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에어컨 2023.6.15.나무.



해가 내리쬐는 여름이 더울 수 없어. 여름은 열매가 익어가도록 신나게 내리쬐는 볕이야. 겨울은 볕이 적게 들기에 춥지 않아. 여름볕을 고루 듬뿍 머금기에 겨우내 포근히 지내고 봄을 맞이한단다. 여름볕을 꺼리거나 안 먹은 탓에 겨울이 추워. 그리고 여름볕을 오래 쬐기에 마르거나 더울까? 아니야. 풀과 나무를 봐. 여름내 모든 볕을 가만히 춤추며 받아. 겨우내 그리던 햇볕이기에 그저 넉넉히 받아들이지. 그래서 ‘햇볕에 푸르게 자라는 잎’은 있되 ‘햇볕에 마르는 잎’은 없어. 풀과 나무가 ‘잎이 마른다’면 사람들이 뭔가 얄궂은 짓을 저질렀다는 뜻이야. 사람은 어떨까? ‘햇볕에 까맣게 살빛이 익는 몸’이 있을 뿐이야. 그런데 꽤 많은 사람들은 ‘불볕’이라 일컬으며 싫어하더라. 알 수 있을까? ‘미움·싫음·걱정·두려움’에다가 엉뚱하게 사로잡혀서 길든 마음이 너희를 불사르거나 말리거나 갉거나 죽인단다. 아기나 아이가 여름볕에 내내 뛰노는 모습을 봐. 웃고 노래하고 뛰고 달리는 마음은 오직 ‘까맣게 빛나는 몸’으로 나아가는 숨결일 뿐이란다. 볕을 꺼리면서 빛까지 가리고 ‘에어컨’을 틀면서 사람이 못 드나들라고 막는 너희 모습을 보면 딱하구나. 삶도 살림도 사랑도 바라보지 않는다면 어떻게 숲을 읽고, 무엇으로서 사람이 될까? 여름이 시원하기를 바라면 에너컨을 치우렴. 온몸으로 햇볕을 머금으면서 나무 곁에서 바람을 마시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털썩 2023.6.16.쇠.



남이 네 몫으로 밥을 먹을 적에 배부를 수 있니? 남이 네 몫으로 숨을 쉴 적에 시원할 수 있어? 남이 네 몫으로 살아 주거나 죽어 줄 수 있을까? 남이 네 몫으로 울어 주거나 웃어 줄 수 있니? 털썩 주저앉아도 돼. 힘이 나지 않으면 드러누워도 좋아. 일찍 일어나지 마. 남 눈치를 보느라 안 쉬거나 서두른다면, 네 숨을 갉는단다. 훨훨 날아오르는 마음으로 하루를 맞이해서 보내기를 바라. 그런데 ‘훨훨 나는 마음’이 어떻게 되는가를 모를 수 있겠구나. 그저 네가 너를 사랑으로 바라보면 언제 어디에서나 ‘훨훨 나는 마음’으로 곧장 피어나지. 마음이란 ‘밭’과 같아. 네가 스스로 바라보거나 바라는 대로 싹터서 자라는 밭인 마음이야. 사랑을 그리고 떠올리면 사랑씨가 깃들어서 자라. 걱정하거나 근심하면 걱정에 근심이 덤불을 이뤄. 누구를 미워하거나 무엇을 싫어하면 숨결을 갉는 수렁이 퍼져. 어느 일이나 노래로 여겨 하나하나 누릴 적에는 마음이 환하게 빛나지. 짐이 무거워서 털썩 주저앉지 않는단다. ‘짐’이라 여기고 ‘무겁다’고 여기니, 이대로 움트고 자라서 그만 다릿심이 풀려서 주저앉아. 너를 살리는 기운은 남이 차려 주지 않는단다. 너를 일으키는 빛은 남이 뿌려 주지 않아. 너희는 누구나 저마다 다른 ‘하늘숨빛’인걸. 네가 어떤 하늘숨빛으로 훨훨 날 적에 즐거워서 활짝 웃고 춤추고 노래할는지 생각을 하렴. “하늘숨빛인 참나를 보고 느끼고 알기에 새롭게 빚는 빛씨앗”이 ‘생각’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토벌 2023.6.10.흙.



‘싸우’는 이들은 두 가지를 해. 먼저 ‘무리’를 감싸고, 둘째로 저쪽을 싹뚝 잘라내거나 친단다. 좋아할 무리를 감싸면서, 싫어할 무리를 싹뚝 죽이려는 모든 짓이, 바로 싸움이야. 싸움이니까 ‘싸늘’하지. 한무리가 아니면 감싸지 않으니, 사랑도 살림도 아닌, 더구나 삶이라 할 수조차 없이, 겉만 둘러싸는 몸부림이야. ‘싸움·감쌈·싹뚝·싸늘’에는 얼어붙어 메마른 마음만 떠돌지. ‘겉·허울·탈·껍데기’로 치달으며 어지러워. 아마 ‘평화 = 싸우지 않음·전쟁이 없음’이겠지. 그래서 ‘싸움(전쟁)’을 없애려 하면서 ‘평화’를 이루더라도, 자꾸 ‘싸움 걱정’을 하기 때문에 슬그머니 싸움을 일으키고 세운단다. “미워하며 없애야 할 싸움(전쟁)”이 있지 않으면 ‘평화’를 이루거나 누리지 않거든. 그렇기에 ‘평화유지군’ 같은 이름처럼 ‘평화를 지키는 전쟁무기’에 자꾸 돈·이름·힘을 쓴단다. ‘평화’가 나쁠 일은 없어. ‘전쟁’이 좋을 일도 없어. 둘은 이런 사이야. ‘토벌’이란, ‘평화를 깨거나 어지럽히는 전쟁’을 바로 ‘더 큰 전쟁’으로 싹쓸이를 하겠다는 길이야. 자, 생각해 봐. ‘토벌’을 하려면 ‘전쟁을 없애고 평화를 지킬 전쟁무기’가 더더욱 많아야겠지? ‘전쟁’뿐 아니라 ‘토벌’을 하는 곳에 너희가 살아갈 자리가 있을까? ‘전쟁과 평화’는 늘 짝꿍이야. 둘 다 너희를 종(노예)으로 길들여 억누르려는 무시무시한 쇳덩이란다. 여기에 ‘토벌’은 너희가 ‘아름사랑’이라는 새길·빛길을 싹 치워버리려는 깊은 덫이자 수렁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정리 2023.6.9.쇠.



하나씩 할 적에는 하나하나 본단다. 한꺼번에 할 적에는 하나하나 못 보거나 안 봐. 덩이나 무리(떼)로 크게 할 적에는 덩이·무리·떼로 크게 다루는 결을 보겠지. 낱낱으로 작게 볼 적에 비로소 하나하나 다루고 느끼고 보고 안단다. ‘나라’라는 틀로 크게 보려 한다면 ‘나라 울타리’를 봐야 하기에 ‘나’를 볼 겨를이 없을 뿐 아니라 ‘낱낱·하나하나’를 잊어야 해. 그리고 ‘나라 울타리’로 보려 하기에 ‘너·남’뿐 아니라 그이 스스로 ‘그이(나)’를 잊어버리지. 힘·이름·돈을 크게 쥐거나 다루는 이들은 ‘너·나·우리’라는 ‘낱·하나’를 아예 안 봐. 한꺼번에 쓸거나 치우는 길만 바라본단다. ‘나(낱·하나)’를 안 보는 길이니까 ‘너(이웃·둘레)’를 보는 눈도 없고 마음도 없어. 아주 아무렇지 않게 다 치운(정리·처치)단다. 다른 목숨을 빼앗거나 괴롭히거나 갉거나 따돌리는 이들은 으레 ‘덩이(크기)’를 볼 뿐이고, ‘나(낱·하나)’를 안 본단다. ‘덩이(국가·정부·사회·단체)’를 보는 이들은 어느새 ‘나라’에 얽매여 그들 스스로 둘레에 있는 숱한 너(이웃)와 똑같은 숨결(생명)인 줄 느끼지 않아. 힘·이름·돈을 거머쥐고 부리고 다루는 길은, ‘나’ 없이 ‘나라’만 있는 죽음길이야. ‘나라 아닌 나’를 보는 이들은 ‘삶·살림·사랑’을 보고 품고 나누려 하지. 살고 살림하며 사랑하는 길을 다룬다면 힘·이름·돈은 모두 녹아서 덩이(실체)가 사라지지. 넌 무엇이든 다루는 사람으로 서겠니? 아니면 덩이에 파묻혀 ‘너(나)’를 치워(정리)버리겠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쓴풀 2023.6.7.물.



몸을 살리도록 이바지하는 풀은 ‘쓰다’고들 여기는데, 참말로 ‘살림풀’이 ‘쓴풀’일 수 있을까? 살림풀을 늘 누리고 즐기고 사랑하지 않은 탓에 ‘살림풀’ 맛이나 숨결이나 빛이 ‘쓰다’고 여기거나 잘못 아는 셈 아닐까? 살리는 풀은 그저 살릴 뿐이야. ‘살림빛’은 쓴맛도 단맛도 아니란다. ‘살림빛’이 아닌 ‘죽음’은 ‘빛이 아니’기에 홀린단다. ‘죽음’은 마치 ‘살림빛’인 듯 시늉에 흉내를 하니, 참으로 ‘빛’처럼 보일 텐데, ‘죽음 = 빚’이고, ‘텅빈 허울’이야. 허울뿐인 죽음이기에, ‘죽음’은 ‘텅빈속’을 숨기거나 감추거나 가리려고 ‘달콤한 겉옷’을 씌우지. 달콤발림(사탕발림)이라고 하지. 꾸밈말(미사여구)이라고도 해. ‘살리지 않는’ 줄 사람들이 못 알아보도록 멋지거나 맛나 보이려고 꾸미는 ‘죽음’이란다. ‘죽음수렁 = 홀림’이야. 죽음으로 치달아서 못 빠져나오도록 꾀어낸단다. 제페토 할아버지는 ‘살림빛’을 폈지만, 피노키오는 살살 달콤하게 홀리고 꼬드기는 ‘죽음덫’에 사로잡혔지. 잘 보렴. 죽음이자 거짓이니까 ‘단맛’을 자꾸 입혀서 너희 눈·코·귀·입·몸·마음을 몽땅 길들이고 흔들고 어지럽힌단다. 살림풀은 쓴풀이 아니야. 살림말은 쓴말(쓴소리)일 수 없어. 너희 스스로 길든 수렁·굴레·덫을 느껴서 털어낼 노릇이란다. 이불에 깃든 먼지를 털듯, 너희 몸·마음에 들러붙으려는 죽음(허울)을 털어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