 담아서 나누려는 마음씨”란다. 별빛이기에 날 수 있어. ‘별빛 = 나·나다·날다·낳다’야. 별빛이기에 너일 수 있지. ‘별빛 = 너·넘다·너머·넣다·놓다·놀다·노래·노을·나눔·높’이란다. 내(나)가 너한테 별빛으로 나아가려는 길과 말과 짓이 ‘날다’란다. 내가 너하고 별빛으로 만나려는 사이에 ‘나무’가 있어. 보렴! 나무가 까부니? 나비가 시끄럽니? 너는 어떤 ‘가벼움’이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